직불카드

Wnernst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5월 2일 (화) 16:56 판 (새 문서: '''직불카드'''는 직불카드 공동망을 이용하여 지급인의 계좌에서 바로 대금을 인출하여 수령인에게 지급하는 지급결제의 수단이다. 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직불카드는 직불카드 공동망을 이용하여 지급인의 계좌에서 바로 대금을 인출하여 수령인에게 지급하는 지급결제의 수단이다. 은행 등 통화금융기관에서 발급하며, 은행과 별도의 직불카드 가맹 계약을 맺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영미권에서는 체크카드와 구분하기 위해 온라인 직불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종류

발급국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비자·마스타·은련 등 국제 결제사업자의 전산망을 통해 다른 나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뉜다. 거주자인 국민이면 연령이나 신용 등급의 제한 없이 거래하는 은행에서 발급해 준다. 외국인은 지정거래외국환은행으로 등록하지 않으면 외국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결제망

대한민국 내에서는 금융결제원이 주관하고 각 은행이 발급하는 직불카드 공동망을 직불카드와 주류전용구매카드가 함께 이용한다. 이용 시간은 06시부터 22시이고, 이용 가능 금액은 1천원 이상이다.

국제 직불망으로는 은련, 인터링크, 마에스트로 등이 있다. 중화권에는 은련 가맹점이 많고, 유럽에는 마에스트로 가맹점이 많다. 미국에는 대형 소매업자 위주로 인터링크나 마에스트로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간혹 있다.

다른 나라의 로컬 직불망으로는 일본의 J-Debit, 덴마크의 Dankort, 인도네시아의 BCA 은행 등이 있으며 대부분 국제 직불망과 제휴하여 국외발행 직불카드도 잘 받아준다.

한국의 직불카드

1996년에 여러 가지 사회적 요구에 의해 금융 공동망에 물려서 돌아가는 직불카드 시스템이 상용화 되었다. 그러나 곧이어 신용카드사들이 신용카드 가맹점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직불형 신용카드를 발급하기 시작하면서 급격히 망테크를 타기 시작했고, 은행계 카드사들은 직불형 신용카드에 현금카드 트랙을 올려 주면서 사실상 사장되었다. 그나마 국외 제휴 ATM에서 현금을 인출하거나 국외 직불망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국제직불카드는 체크카드의 국제 결제망 개방이 되지 않은 덕분에 한동안 발급받을 수 있었지만, 이마저도 2010년대 들어 국내 신용카드사들이 체크카드 해외 사용을 개방하면서 급속도로 자취를 감추고 있다.

대부분의 은행이 2005년부터 2010년 사이에 직불카드의 신규 발급을 중지했고, 일부 은행은 국제직불카드마저 발급을 중단했다. 2017년 5월 현재 직불 단독상품은 국민은행(My Q)·대구은행(IC현금카드)·신한은행·하나은행(국제직불카드)에서만 취급한다. 신한은행이 용도별로 직불카드 상품이 많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