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열

Hornet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2월 11일 (토) 21:58 판

검열( 檢閱, 영어: Supervison)은 출판물이나 콘텐츠가 사회적으로 부적절하거나, 공권력의 사상에 반하는 내용을 검사하여 콘텐츠의 발행을 막거나 문제가 되는 부분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검열이 일어나는 원인

당사자 본인에 의한 원인

글이나 콘텐츠를 작성한 당사자가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킬 것을 우려해서 스스로 논란이 될 만한 내용을 지우는 경우가 있다. 시인이나 소설가들의 미공개 작품들에서 외설적 표현을 담고 있거나 이념적으로 자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또한, 인터넷에서는 정보의 확산이 빠르다는 특성 때문에 그 동안 기록되었던 것들이 사람들의 손에 의해 퍼날라지면서 그것이 오래토록 남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당사자가 안 좋은 과거를 감추기 위해 그 동안 당사자가 인터넷상에서 기록했던 것들을 삭제하는 일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를 잊힐 권리라고 한다.

권력자에 의한 원인

독재 국가에서는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들을 비판하는 내용을 거슬려하는 경우가 많기에 독재자의 사상에 반하는 글들을 쓰지 못 하게 막기도 한다. 독재 국가에서 흔히 벌어지는 출판물이나 인터넷 기사에 대한 검열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그 나라의 미풍양속에 반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검열을 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19금 판정을 받지 않은 컨텐츠에서 유두나 성기 등 성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나, 고어 등 애들이 보기에는 너무 잔인해 보이는 장면을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이슬람권에서 이슬람 풍속에 반하는 행위들을 검열하는 것이 그 예이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