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메이링

(ホン) 美鈴(メイリン)
홍 메이링
Hong Meiling[1]
Th123 Meiling.png
동방비상천칙의 홍 메이링
이명 화인 아가씨
종족 요괴
능력 기를 다루는 정도의 능력
직업 홍마관의 문지기
사는 곳 홍마관
위험도 낮음
인간 우호도 보통
테마곡
테마곡 목록
  • 메이지 17년의 상하이 앨리스 (明治十七年の上海アリス)
  • 상하이 홍차관 ~ Chinese Tea (上海紅茶館 ~ Chinese Tea)
테마곡 / 이명
테마곡
등장 작품 곡명
동방홍마향
(3면 필드)
상하이홍차관 ~ Chinese Tea
(上海紅茶館 ~ Chinese Tea)
동방홍마향
(3면 테마)
메이지17년의 상하이 앨리스
(明治十七年の上海アリス)
동방비상천칙
(테마곡)
상하이홍차관 ~ Chinese Tea
(上海紅茶館 ~ Chinese Tea)
이명
명칭 등장 작품
화인소녀
(華人小娘)
동방홍마향
동방비상천칙
동방삼월정
동방구문사기
달의 이나바와 지상의 이나바
선명한 무지개빛 문지기
(色鮮やかに虹色な門番)
동방문화첩
홍마관의 문지기・화인소녀
(紅魔館の門番・華人小娘)
달의 이나바와 지상의 이나바

개요

홍 메이링(紅美鈴(ほんめいりん))은 동방 프로젝트의 등장인물이다. 《동방홍마향》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으며, 해당 게임의 3면 보스이자 작중 주된 배경이 되는 홍마관의 문지기를 맡고 있다. 종족은 요괴이며, 「기를 다루는 정도의 능력」(気を使う程度の能力)을 보유하고 있다.

밝혀진 설정

이하의 설정은 대부분 공식 설정집인 출판물 《동방구문사기》에 명기된 것이다. 그 외의 출처는 각주에 따른다.

  • 홍마관의 문지기이며, 그와 더불어 홍마관의 정원(화단)을 관리하고 있다.[2]
  • 특화된 능력은 없기에 요괴 사이에선 강한 편이 아니나, 특별한 약점도 없기에 인간을 상대로는 무적에 가깝다.
  • 무술의 달인이며, 종종 도전해 오는 인간 상대로 대련을 하기도 한다. 이 대련은 레밀리아 스칼렛이 즐겨 본다고 한다.
  • 홍마관에 침입하려 하지 않는 한 친절하며, 가끔 인간 상대로 푸념을 늘어놓기도 한다. 만약 무단으로 침입하더라도 사과하고 물러나면 그 이상 쫓지 않는다.
  • 아침에는 태극권 체조를 하는 모습이 목격되었으며, 종종 낮잠(시에스타)을 자는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다만 자고 있는 틈을 노려 침입하려고 하면 곧바로 깨어나서 막아선다고 한다.

관련 이것저것

중화인민공화국 풍의 이름 및 치파오를 기반으로 한 옷차림 등, 기본적으로 서양 풍의 배경 위주인 《동방홍마향》 내에서도 특이하게 동양적 느낌을 물씬 풍기는 캐릭터이다. 작품에서 처음 등장할 때, 한자로 이름이 표기되었으나 그에 맞는 후리가나가 적혀 있지 않아 이름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팬들 사이에서 상당한 논쟁이 있었으며,[3] 그 와중 지나가던 누군가의 『중국 풍이니 중국이라고 부르자』는 말이 당시 논쟁하던 팬들에게 웃음 섞인 공감을 얻어, 단번에 「중국」(ちゅうごく)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게임 내 뮤직룸 코멘트에 '홍 메이링'이라는 독음이 달려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제작자인 ZUN의 관련 발언 등에 의해 이름 자체는 명확히 밝혀지게 되나, 그 이후에도 중국이라는 명칭은 네타 요소가 되어 끈질기게 따라붙게 된다.

다만, 공식적으로 해당 캐릭터의 국적은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설정집인 《동방구문사기》에서도 관련 언급은 되지 않았다. 다만 아침에 태극권 체조를 한다는 언급이 있으며,[4] 황혼 프론티어에서 제작한 외전인 《동방비상천칙》의 승리 대사에서는 중국과 관련된 대사를 일부 발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5]

팬덤에서는 주로 이자요이 사쿠야커플링을 맺곤 하며, 플랑드르 스칼렛과 연관짓는 경우도 많다. 동방비상천칙의 스토리 모드 및 유명 MAD인 동방 M-1 그랑프리의 영향에 의해 파츄리 널릿지와 콤비를 이루는 경우도 가끔 찾아볼 수 있다.

같이 보기


  1. 동방홍마향》의 영문 표기 기준이다. 이후 시리즈 및 매체에서 조금씩 다르게 표기되기도 한다.
  2. 출처 - 동방문화첩(서적)
  3. 캐릭터의 이미지에 맞게 중국어 발음을 살려 '홍 메이링'으로 읽느냐, 일본식으로 '쿠레나이 미스즈(くれないみすず)'로 읽느냐로 의견이 나뉘었다.
  4. 이는 중국 전통 무술인 태극권을 국가 차원에서 간략화하여 보급한 '간화 태극권'일 가능성이 있다. 높은 보급률에 힘입어, 중국에서는 매일 이른 아침에 사람들이 공터에 모여서 간화 태극권을 체조하듯 연마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5. 단, 이는 ZUN이 감수하긴 했지만 외전적 내용이라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