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 프로젝트 東方Project |
|
---|---|
배급사 | 상하이 앨리스 환악단 |
개발사 | 상하이 앨리스 환악단 |
핵심인물 | ZUN |
장르 | 슈팅 게임·대전 액션 게임 |
첫 게임 |
동방영이전 (1995년[1]) |
최신 게임 |
동방수왕원 (2023년 8월 13일) |
웹사이트 | http://www16.big.or.jp/~zun/ |
동방 프로젝트(東方Project)는 일본의 1인 동인 서클 상하이 앨리스 환악단(上海アリス幻樂団)이 만든 슈팅 게임 시리즈의 총칭이다. 슈팅 게임 외에도 소설, 만화, 대전 액션 게임 등의 미디어 믹스 전개가 진행 중이다.[2]
개요[편집 | 원본 편집]
1995년 《동방영이전》을 시작으로, 일본의 크리에이터 ZUN이 제작하는 동인 슈팅 게임 시리즈이다. 원작은 슈팅 게임으로 이루어지지만 《동방췌몽상》을 비롯한 황혼 프론티어와 협업한 외전 작품들은 격투 게임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여러 가지 특성을 지닌 캐릭터들로 전 세계에서 메이저한 하나의 '장르'로 인정 받고 있다.
설명[편집 | 원본 편집]
동방 프로젝트의 작품들은 각각 고유 넘버를 지니고 있는데, 이 넘버를 호칭할 시에는 TH XX와 같이 불러야 한다. (예 : TH 06 = 동방홍마향)
먼저 PC-98 전용으로 만들어진 '동방 구작'과 그 이후 잠시의 공백기 후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기반으로 만들어진 '동방 신작'으로 나뉜다. 동방 구작의 캐릭터들은 하쿠레이 레이무, 키리사메 마리사, 앨리스 마가트로이드, 카자미 유카, 미마를 제외하고는 단 한 명도 신작에 모습을 비친 적이 없다. 이것을 통칭 구작 결계라고 부른다.
또한 ZUN 역시 구작의 인물과 신작의 인물은 각각 다른 사람이라고 생각해달라고 했으니, ZUN에게 구작 캐릭터 나오게 해주세요 징징징과 같은 소리를 하면 망신만 당하니 속편하게 포기하는 것이 좋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상하이 앨리스 환악단의 유일한 팀원 ZUN이 상업적 이용을 제외한 2차 창작[3]에 매우 관대하기에 현존 가능한 거의 대부분의 서브컬쳐 매체로 다양한 2차 창작 동인 작품백합이라던가 백합이라던가 백합이라던가들이 나와 있다.
1995년 ZUN이 동방영이전을 만든 것을 시작으로 2015년 20주년을 맞이하였다.
플레이스테이션과의 합작 프로젝트인 Play,Doujin!의 중심이다. 다만 동방 프로젝트에 속하는 작품군 그 자체는 해당 프로젝트의 대상외다. 주된 대상은 동방 프로젝트의 2차 창작물이다. ZUN 본인은 프로젝트 서포터라는 명의로 이름을 올려두고 있다.
작품 목록[편집 | 원본 편집]
게임[편집 | 원본 편집]
동방 프로젝트의 게임들은 정규 시리즈와 외전 시리즈로 나뉜다. 정규 시리즈의 넘버링은 THXX이며, 외전 시리즈의 넘버링은 THXX.X이다.
정규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1995년부터 1998년까지, PC98로 제작된 작품들을 '구작(旧作)'으로 나눈다. 실험작이자 봉마록의 부록이었던 영이전을 제외하고는 2년간 여름/겨울 코미케 모두 참가하여 발매되었다.
- TH01 동방영이전 - 1995년 비완성판 발매, 1996년 11월 3일 완성판 최초 발매, 1997년 8월 15일 완성판 정식 발매.
- TH02 동방봉마록 - 1997년 8월 15일 발매.
- TH03 동방몽시공 - 1997년 12월 29일 발매.
- TH04 동방환상향 - 1998년 8월 14일 발매.
- TH05 동방괴기담 - 1998년 12월 30일 발매.
2002년부터 현재까지, 윈도우즈로 제작된 작품들을 신작으로 나눈다. 홍요영화와 풍지성은 각각 1년 단위로(단, 화영총과 풍신록 사이는 시스템 리셋을 위해 1년 공백을 두었다.), 신령묘 이후부터는 돈 좀 벌어놨으니 재창작이나 서적에도 손을 뻗고 있어서 그런지 2년 단위로 느릿하게 발매하고 있다. 각 작품의 괄호 속 해석은 각각 원제(한문) / 영문부제의 한국어 풀이이다.
- TH06 동방홍마향 ~ the Embodiment of Scarlet Devil (EoSD, 붉은마귀의 고향/붉은악마의 전형[4]) - 2002년 8월 11일 발매 (제62회 코믹마켓)
- TH07 동방요요몽 ~ Perfect Cherry Blossom (PCB, 요망하고 요사스러운 꿈/벚꽃 만개) - 2003년 8월 17일 발매 (제64회 코믹마켓)
- TH08 동방영야초 ~ Imperishable Night (IN, 반복되는 영원한 밤/불멸의 밤) - 2004년 8월 15일 발매 (제66회 코믹마켓)
- TH09 동방화영총 ~ Phantasmagoria of Flower View (PoFV, 꽃이 비치는 무덤/꽃 풍경 주마등) - 2005년 8월 14일 발매 (제68회 코믹마켓)
- TH10 동방풍신록 ~ Mountain of Faith (MoF, 바람신의 기록/신앙의 산) - 2007년 8월 17일 발매 (제72회 코믹마켓)
- TH11 동방지령전 ~ Subterranean Animism (SA, 지령의 전당/지하세계 애니미즘) - 2008년 8월 16일 발매 (제74회 코믹마켓)
- TH12 동방성련선 ~ Undefined Fantastic Object (UFO, 연꽃별[5]의 배/미정의 환상물체[6]) - 2009년 8월 16일 발매 (제76회 코믹마켓)
- TH13 동방신령묘 ~ Ten Desires (TD, 신령의 사당[7]/열 가지 욕망[8]) - 2011년 8월 13일 발매 (제80회 코믹마켓)
- TH14 동방휘침성 ~ Double Dealing Character (DDC, 반짝이는 바늘성/더블 딜링 캐릭터[9]) - 2013년 8월 12일 발매 (제84회 코믹마켓)
- TH15 동방감주전 ~ Legacy of Lunatic Kingdom (LoLK, 지구 이야기[10]/월면왕국의 유산[11]) - 2015년 8월 14일 발매 (제88회 코믹마켓)
- TH16 동방천공장 ~ Hidden Star in Four Seasons (HSiFS, 하늘의 홀/사계절에 숨은 별) - 2017년 5월 7일 체험판, 2017년 8월 11일 정식판 발매 (제92회 코믹마켓)
- TH17 동방귀형수 ~ Wily Beast and Weakest Creature (WBaWC, 오니 형태의 짐승/교활한 짐승과 최약의 생물) - 2019년 8월 12일 (제96회 코믹마켓)
- TH18 동방홍룡동 ~ Unconnected Marketeers (UM, 무지개룡(龍)의 동굴/끊어진 시장주의자들[12]) - 2021년 3월 21일 체험판, 2021년 5월 4일 정식판 발매[13]
- TH19 동방수왕원 ~ Unfinished Dream of All Living Ghost (UDoALG, 짐승왕의 영역[14]/모든 생령의 끝나지 않은 꿈[15]) ~ 2023년 8월 13일 발매 (제102회 코믹마켓)
- TH20 동방금상경 ~ Fossilized Wonders (FW, 비단 위의 도읍(or 도읍보다 아름다운 것)/화석이 된(=구시대의) 불가사의) - 2025년 8월 16일 (C104)
TH21 동방??? - 2027년 8월? (C106?)
외전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 외전 탄막회피&슈팅 장르
- TH09.5 동방문화첩 - 2005년 12월 30일 발매 (홍・요・영・화 외전)
- TH12.5 더블 스포일러 - 2010년 3월 14일 발매 (풍・지・성 외전)
- TH12.8 요정대전쟁 - 2010년 8월 14일 발매 (삼월정(서적) 외전)
- TH14.3 탄막 아마노자쿠 - 2014년 5월 11일 발매 (신・휘 외전)
- TH16.5 비봉 나이트메어 다이어리 - 2018년 8월 10일 발매 (감・천 외전)
- TH18.5 불릿필리아들의 암시장 - 2022년 8월 14일 발매 (귀・룡 외전)
- 황혼 프론티어 합작 : 탄막 대전(對戰) 및 횡스크롤 장르
- TH07.5 동방췌몽상 - 2004년 12월 30일 발매
- TH10.5 동방비상천 - 2008년 5월 25일 발매 (췌몽상 후속작)
- TH12.3 동방비상천칙 - 2009년 8월 15일 (비상천 확장팩)
- TH13.5 동방심기루 - 2013년 5월 26일 발매
- TH14.5 동방심비록 - 2015년 5월 10일 발매 (심기루 후속작)
- TH15.5 동방빙의화 - 2017년 12월 29일 발매 (심비록 후속작)
- TH17.5 동방강욕이문 - 2021년 10월 24일 발매 (귀형수 후속작)
음반[편집 | 원본 편집]
상하이 앨리스 환악단에서 발표한 음반들만을 담는다.
비봉클럽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 봉래인형 - 2002년 8월 발매
- 렌다이노 야행 - 2003년 12월 발매
- 몽위과학세기 - 2004년 12월 발매
- 묘유동해도 - 2006년 5월 발매
- 대공마술 - 2006년 8월 발매
- 미지의 꽃 매지의 여행 - 2011년 5월 발매
- 토리후네 유적 - 2012년 5월 발매
- 이자나기 물질 - 2012년 8월 발매
- 연석박물지- 2016년 5월 발매
요악단의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파생 작품[편집 | 원본 편집]
- 동방구문구수
- 동방구문사기
- 동방문화첩 ~ Bohemian Archive in Japanese Red
- 동방맹월초
- 동방맹월초 ~ 달의 이나바와 지상의 이나바
- 동방맹월초 ~ Cage in lunatic Runagate
- 동방맹월초 ~ Silent Sinner in Blue
- 동방삼월정
- 동방영나암
- 동방자가선
- 동방향림당
- The Grimoire of Marisa
- The Grimoire of Usami 비봉클럽 이계촬영기록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윈도우10과의 호환 문제[편집 | 원본 편집]
- 2015년 8월 기준 윈도우 10에서 신작 중 초기작들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작품은 동방홍마향, 동방요요몽, 동방영야초,동방화영총,동방문화첩 정도이며, 풀스크린으로 실행시 레이아웃이 망가지고, 홍마향의 경우 게임속도가 프레임 기준 2000fps(!!!)까지 치솟아 정상적인 플레이를 할 수가 없다. 해결방법으로 'DX8 to DX9 Convertor'를 게임 폴더에 설치 후 실행하면 풀 스크린으로 깔끔하게 실행된다! 해당 프로그램은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1]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공식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 (일본어) 상하이 앨리스 환악단
- (일본어) Amusement Makers (구) 공식 사이트
- (일본어) 황혼 프론티어
팬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 (영어/한국어/중국어) 동방프로젝트 위키
- (일본어) 동방 Wiki
- (일본어) 동방 원 출전 Wiki (폐쇄)
각주
- ↑ 1995년 동방영이전 비완성판을 발표.
- ↑ 소설 및 설정집은 원작자인 ZUN이 직접 집필하였으나, 만화나 대전액션게임 등 다른 미디어 믹스 작품은 'ZUN의 감수 하에 다른 작가(및 집단)가 제작한 작품'들이 대다수다.
- ↑ 상업적 이용의 경우 ZUN에게 문의해야 한다고 한다.
- ↑ 다만 실제 내용은 제목과 정반대로, 온갖 클리셰를 모조리 파괴하고 있다.
- ↑
일본어로 하스(
蓮 )라고 부른다. - ↑ 익히 알려진대로, "미확인 비행물체 (Unidentified Flying Object)"를 살짝 비튼 것.
- ↑ 중의적인 표현이다. 神(도교의 신)+霊廟(영묘)이기도 하고 神霊(신령)+廟(묘소)이기도 하다.
- ↑ 쇼토쿠 태자의 전설담 중 하나인 '열 사람(=많은 사람)의 소리(=청원)를 한 번에 듣는다고 하여 토요사토미미(豊聡耳)라 칭송하다'가 모티프.
- ↑ Double Dealing은 도박 용어로, 다른 참여자들 모르게 특정인에게만 유리한 판을 만들어주는 것을 말한다. 즉, 짜고치기.
- ↑ 일반적으로 "○○伝"은 "○○이야기(物語)" 정도를 뜻하지만, 직역하면 '○○으로 전하다(伝う), 옮겨오다'라도 할 수 있어서 '달의 도시를 환상향으로 천도시킨다'라는 작중 내용과 맞아떨어진다.
- ↑ 'Lunatic'은 관련 전승에서 유래한 어휘로서 "달빛으로 인해 광폭화 되는 모습(혹은 현상)"을 가리키지만, 작중 배경이 달의 도시이기 때문에 '月(적인) ○○'라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것이 더 타당하다.
하지만 미치광이 왕국으로 해석해도 딱히 문제가 되진... - ↑ Unconnected는 기본적으로 '관련이 없음'에 가깝지만, 직역하면 '비접촉 (연락두절, 거리를 둔)'이라는 뜻도 된다.
- ↑ 본래 제 99회 코믹마켓 때 내놓을 예정이었으나, 코미케가 겨울로 재차 연기되는 바람에 COMIC1 BS제(祭)때 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발매처가 바뀐 것은 정식 작품 중에선 최초. 근데 그 BS1제마저 취소되고, 결국 온라인 동시발매처이던 스팀으로 최초공개가 되었다.
- ↑ 한자 '園'은 구역(영역권)이라는 뜻도 가진다.
- ↑ 모티프가 되는 니치하쿠 잔무의 이름쪽 한자표기(残夢)를 영역(英譯)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아냐, 부동산이라니까?
정규 시리즈 | |
---|---|
외전 시리즈 | |
서적 | |
외전 시리즈 사운드트랙 | |
오리지널 앨범 | |
알려진 지역·장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