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아라크네

125.178.116.238 (토론)님의 2016년 4월 9일 (토) 22:29 판 (이 내용은 나무위키에 해당 부분을 작성한 저자 본인이 직접 가져온것)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http://orig14.deviantart.net/3ea8/f/2011/112/8/4/the_dinosaur_eater_by_eurwentala-d3elhdf.jpg 스칸소리옵테릭스를 사냥한 몽골아라크네

http://www.sciencespacerobots.com/pics/largest_fossil_spider_nephila%20jurassica.jpg 화석

Mongolarachne jurassica

[목차]

개요

쥐라기에 서식 했던 크고 아름다운 거미

내몽골 화산재 퇴적지역에서 발견된 세계 최대 크기의 고대 거미로 한때 '네필라 쥐라시카(Nephila jurassica)'라는 학명으로 불렸으며 최초로 발견된 화석은 암컷이었다고 한다.

거미의 몸 폭은 2.5cm에 불과 하지만 다리 하나당 길이가 6.3cm를 넘어 15cm가 넘어가는걸로 추정된다. 몽골아라크네는 외형상 무당거미와 굉장히 닮았으며 무당거미과로 분류 되었었다. 하지만...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c/Mongolarachne.jpg/240px-Mongolarachne.jpg 몽골아라크네 수컷(왼쪽)과 암컷(오른쪽).

수컷의 발견으로 무당거미류와는 다르다는게 밝혀졌다. 무당거미의 수컷은 6~10mm정도로 매우작고 암컷은 20~30mm에 달할정도 암수간의 크기차이가 큰데 몽골아라크네의 수컷은 암컷보다 조금 작다. 이 화석의 발견으로 몽골아라크네라는 학명으로 명명되며 '네필라 쥐라시카'는 몽골아라크네에 속하게된다.

현대의 거미들처럼 거미줄을 치고 사냥했을것으로 추정되며, 주로 작은 곤충이나 포유류를 잡아먹었겠지만 어린 공룡도 먹이로 삼았을것으로 것이다. 몽골아라크네의 거미줄은 벨크로만큼 질겼을것으로 추정되며, 거미줄이 이정도 였다면 자신보다 큰 먹이도 무사히 빠져나가지 못했을것이다.

프리히스토릭 킹덤에서 사육가능한 고생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