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한평역

Pikabot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1월 26일 (목) 16:22 판 (봇:틀 수정)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지하405
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33.7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1면 2선

장한평역
長漢坪驛 / Janghanpyeong Station

개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성동구의 경계에 위치한 지하역.

지하 3층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3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8개이다.

역사 내에 남녀화장실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편의점이 입점해 있다.

역 구조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

1995년 11월 15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주변 정보

근처에 장안평중고차시장, 서울특별시 중랑물재생센터이 있다. 서울교통공사(옛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본사가 이 역과 전역인 답십리역 사이에 있다.

지역 특성상 상권은 절대 기대 안하는게 좋다. 노년층 거주 비율이 꽤나 높은만큼 편의시설들도 딱 노년층이 즐겨찾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더불어 조선족이나 중국인들이 많이 살아서 그런지 중국어 간판을 은근히 볼 수 있다(인근 호텔 중에 중국인 관광객을 버스채로 받는 호텔도 있다). 그런 면에선 건대입구역 6번 출구쪽을 보는 기분. (그나마 건대입구역 6번출구쪽은 건대 빨을 받아 퀄리티가 좀 되지만 장한평역은...)

대신 중고차 시장 때문인지 자동차 관련 업체가 무지 많다. 길 가다 발에 채이는게 AS센터, 대리점, 부품 샵이다. 하지만 이것들을 이용한다는 것은 곧 차를 끌고 온다는 것이기 때문에 장한평역을 갈 일이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웃 역인 군자역과는 도보로 오가기 어려운데 중간에 군자교 근처에 보행자를 보호하지 않는 차도가 너무 많기 때문. 말인즉 차의 움직임을 보고 알아서 건너가야 하는 구간이 꽤 많다. 그냥 잊는게 속 편하다. 한편 버스정류장은 군자역과 마찬가지로 역으로부터 한참 걸어야 나오는 수준이라 환승 면에서도 좋지 않다. 군자역보다 나은 점은 군자역은 군자역이 위치한 능동사거리에 횡단보도가 없어서 길을 건널 때 군자역을 가로질러 가야 하지만 장한평역은 장한평역이 위치한 사거리에 횡단보도가 있어 구태여 역을 가로지르지 않아도 길을 건널 수 있다는 정도.

연계 교통

수도권 전철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방면
 542  답십리
 543  장한평 하남풍산 · 마천 방면
 544  군자

버스 노선

  • 서울 버스 130
  • 서울 버스 303
  • 서울 버스 370
  • 서울 버스 721
  • 서울 버스 2112
  • 서울 버스 2211
  • 서울 버스 2221
  • 서울 버스 2233
  • 서울 버스 3216
  • 서울 버스 3220
  • 서울 버스 8221[1]
  • 서울 심야 버스 N30
  • 경기 광역 버스 9301
  • 경기 광역 버스 9403

각주

  1. 평일 운행 맞춤버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