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

Chirho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7월 4일 (토) 18:02 판 (새 문서: 분류:개신교 {{종교}} *長老敎 ==개요== 예정설과 장로주의를 신봉하는 프로테스탄트(개신교)의 한 종파. 종교 개혁 시절 장 칼뱅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틀:종교

  • 長老敎

개요

예정설과 장로주의를 신봉하는 프로테스탄트(개신교)의 한 종파. 종교 개혁 시절 장 칼뱅의 신학 사상이 스코틀랜드로 유입되어, 칼뱅의 직계 제자인 존 녹스가 스코틀랜드 특유의 클랜 전통에 맞춰 장로 정치를 도입해 교회 체제를 확립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장로주의

교단이나 교회 내에 감독을 두지 않고, 신자 중에서 추대된 장로가 예배, 신앙생활을 지도하는 것을 주로 하는 것으로, 각 교회의 자주적인 독립을 중요시하는 개교회주의 성향이 강한 것이 특성이다. 이러면 목사가 교회 내에서 목회를 하는 것이 이상하게 보일 수도 있겠지만, 사실 목사도 "목회 장로"라고 하여서 장로로 본다. 다만, 장로교의 교회법상으로는 교인들이나 장로들의 힘이 강하기 때문에 당회와 총회에서 의결하면 목사를 견제하는 것이 상당히 쉬운 편에 속한다. 물론 현실은...

한국의 장로교

한국에서는 대다수의 교회가 장로교회라 봐도 무방할만큼 많은 장로교회가 있다. 한국에는 100개가 넘는 장로교단이 있다. 이 가운데 '한국기독교장로회'와 'IPC 한국준노회' 두 교단을 제외하면 나머지 교단들은 '대한예수교장로회(OO)' 식으로 표기하고 줄여서 예장OO로 지칭한다. 가장 큰 교단은 근본주의 성향의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이며 근소한 차이로 2위를 하는 교단이 소프트한 신정통주의 성향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이고, 3위는 기존에는 근본주의 성향의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근본주의 색채가 약간 덜한 복음주의 성향의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 교단이 무섭게 치고 올라와서 3위를 먹었다. 현재 4위는 예장고신이며, 5위는 하드코어 신정통주의 성향의 한국기독교장로회이다. 그 밖에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등의 교단이 주요 교단으로 있으며 나머지 교단들은 대부분 사이즈가 작은 군소 교단들이다. 근본주의복음주의 계열은 예정설에 입각한 칼빈의 정통 개혁주의 신학을 따르고, 신정통주의 계열은 칼빈 신학을 재해석한 칼 바르트 신학을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