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 노벨: 두 판 사이의 차이

(불필요한 넘겨주기 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라이트 노벨'''(ライトノベル, Light Novel)은 [[일본]]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소설]] 포맷의 한 형식을 말한다. 줄여서 '''라노베'''(ラノベ), '''라노벨'''이라고도 하며, 일부 한자권에서는 '''경소설'''(輕小說)이라고도 표기한다.
[[파일:Slayers old v01 jp.png|200px|섬네일|《[[슬레이어즈]]》(1989년)<br />라이트 노벨의 형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작품이다.]]
 
'''라이트 노벨'''(ライトノベル, {{llang|en|Light Novel}})은 [[일본]]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소설]] 포맷의 한 형식을 말한다. 줄여서 '''라노베'''(ラノベ), '''라노벨'''이라고도 하며, 일부 한자권에서는 '''경소설'''(輕小說)이라고도 표기한다.


== 정의 ==
== 정의 ==
일반적으로 [[만화]]나 [[애니메이션]]풍의 삽화가 삽입된 젊은 층을 주요 타겟으로 한 소설을 말한다. 하지만 모든 라이트 노벨이 이런 특징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 소설과의 경계가 애매하며 정확한 정의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다고 할 수가 없다. <ref>라이트노벨을 읽는 대부분의 젊은 층 사이에서는 라이트노벨(Light + Novel) 책 자체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는 이유도 있지만 니시오 이신 작품이라던가, 경계선상의 호라이즌같은 라이트노벨 때문에 내용 자체가 가볍다는 얘기도 있다. 물론 정확한 정의는 아니며 그런 이유로도 불린다는 사실이다.</ref>
일반적으로 [[만화]]나 [[애니메이션]]풍의 삽화가 삽입된, 젊은 층을 주요 타겟으로 한 소설을 말한다.
 
하지만 모든 라이트 노벨이 이런 특징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 소설과의 경계가 애매하며 정확한 정의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다고 할 수가 없다.<ref>라이트 노벨을 읽는 대부분의 젊은 층 사이에서는 라이트 노벨(Light + Novel) 책 자체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는 이유도 있지만 [[니시오 이신]] 작품이라던가,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같은 라이트 노벨 때문에 내용 자체가 가볍다는 얘기도 있다. 물론 정확한 정의는 아니며 그런 이유로도 불린다는 사실이다.</ref> 특히 내용으로는 라이트 노벨을 구분하기 어려운데, 흔히 '라이트 노벨스럽다'고 느끼는 [[러브 코미디]]식 시추에이션이나 [[어반 판타지]] 스타일, 단권 완결성 등은 딱히 라이트 노벨만의 특징이 아니기 때문이다.
 
== 역사 ==
{{빈 문단}}
 
== 특징 ==
일본판의 판형 크기가 한국판보다 조금 더 작은데, 일본의 라이트 노벨은 기본적으로 [[문고본]]이기 때문이다. 한국도 1990년대 초 판타지 노벨 및 어드벤처 노벨 레이블로 최초에 라이트 노벨이 수입되었을 때는 문고본 판형이었지만, 2002년에 [[NT노벨]]이 출범한 이후로는 한국 실정에 맞추어서 판형을 더 확대했다.


== 라이트 노벨 브랜드 목록 ==
== 라이트 노벨 브랜드 목록 ==
자세한 내용은 [http://ranobe-mori.net/ 라노베의 숲]을 참조해주세요.
{{안내문|자세한 내용은 [http://ranobe-mori.net/ 라노베의 숲]을 참조해주세요.}}
=== 일본 ===
=== 일본 ===
*[[GA 문고]]
*[[GA 문고]]
14번째 줄: 24번째 줄:
*[[전격 문고]]
*[[전격 문고]]
*[[카도카와 스니커 문고]]
*[[카도카와 스니커 문고]]
*[[코단샤 라이트 노벨 문고]]
*[[코단샤 라노베 문고]]
*[[패미통 문고]]
*[[패미통 문고]]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
21번째 줄: 31번째 줄:
*[[몬스터 문고]]
*[[몬스터 문고]]


=== 한국 ===
=== 대한민국 ===
*[[J노블]]
*[[J노블]]
*[[L노벨]]
*[[L노벨]]
31번째 줄: 41번째 줄:
*[[익스트림 노벨]]
*[[익스트림 노벨]]
*[[카니발 노벨]]
*[[카니발 노벨]]
== 라이트 노벨 목록 ==
{{참조|분류:라이트 노벨}}
== 기타 ==
일본판의 크기가 한국판보다 조금 더 작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에로 라이트 노벨]]
* [[에로 라이트 노벨]]
* [[웹 소설]]
* [[펄프 픽션]]
== 관련 사이트 ==
* {{언어링크|ja}} [http://ranobe-mori.net/ 라노베의 숲]


{{주석}}
{{주석}}
[[분류:소설]]
[[분류:라이트 노벨| ]]
[[분류:라이트 노벨| ]]

2020년 6월 20일 (토) 17:25 판

슬레이어즈》(1989년)
라이트 노벨의 형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작품이다.

라이트 노벨(ライトノベル, 영어: Light Novel)은 일본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소설 포맷의 한 형식을 말한다. 줄여서 라노베(ラノベ), 라노벨이라고도 하며, 일부 한자권에서는 경소설(輕小說)이라고도 표기한다.

정의

일반적으로 만화애니메이션풍의 삽화가 삽입된, 젊은 층을 주요 타겟으로 한 소설을 말한다.

하지만 모든 라이트 노벨이 이런 특징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 소설과의 경계가 애매하며 정확한 정의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다고 할 수가 없다.[1] 특히 내용으로는 라이트 노벨을 구분하기 어려운데, 흔히 '라이트 노벨스럽다'고 느끼는 러브 코미디식 시추에이션이나 어반 판타지 스타일, 단권 완결성 등은 딱히 라이트 노벨만의 특징이 아니기 때문이다.

역사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특징

일본판의 판형 크기가 한국판보다 조금 더 작은데, 일본의 라이트 노벨은 기본적으로 문고본이기 때문이다. 한국도 1990년대 초 판타지 노벨 및 어드벤처 노벨 레이블로 최초에 라이트 노벨이 수입되었을 때는 문고본 판형이었지만, 2002년에 NT노벨이 출범한 이후로는 한국 실정에 맞추어서 판형을 더 확대했다.

라이트 노벨 브랜드 목록

일본

대한민국

같이 보기

관련 사이트

각주

  1. 라이트 노벨을 읽는 대부분의 젊은 층 사이에서는 라이트 노벨(Light + Novel) 책 자체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는 이유도 있지만 니시오 이신 작품이라던가,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같은 라이트 노벨 때문에 내용 자체가 가볍다는 얘기도 있다. 물론 정확한 정의는 아니며 그런 이유로도 불린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