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점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한국 철도 노선색2|KR}}" 문자열을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문자열로)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분류:태백시의 철도역]]
[[분류:태백시의 철도역]]
[[분류:태백관리역]]
[[분류:태백관리역]]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상단 = [[파일:Korail_Yeongdong_Line_Dongjeom_Station.jpg]]
|역명 = KORAIL 동점역
|그림 =
|역번호 =
|역코드 = 437
|주소 = [[강원도]] [[태백시]] 태백로 2382<br>(동점동 199-1)
|개업일 = {{날짜/출력|1940-8-1}} <small>([[영동선]])</small>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
|운임구역 =
|이용객 =
|노선 = [[영동선]] <small>83.0 km</small>
}}
==개요==
==개요==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에 위치한 역으로 주변에는 작은 민가 몇 채가 있을 뿐 아무것도 없는 그야말로 산 속 오지의 간이역이다. 그러나 [[영동선]]의 선로가 [[철암역]]에서 동점역까지 계속해서 내리막길로 내달리는 역인지라 잘못하면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기 딱 좋은 위치이다. 이런 이유로 [[피난선]]이 설치되었으며, 2015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피난선]]이 남아있는 역이다.{{ㅈ|[http://lovtrout.blog.me/90019666818 동점역 피난선 답사기]}} 이 역에는 별도로 안전측선을 낼 공간이 없어 피난선이 안전측선의 역할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선로를 통째로 이설하지 않는 한 피난선이 없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에 위치한 역으로 주변에는 작은 민가 몇 채가 있을 뿐 아무것도 없는 그야말로 산 속 오지의 간이역이다. 그러나 [[영동선]]의 선로가 [[철암역]]에서 동점역까지 계속해서 내리막길로 내달리는 역인지라 잘못하면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기 딱 좋은 위치이다. 이런 이유로 [[피난선]]이 설치되었으며, 2015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피난선]]이 남아있는 역이다.{{ㅈ|[http://lovtrout.blog.me/90019666818 동점역 피난선 답사기]}} 이 역에는 별도로 안전측선을 낼 공간이 없어 피난선이 안전측선의 역할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선로를 통째로 이설하지 않는 한 피난선이 없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19년 12월 23일 (월) 13:38 판

주소 강원도 태백시 태백로 2382
(동점동 199-1)
노선 영동선 83.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틀:날짜/출력 (영동선)

개요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에 위치한 역으로 주변에는 작은 민가 몇 채가 있을 뿐 아무것도 없는 그야말로 산 속 오지의 간이역이다. 그러나 영동선의 선로가 철암역에서 동점역까지 계속해서 내리막길로 내달리는 역인지라 잘못하면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기 딱 좋은 위치이다. 이런 이유로 피난선이 설치되었으며, 2015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피난선이 남아있는 역이다.[1] 이 역에는 별도로 안전측선을 낼 공간이 없어 피난선이 안전측선의 역할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선로를 통째로 이설하지 않는 한 피난선이 없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영주 방면
석포 6.2 km
동점 청량 방면
철암 4.0 km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