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ed: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ref는 미디어위키 확장 기능 cite의 태그입니다.)
태그: 모니위키(나무위키) 문법 사용이 의심됨
(자주 묻는 질문 필요없을 것 같아서 삭제했습니다. 아니라고 생각하신다면 복구해주세요.)
1번째 줄: 1번째 줄:
'''the seed'''는 [[나무위키]]의 설립자인 namu, PPPP, kasio 등이 만든 위키 엔진으로, [[모니위키]]를 개선, 보완하여 만들어진 위키 엔진이다. [[2015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당시 설립된 나무위키에서 기존 [[리그베다 위키]]와의 문법 호환을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the seed'''는 [[나무위키]]의 설립자인 namu, PPPP, kasio 등이 만든 위키 엔진으로, [[모니위키]] 문법의 호환을 목표로 만들어진 위키 엔진이다. [[node.js]]로 작성되었고 성능을 위해 [[C++]]도 일부 이용되었으며 템플릿 언어로는 swig를 이용한다.<ref>현재 [[Vue.js]]로 바꾸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ref> [[2015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당시 설립된 나무위키에서 기존 [[리그베다 위키]]와의 문법 호환을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미디어위키]]와 달리 비공개라 인터넷상에 배포를 하지 않는다. {{ㅊ|즉 [[놓치기엔 너무 아까운 고기]].}}
[[미디어위키]]와 달리 비공개라 인터넷상에 배포를 하지 않는다. {{ㅊ|즉 [[놓치기엔 너무 아까운 고기]].}}


== 특징 ==
== 특징 ==
* node.js의 expre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최근 변경이 문서와 토론으로 분리되었으며, 스레드 토론을 채택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MySQL이나 MariaDB로 추측된다.
* 데이터베이스로 PostgreSQL을 사용한다.
* 미리보기를 iframe으로 지원한다.
* 토론을 스레드 형식으로 기본 지원한다. 미디어위키에서는 Flow 확장 기능을 설치해야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비교된다.
* 최근 변경이 문서와 토론으로 분리되어 표시된다.


== 장점 ==
== 장점 ==
14번째 줄: 10번째 줄:


== 단점 ==
== 단점 ==
* 문서 [[삭제]] 권한이 일반 회원에게도 있어서 [[문서 훼손]]에 매우 취약하다.
미디어위키에 비해 지원하는 기능이 매우 열악하다. 일단 더시드엔진은 성능상의 이유로 기여내역 조회에 제약을 걸었으며<ref>나무위키는 30일</ref> 관리 인터페이스의 불성실함 (예시: 차단기간 입력 기능 미비), 초심자에 대한 배려부족(문법 어렵다는 미디어위키도 최소한 위에 간단한 문법버튼은 넣어준다.), 파서 함수의 결여등이 있다. 파서 함수가 없어서 미디어위키였으면 틀 문서 하나로 끝냈을 것을 나무위키에서는 틀 문서 여러개로 해결하고 있다.
 
== 모니위키와의 호환성 ==
[[namu]]는 위키 엔진 개발시 모니위키와의 문법호환을 염두에 두고 개발한다. 따라서 나무위키의 문법을 모니위키에 붙여넣으면 얼추 호환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위키 개발 초기에 개발진이 모니위키의 파서를 참고하려 했으나 모니위키의 소스코드가 너무 더려워 기초부터 새로 개발한 것이고, 이 과정에서 파편화된 문법을 정리하면서 모니위키와의 호환성이 완전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갖추게 된 것이다.


== 쓰이는 곳 ==
== 쓰이는 곳 ==
애초에 나무위키를 위한 비공개 엔진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나무위키]]와 테스트용으로 운영되는 더시드위키, 그리고 [[나무위키 민선 폐지 사건]] 이후 namu가 관선 반대 세력을 포섭하기 위해 만든 [[알파위키]]만 The seed 위키를 돌리도록 되어 있다. {{ㅊ|[[놓치기엔 너무 아까운 고기]]}} 정 나무위키 문법으로 위키를 운영하고 싶다면 [[미디어위키]]에 [https://github.com/Oriwiki/php-namumark-mediawiki 나무마크]를 깔도록 하자.
애초에 나무위키를 위한 비공개 엔진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나무위키]]와 테스트용으로 운영되는 더시드위키, 그리고 [[나무위키 민선 폐지 사건]] 이후 namu가 관선 반대 세력을 포섭하기 위해 만든 [[알파위키]]만 The seed 위키를 돌리도록 되어 있다. {{ㅊ|[[놓치기엔 너무 아까운 고기]]}} 정 나무위키 문법으로 위키를 운영하고 싶다면 [[미디어위키]]에 [https://github.com/Oriwiki/php-namumark-mediawiki 나무마크]를 깔도록 하자.
== 자주 묻는 질문 ==
'''the seed'''의 자주 묻는 질문입니다.
* 미리보기에서 다른 안쪽 링크를 클릭했는데 미리보기의 내용이 사라지고 해당 링크의 내용이 표시됩니다.
** 미리보기는 iframe으로 표시되므로, 편집 탭을 누른 다음 미리보기 탭을 누르세요.
* 문서를 편집하고 나서 저장을 눌렀는데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이후 인터넷을 연결하고 나서 뒤로 가기를 선택하여 현재 편집 중인 내용이 지워졌습니다.
** 이 문제는 다른 위키 소프트웨어에서도 일어나나, the seed의 특성상 현재 편집 중인 내용을 저장하면 브라우저에서 기존 편집 중인 내용을 기억하지 않고 저장하기 때문에 뒤로 가기를 선택할 때 기존 내용은 사라질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를 할 경우에는 iframe을 통해 제출되어 현재의 편집 화면을 새로 고침을 하여도 브라우저에서 현재 편집 중인 내용을 기억하지 않습니다. 인터넷이 원활하게 연결되지 않으면 현재 편집할 내용을 모두 선택하여 복사한 다음 잠시 바깥 편집기에 임시로 붙여넣어 저장해주시기 바랍니다.
* 문서를 편집하고 나서 미리보기를 했으나 저장을 하지 않고 다른 앱을 이용하는 도중 현재 편집 중이던 브라우저가 메모리 부족으로 종료되어 현재 편집 중인 내용이 지워졌습니다.
** 이 문제는 the seed의 특성상 미리보기를 할 경우에는 iframe을 통해 제출되어 현재의 편집 화면이 브라우저가 종료되고 나서 실행이 되어도 브라우저에서 현재 편집 중인 내용을 기억하지 않습니다. 브라우저가 종료될 것으로 예상된다면 현재 편집할 내용을 모두 선택하여 복사한 다음 잠시 바깥 편집기에 임시로 붙여넣어 저장해주시기 바랍니다.
* 넘겨주기 문서를 만들었는데 넘겨주기 문법 아래의 내용이 모두 지워져요.
** the seed의 특성 때문입니다.
** 참고로 넘겨주기 문서를 만들거나 넘겨주기 문서로 편집하면 '#넘겨주기 문서명' 및 '#REDIRECT 문서명'은 '#redirect 문서명'으로 바뀌게 됩니다.
* 원하는 문서의 버전 내용을 내보낼 수 없어요.
** w?????님의 의견에 따르면 원하는 문서의 전체 역사는 따로 내보낼 수 없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번거롭겠지만 다음 방법으로 내보내야 합니다.
**# 원하는 문서에서 역사를 클릭합니다.
**# 페이지마다 있는 &#91;더 보기&#93; 링크를 각각 새 탭으로 열어 r1이 나올 때까지 반복합니다. 마우스가 있으면 가운데 버튼으로 쉽게 열 수 있습니다.
**# 각 버전의 번호, 날짜 및 시간, 및 사용자 이름/IP 주소를 복사하여 붙여넣고, RAW로 들어가 모두 선택하여 복사하여 붙여넣으면 됩니다.
* "&#91;오류!&#93; CSRF 방지 토큰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다시 시도해주세요."가 표시됩니다.
** 현재 편집 저장을 시도하는 문서 이후에 또다른 문서의 편집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문서의 편집 내용을 확인하고 나서 저장을 누르세요.
* 편집 역사에서 자동 병합됨이라는 텍스트가 있습니다.
** 현재 편집 중인 사용자가 저장하기 전에 이미 다른 사용자의 편집이 저장되고 나서 편집 충돌이 없이 현재의 편집이 저장되는 경우 표시됩니다.
* the seed 버전 정보와 라이선스를 보고 싶습니다.
** the seed 버전 정보와 라이선스는 '''/License'''에서 볼 수 있습니다.


[[분류:위키 소프트웨어]]
[[분류:위키 소프트웨어]]

2019년 3월 30일 (토) 22:24 판

the seed나무위키의 설립자인 namu, PPPP, kasio 등이 만든 위키 엔진으로, 모니위키 문법의 호환을 목표로 만들어진 위키 엔진이다. node.js로 작성되었고 성능을 위해 C++도 일부 이용되었으며 템플릿 언어로는 swig를 이용한다.[1] 2015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당시 설립된 나무위키에서 기존 리그베다 위키와의 문법 호환을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미디어위키와 달리 비공개라 인터넷상에 배포를 하지 않는다. 놓치기엔 너무 아까운 고기.

특징

최근 변경이 문서와 토론으로 분리되었으며, 스레드 토론을 채택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MySQL이나 MariaDB로 추측된다.

장점

  • 문법이 직관적이다. 예를 들어, 미디어위키 확장 기능인 cite의 각주 문법을 입력할 시 별도의 틀 없이는 <ref>내용</ref>식으로 한/영키를 일일이 눌러야하는 미디어위키와는 다르게, 한/영키 변환 없이 [* 내용]식으로 내용 사이에 특수문자 입력만 하면 된다. 대한민국에서 나무위키가 가장 많이 쓰이는 위키가 된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이다.

단점

미디어위키에 비해 지원하는 기능이 매우 열악하다. 일단 더시드엔진은 성능상의 이유로 기여내역 조회에 제약을 걸었으며[2] 관리 인터페이스의 불성실함 (예시: 차단기간 입력 기능 미비), 초심자에 대한 배려부족(문법 어렵다는 미디어위키도 최소한 위에 간단한 문법버튼은 넣어준다.), 파서 함수의 결여등이 있다. 파서 함수가 없어서 미디어위키였으면 틀 문서 하나로 끝냈을 것을 나무위키에서는 틀 문서 여러개로 해결하고 있다.

모니위키와의 호환성

namu는 위키 엔진 개발시 모니위키와의 문법호환을 염두에 두고 개발한다. 따라서 나무위키의 문법을 모니위키에 붙여넣으면 얼추 호환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위키 개발 초기에 개발진이 모니위키의 파서를 참고하려 했으나 모니위키의 소스코드가 너무 더려워 기초부터 새로 개발한 것이고, 이 과정에서 파편화된 문법을 정리하면서 모니위키와의 호환성이 완전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갖추게 된 것이다.

쓰이는 곳

애초에 나무위키를 위한 비공개 엔진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나무위키와 테스트용으로 운영되는 더시드위키, 그리고 나무위키 민선 폐지 사건 이후 namu가 관선 반대 세력을 포섭하기 위해 만든 알파위키만 The seed 위키를 돌리도록 되어 있다. 놓치기엔 너무 아까운 고기 정 나무위키 문법으로 위키를 운영하고 싶다면 미디어위키나무마크를 깔도록 하자.

  1. 현재 Vue.js로 바꾸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 나무위키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