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59번째 줄: 59번째 줄:
==개요==
==개요==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위치한 [[전철역]]으로 [[중앙선]]의 복선전철화를 하면서 함께 개통된 역이다. 동네 이름을 생각하면 [[도곡역]]이나 도곡리역 정도를 써야했지만 문제는 이미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강남리 마을전철 구간에 [[도곡역]]이 자리하고 있어서 이 이름을 그대로 썼다가는 헷갈릴 우려가 있기에 이 동네의 다른 지명인 도심을 역 이름에 가져다 붙인 것이다. 그러니 괜히 도시 한가운데라는 의미의 도심과 헷갈리지 말자.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위치한 [[전철역]]으로 [[중앙선]]의 복선전철화를 하면서 함께 개통된 역이다. 동네 이름을 생각하면 [[도곡역]]이나 도곡리역 정도를 써야했지만 문제는 이미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강남리 마을전철 구간에 [[도곡역]]이 자리하고 있어서 이 이름을 그대로 썼다가는 헷갈릴 우려가 있기에 이 동네의 다른 지명인 도심을 역 이름에 가져다 붙인 것이다. 그러니 괜히 도시 한가운데라는 의미의 도심과 헷갈리지 말자.
<!--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역 주변==
==역 주변==
이 도곡리역 남쪽의 도곡리 마을은 인구가 나름 좀 되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덕소리와는 물리적인 거리도 그렇고 지리적으로도 애매하게 분리가 되어있다. [[중앙선]] 선로를 제외하면 두 동네를 제대로 이어주는 것은 도로 하나가 사실상 전부일 정도. 물론 역 북쪽은 덕소중학교와, 도심초등학교, 그리고 아파트 몇 동을 제외하면 딱히 뭐가 없기는 하다.
이 도곡리역 남쪽의 도곡리 마을은 인구가 나름 좀 되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덕소리와는 물리적인 거리도 그렇고 지리적으로도 애매하게 분리가 되어있다. [[중앙선]] 선로를 제외하면 두 동네를 제대로 이어주는 것은 도로 하나가 사실상 전부일 정도. 물론 역 북쪽은 덕소중학교와, 도심초등학교, 그리고 아파트 몇 동을 제외하면 딱히 뭐가 없기는 하다.
{{주석}}
{{주석}}

2018년 3월 10일 (토) 18:10 판

본 틀은 {{새 철도역 정보}}로 교체중입니다. 자세한 것은 템플릿 문서를 참고하세요.


운영주체 한국철도공사
colspan="5" class="tp_link"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덕소
1.5km

K127
4.2km
용문 방면
팔당
중앙선
청량리 방면
덕소
1.5km
4.2km
경주 방면
팔당

도시 한가운데에 있는 역

개요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위치한 전철역으로 중앙선의 복선전철화를 하면서 함께 개통된 역이다. 동네 이름을 생각하면 도곡역이나 도곡리역 정도를 써야했지만 문제는 이미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강남리 마을전철 구간에 도곡역이 자리하고 있어서 이 이름을 그대로 썼다가는 헷갈릴 우려가 있기에 이 동네의 다른 지명인 도심을 역 이름에 가져다 붙인 것이다. 그러니 괜히 도시 한가운데라는 의미의 도심과 헷갈리지 말자.

역 주변

이 도곡리역 남쪽의 도곡리 마을은 인구가 나름 좀 되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덕소리와는 물리적인 거리도 그렇고 지리적으로도 애매하게 분리가 되어있다. 중앙선 선로를 제외하면 두 동네를 제대로 이어주는 것은 도로 하나가 사실상 전부일 정도. 물론 역 북쪽은 덕소중학교와, 도심초등학교, 그리고 아파트 몇 동을 제외하면 딱히 뭐가 없기는 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