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니지 디나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아랍어]] : دينار تونسي () / [[프랑스어]] : Dinar Tunisien (디나흐 튀니지엥) / [[영어]] : Tunisian Dinar (튜니지언 디날)
[[아랍어]] : دينار تونسي (디나르 투니지) / [[프랑스어]] : Dinar Tunisien (디나흐 튀니지엥) / [[영어]] : Tunisian Dinar (튜니지언 디날)


== 소개 ==
== 소개 ==
5번째 줄: 5번째 줄:


전신은 프랑스 식민지 통화인 [[프랑스 프랑|튀니지 프랑]], 교환비는 1/1000이다. 이후 통화개혁을 진행한 적은 없다.
전신은 프랑스 식민지 통화인 [[프랑스 프랑|튀니지 프랑]], 교환비는 1/1000이다. 이후 통화개혁을 진행한 적은 없다.
2014년 11월 현재 환율은 약 600원/DT으로 가격대가 높지 않은 편. 이는 해가 갈수록 디나르 가치가 점점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효과로 현지 물가는 매년 갈수록 팍팍 오르는 중(...) 하지만 전체적인 물가는 여전히 한국보다 저렴한 수준인데, 식당물가가 그나마 한국과 유사하고 (약 10디나르 전후), 시장물가는 어지간한 과일 1kg에 1디나르선일 정도에 아무리 거하게 장을 봐도 50디나르 정도가 한계선. 숙박비는 약 30디나르부터 400디나르까지, 택시비도 기본요금이 2디나르 미만이다.


=== 환전 및 사용 ===
=== 환전 및 사용 ===
동전 중 최저액권인 1밀림화(0.6원)는 폐기되었고, 그 이상부터 통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20밀림(약 12원) 이하 동전은 한국의 10원짜리보다 못한 취급을 받고있다(...)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00밀림(대략 빵 반개 값)과 디나르 계열.
동전 중 최저액권인 1밀림화(0.6원)는 폐기되었고, 그 이상부터 통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20밀림(약 12원) 이하 동전은 한국의 10원짜리보다 못한 취급을 받고있다(...)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00밀림(대략 빵 반개 값)과 디나르 계열.
2014년 11월 환율은 약 600원/DT, 2018년 1월 환율은 435원/DT으로 가격대가 별로 높지 않은 편인데다 해가 갈수록 가치가 쭉 하락세에 있다. 그 반작용으로 현지 물가는 매년 갈수록 오르고 있는데, 그럼에도 전체적인 물가는 여전히 한국보다 저렴한 수준이다. 식당물가정도 되어야 그나마 한국과 유사해지고 (약 10~20디나르 전후), 시장물가는 어지간한 과일 1kg에 1~2디나르선일 정도에 아무리 거하게 장을 봐도 50디나르 정도가 한계선이다. 숙박비는 약 30디나르부터 400디나르까지, 택시비도 기본요금이 2~3디나르 미만으로 잡힌다.


== 현찰 시리즈 ==
== 현찰 시리즈 ==
15번째 줄: 15번째 줄:
2015년 기준으로 9종류가 유통되고 있지만 사용범위는 다소 좁다. 그리고 일체 로마자가 쓰여있지 않아 구분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2015년 기준으로 9종류가 유통되고 있지만 사용범위는 다소 좁다. 그리고 일체 로마자가 쓰여있지 않아 구분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 5, 10, 20, 50, 100, 200밀림, ½, 1, 2, 5디나르
* 5, 10, 20, 50, 100, 200밀림, ½, 1, 2, 5디나르
=== 현행신권 (가칭) ===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Tunisian Dinar Series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DT 2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현행권 (가칭) ===
=== 현행권 (가칭) ===

2018년 1월 1일 (월) 21:08 판

아랍어 : دينار تونسي (디나르 투니지) / 프랑스어 : Dinar Tunisien (디나흐 튀니지엥) / 영어 : Tunisian Dinar (튜니지언 디날)

소개

튀니지디나르 계열 통화이다. ISO 4217 코드는 TND, 기호는 د.ت 혹은 DT를 사용한다. 다만 DT가 좀 더 대중적.DT!![1] 2013년 인플레이션 추정치는 6.1%로 다소 높은 편이고, 보조단위로는 밀림(Millime) 단위를 쓴다.[2] 비교적 세속적인 국가인지라 옆나라와는 반대로 통화유출에 지나치게 관대하다. 도리어 외화관리가 까다로워서 외화[3]→디나르는 간편하지만, 디나르→외화는 무진장 까다로운 편. 만일 튀니지로 갈 일이 있다면 반드시 현지통화 환전 후 영수증을 돌아갈 때까지 갖고있자. 재환전때 여권과 동시에 요구한다.

전신은 프랑스 식민지 통화인 튀니지 프랑, 교환비는 1/1000이다. 이후 통화개혁을 진행한 적은 없다.

환전 및 사용

동전 중 최저액권인 1밀림화(0.6원)는 폐기되었고, 그 이상부터 통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20밀림(약 12원) 이하 동전은 한국의 10원짜리보다 못한 취급을 받고있다(...)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00밀림(대략 빵 반개 값)과 디나르 계열.

2014년 11월 환율은 약 600원/DT, 2018년 1월 환율은 435원/DT으로 가격대가 별로 높지 않은 편인데다 해가 갈수록 가치가 쭉 하락세에 있다. 그 반작용으로 현지 물가는 매년 갈수록 오르고 있는데, 그럼에도 전체적인 물가는 여전히 한국보다 저렴한 수준이다. 식당물가정도 되어야 그나마 한국과 유사해지고 (약 10~20디나르 전후), 시장물가는 어지간한 과일 1kg에 1~2디나르선일 정도에 아무리 거하게 장을 봐도 50디나르 정도가 한계선이다. 숙박비는 약 30디나르부터 400디나르까지, 택시비도 기본요금이 2~3디나르 미만으로 잡힌다.

현찰 시리즈

동전

2015년 기준으로 9종류가 유통되고 있지만 사용범위는 다소 좁다. 그리고 일체 로마자가 쓰여있지 않아 구분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 5, 10, 20, 50, 100, 200밀림, ½, 1, 2, 5디나르

현행신권 (가칭)

Tunisian Dinar Series
모습 앞면 뒷면
DT 20

현행권 (가칭)

Tunisian Dinar Series
모습 앞면 뒷면
DT 5
DT 10
DT 20
DT 50
  • DT 50은 녹색계통(구형)과 청색계통(신형) 2종류가 있다.

구권 (가칭)

Tunisian Dinar Series
모습 앞면 뒷면
DT 5
DT 10

(구형)

DT 10

(신형)

DT 20
DT 30

각주

  1. 나름 프랑코포니 국가라 프랑스어 약자를 사용한다. 그리고 프랑스, 이탈리아와 교류가 많은 나라라 프랑스어 사용자가 꽤 많은 편.
  2. 프랑스어 Mille에서 유래한 단위이므로 1/1000 단위이다.
  3. 주로 유로, 미국 달러를 이용한다.

틀: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