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급 구축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구축함을(를)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DDH 971, 972, 973
*DDH 971, 972, 973
==개요==
==개요==
[[대한민국 해군]]의 [[구축함]] 함급 중 하나로 초도함인 광개토대왕함을 비롯하여 을지문덕함, 양만춘함 총 3척의 함정이 건조되어 취역한 함선이다. 함급이기도 한 초도함의 함명은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의 이름에서 따 온 것으로 이 함급의 함명들은 모두 고구려 관련 역사 인물들로 명명되어 있다.
[[대한민국 해군]]의 [[구축함]] 함급 중 하나로 초도함이자 네입쉽인 광개토대왕함을 비롯하여 을지문덕함, 양만춘함 총 3척의 함정이 건조되어 취역한 함선이다. 함급이기도 한 초도함인 광개토대왕함은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의 이름에서 따 온 것으로 이 함급의 함명들은 모두 고구려 출신의 위인들 이름을 붙였다는 특징이 있다.{{ㅊ|어울리지 않게}}


==개발과 배치==
==개발과 배치==

2016년 10월 19일 (수) 18:38 판

틀:군사

  • Class Gwanggaeto the Great
  • DDH 971, 972, 973

개요

대한민국 해군구축함 함급 중 하나로 초도함이자 네입쉽인 광개토대왕함을 비롯하여 을지문덕함, 양만춘함 총 3척의 함정이 건조되어 취역한 함선이다. 함급이기도 한 초도함인 광개토대왕함은 고구려광개토대왕의 이름에서 따 온 것으로 이 함급의 함명들은 모두 고구려 출신의 위인들 이름을 붙였다는 특징이 있다.어울리지 않게

개발과 배치

제원 및 주요 무장

  • 함포 : 오토멜라라 127mm 54
  • 대함유도탄
  • 대공 무기체계
    • 시스패로우 미사일
    • 골키퍼
  • 대잠 무기체계
    • 예인소나 TASS
    • 대잠폭뢰
  • 헬리콥터 2기 운용 가능

특성

한국 해군은 이 함을 구축함으로 분류하지만 국외의 시각은 이 함급을 호위함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그도 그럴만한 것이 구축함 치고는 작은 편인 3,800톤내외의 크기로 대공 무장 역시 스탠다드 계열 미사일이 아닌 시스패로우 미사일로 되어 있어 본격적인 방공 능력이 아닌 개함 방공 능력을 갖춘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 또한 이렇게 애매한 사이즈이다 보니 본격적인 원양작전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도 약점으로 지적된다. 현대 함정의 필수 덕목(?)인 스텔스 형상설계 역시 연돌과 헬기 격납고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적용되어서 본격적인 스텔스 형상설계에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이 함정은 대한민국 해군이 자체적으로 건조한 최초의 구축함급 함정이라는 의미와 최초로 된 제대로 된 개함방공능력을 갖춘 함정이라는 특성이 있다. 이 함급을 운용하면서 쌓인 노하우가 이후 KD-2급 구축함인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에 반영되어 보다 대형화된 함을 건조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이를 기점으로 한국 해군이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연안해군에서 지역해군 이상의 수준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개량사업

2016년 KDX-1 성능개량사업이 공고되었다. 전투체계(지통체계) 및 무기 체계 개량사업을 개량하는 것으로 2022년까지 3척의 함선을 순차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계획되어 있다. 방위사업청 공고

취역 함정

  • DDH-971 광개토대왕함
  • DDH-972 을지문덕함
  • DDH-973 양만춘함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