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호우: 두 판 사이의 차이

(링크가 잘못 걸릴 경우, 봇 관리자에게 알려주세요. 링크 달리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봇편집을 되돌려주세요.)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지구과학]][[분류:자연지리]]
[[분류:지구과학]][[분류:자연지리]][[분류:자연현상]]
{{학술}}
{{학술}}
==개요==
==개요==

2015년 9월 29일 (화) 05:14 판

틀:학술

개요

집중 호우란, 짧은 시간 동안에 좁은 영역에 일정량 이상의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좁은 특정 영역에 내리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다른데는 비가 안오고 한 곳만 집중 호우가 발생할 경우 이를 국지성 호우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집중 호우의 기준

집중 호우의 기준은 간단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시간에 30mm 이상이나 하루에 80mm 이상의 비가 내리거나 연강수량의 10%에 상당하는 비가 하루에 내렸을 때를 집중 호우 라고 합니다.

감이 않오신다구요? 예를 몇 가지 보여 드리죠,

  1. 서울에서는 1시간에 10mm만 와도 폭우라고 합니다. 10mm라고 하니까 우습게 여겨질 수도 있는데 실제로는 지표면 전체에 고르게 물이 1cm이상 깔렸다는 얘기랍니다.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니까.... 저지대의 경우 그 물이 모두 모이면....(이하생략)
  2. 우리나라 연간 강수량은 1200~1400mm 입니다. 하루에 80mm 이상 왔다는 것은 연간 강수량의 1/14가 왔다는 의미 입니다.
  3. 2010년 9월 21에는 서울 , 경기, 인천 수도권 지역에 시간당 80mm 이상의 비가 왔는데요. 기억하시는지는 모르겠으나, 정말 난장판 이었죠. 대부분의 지역이 물에 잠겨서 작살났다고 합니다.

아래는 그때의 사진입니다.

홍대입구역의 모습

집중 호우가 발생하는 이유

뇌우 항목에서도 말씀드렸다 시피, 집중 호우는 대체로 적란운 때문에 일어납니다. 재난 콤보 5종 세트의 일원이죠.이외에 태풍과 같은 열대성 저기압이나, 구름이 산맥에 걸려서 내리는 경우와 같은 원인이 있기도 합니다. 한국의 경우 장마전선대가 한 곳에 오래 머무르면서 산을 만나면 이런 일이 생기기도 하지요(지리산 지역의 집중호우가 이런 형태입니다) 정말 재수없는 경우에는 이 요인 중 두 가지 이상이 섞여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가을장마라 불리는 8월 말~9월 초에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랍니다.(대체로 장마전선과 태풍의 퓨전으로 적란운이 강화됨)

역대급 집중호우 기록

  • 1일 최다강수량 : 2002년 8월 31일태풍 루사영동지방을 내습했을 당시 강릉지방에는 870.5mm의 비가 하루만에 쏟아진다. 강릉 연평균 강수량이 1500mm내외인걸 감안하면 일년치 비의 절반이 하루만에 내린 것. 더 후덜덜한 것은 저 비의 양이 강릉 관내에서 보유중인 우량계가 잴 수 있는 한계치가 저기까지여서 그냥 저렇게 기록이 된 것이지 실제로는 더 많이 왔다는 것이다....ㄷㄷㄷㄷ이 당시 까딱했으면 강릉댐이 붕괴하여 강릉시내가 정말로 사라질 뻔 했었다.
  • 시간당 최대강수량 : 1988년 7월 31일 전라남도 순천시의 시간당 145mm의 강수가 국내에서 기록된 시간당 최대강수량이다. 1년치 강수량의 약 10%가 한시간만에 내린 것. 물론 이 기록 앞뒤로도 비가 더 왔을 것이니까...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