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오대호'''(五大湖, {{llang|en|Great Lakes}})는 [[미국]]과 [[캐나다]] 사이에 있는 다섯 개의 큰 [[호수]]를 칭한다. 위치상으로는 미국 북동부에 해당하며 다섯 호수의 면적을 모두 합치면 245,000㎢에 이르는 매우 거대한 담수계를 이루고 있다. 전 세계 담수 공급의 20%를 차지하는 호수로 담수 공급량만으로 따지면 [[바이칼호]] 다음으로 큰 규모이다.  
'''오대호'''(五大湖, {{llang|en|Great Lakes}})는 [[미국]]과 [[캐나다]] 사이에 있는 다섯 개의 큰 [[호수]]를 칭한다. 위치상으로는 미국 북동부에 해당하며 다섯 호수의 면적을 모두 합치면 245,000㎢에 이르는 매우 거대한 담수계를 이루고 있다. 전 세계 담수 공급의 20%를 차지하는 호수로 담수 공급량만으로 따지면 [[바이칼호]] 다음으로 큰 규모이다.  
==생성==


==구성 호수==
==구성 호수==
*[[슈피리어호]]
[[File:detailsfig4schematic.png|400px]]
*[[미시간호]]
 
*[[휴런호]](미시간호와 휴런호는 하나의 호수로 보기도 한다)
오대호의 연결과 물의 흐름 <ref> [https://web.archive.org/web/20100808074846/http://www.glerl.noaa.gov/res/Programs/glscf/hydrology.html Great Lakes Sensitivity to Climatic Forcing ]</ref>.
*[[이리호]]
===[[슈피리어호]]===
*[[온타리오호]]
표면적 82,000km<sup>2</sup>, 평균 수심 147m, 최대 수심 406m로 가장 넓고 깊다. 당연히 담수량도 12,000km<sup>3</sup>으로 가장 많다. 호수의 물은 세인트 마리 강을 통해서 휴런호로 흘러들어간다.
 
미국에서는 [[미시간]]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와 접하며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와 접한다.
===[[미시간호]]===
표면적 58,000km<sup>2</sup>, 평균 수심 85m, 최대 수심 282m이며 담수량은 4,900 km<sup>3</sup>로 슈피리어호의 40% 정도이다. 슈리피어호와 마찮가지로 주변 하천들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매키낵 해협<ref>바다가 아니라 호수라 엄밀히 말하면 해협(海峽)은 아니다.</ref>(Straits of Mackinac)을 통해서 휴런호로 흘러들어간다. 그 이외에 [[시카고]]강, 칼루멧 강 등으로도 일부가 빠져나간다.
 
미국에서 [[위스콘신]], [[일리노이]], [[인디애나]], [[미시간]]과 접하며 오대호 중 유일하게 캐나다와는 접하지 않는다.
===[[휴런호]]===
표면적은 60,000km<sup>2</sup>로 슈피리어호 다음이나 평균 수심은 59m, 최대 수심은 228m로 미시간호보다 얕아서 담수량도 미시간호보다 적은 3,500km<sup>3</sup>이다. 세인트 마리 강과 매키낵 해협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으며 세인트 클레어 강을 통해서 물이 빠져나간다. 이렇게 빠져나간 물은 세인트 클레어 호, 디트로이트 강을 거쳐서 이리호로 들어간다.
 
미국에서는 미시간과 접하며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와 접한다.
 
수문학적으로는 휴런호와 미시간 호는 하나의 호수로 보기도 한다.
===[[이리호]]===
표먼적은 25,700 km<sup>2</sup>이며 평균 수심은 19m, 최대 수심은 64m로 다섯개의 호수 중 가장 얕고 담수량도 480km<sup>3</sup>으로 가장 적다.
디트로이트 강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으며 나이아가라 강을 통해서 빠져나간다.
 
미국에서는 미사간,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뉴욕과 접하며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와 접한다.
 
===[[온타리오호]]===
표면적은 19,000 km<sup>2</sup>로 가장 작지만 평균 수심 86m, 최대 수심 245m로 휴런호 보다도 깊어서 담수량도 이리호보다는 많은 1,640km<sup>3</sup>이다. 대부분의 물은 [[나이아가라강]]을 통해서 공급받으며 [[세인트 로렌스강]]을 통해 대서양으로 빠져나간다.
 
미국에서는 뉴욕과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와 접한다.
===그외===
*세인트 클레어호 : 휴런호와 이리호 사이에 있는 호수. 다른 다섯 호수에 비해서 크기가 많이 작아서 위의 5개 사이에 못낀다.
 


==생성==
{{빈 문단}}


==주변 지역==
==주변 지역==
이 호수들 자체가 워낙 넓은 호수이다 보니 이를 이용한 수운이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이 수운을 이용하여 철광석과 석탄, 곡물 등을 운송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산업이 일찍부터 발달하여 호수 주변에 도시들이 성장하게 되었다. 미국의 거대 도시를 이루는 [[시카고]]-[[디트로이트]]-[[피츠버그]]와 같은 도시들은 모두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성장한 도시들에 해당한다.
이 호수들 자체가 워낙 넓은 호수이다 보니 이를 이용한 수운이 일찍부터 발달하였고 여기에 철광석도 풍부했었다. 이 수운을 이용하여 철광석과 석탄, 곡물 등을 운송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산업이 일찍부터 발달하여 호수 주변에 도시들이 성장하여 한때 중공업 도시로 명성을 떨쳤다. 주변 도시로는 [[시카고]], {{ㅊ|막장스런 치안으로 유명한}} [[디트로이트]], [[밀워키]], [[버펄로]], [[피츠버그]], [[토론토]] 등이 있다. 미국쪽 오대호 연안의 대도시들은 대부분 중공업의 발달과 함께 발달하였으나 이후 미국의 제조업이 쇠퇴하면서 과거의 영광을 잃어버렸다.


==기타==
==기타==
*워낙 그 크기가 방대하다 보니 이 곳에서 드물게 [[열대성 저기압]]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폭풍이 발생하기도 한다. <ref>[https://en.wikipedia.org/wiki/1996_Lake_Huron_cyclone 영어 위키백과:허리케인 휴런호]</ref>
*워낙 그 크기가 방대하다 보니 이 곳에서 드물게 [[열대성 저기압]]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폭풍이 발생하기도 한다. <ref>[https://en.wikipedia.org/wiki/1996_Lake_Huron_cyclone 영어 위키백과:허리케인 휴런호]</ref>
* 가장 많은 호수와 접하는 주는 캐나다의 [[온타리오]]주와 미국의 [[미시간]]주로 각각 4개의 호수와 접하고 있다. 온타리오는 미시간호와 접하지 않으며 미시간호는 온타리오주와 접하지 않는다.
==참고==
[https://www.epa.gov/greatlakes/physical-features-great-lakes Physical Features of the Great Lakes]


{{주석}}
{{주석}}

2021년 5월 27일 (목) 21:21 판

개요

오대호(五大湖, 영어: Great Lakes)는 미국캐나다 사이에 있는 다섯 개의 큰 호수를 칭한다. 위치상으로는 미국 북동부에 해당하며 다섯 호수의 면적을 모두 합치면 245,000㎢에 이르는 매우 거대한 담수계를 이루고 있다. 전 세계 담수 공급의 20%를 차지하는 호수로 담수 공급량만으로 따지면 바이칼호 다음으로 큰 규모이다.

생성

구성 호수

Detailsfig4schematic.png

오대호의 연결과 물의 흐름 [1].

슈피리어호

표면적 82,000km2, 평균 수심 147m, 최대 수심 406m로 가장 넓고 깊다. 당연히 담수량도 12,000km3으로 가장 많다. 호수의 물은 세인트 마리 강을 통해서 휴런호로 흘러들어간다.

미국에서는 미시간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와 접하며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와 접한다.

미시간호

표면적 58,000km2, 평균 수심 85m, 최대 수심 282m이며 담수량은 4,900 km3로 슈피리어호의 40% 정도이다. 슈리피어호와 마찮가지로 주변 하천들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매키낵 해협[2](Straits of Mackinac)을 통해서 휴런호로 흘러들어간다. 그 이외에 시카고강, 칼루멧 강 등으로도 일부가 빠져나간다.

미국에서 위스콘신, 일리노이, 인디애나, 미시간과 접하며 오대호 중 유일하게 캐나다와는 접하지 않는다.

휴런호

표면적은 60,000km2로 슈피리어호 다음이나 평균 수심은 59m, 최대 수심은 228m로 미시간호보다 얕아서 담수량도 미시간호보다 적은 3,500km3이다. 세인트 마리 강과 매키낵 해협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으며 세인트 클레어 강을 통해서 물이 빠져나간다. 이렇게 빠져나간 물은 세인트 클레어 호, 디트로이트 강을 거쳐서 이리호로 들어간다.

미국에서는 미시간과 접하며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와 접한다.

수문학적으로는 휴런호와 미시간 호는 하나의 호수로 보기도 한다.

이리호

표먼적은 25,700 km2이며 평균 수심은 19m, 최대 수심은 64m로 다섯개의 호수 중 가장 얕고 담수량도 480km3으로 가장 적다. 디트로이트 강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으며 나이아가라 강을 통해서 빠져나간다.

미국에서는 미사간,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뉴욕과 접하며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와 접한다.

온타리오호

표면적은 19,000 km2로 가장 작지만 평균 수심 86m, 최대 수심 245m로 휴런호 보다도 깊어서 담수량도 이리호보다는 많은 1,640km3이다. 대부분의 물은 나이아가라강을 통해서 공급받으며 세인트 로렌스강을 통해 대서양으로 빠져나간다.

미국에서는 뉴욕과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와 접한다.

그외

  • 세인트 클레어호 : 휴런호와 이리호 사이에 있는 호수. 다른 다섯 호수에 비해서 크기가 많이 작아서 위의 5개 사이에 못낀다.


주변 지역

이 호수들 자체가 워낙 넓은 호수이다 보니 이를 이용한 수운이 일찍부터 발달하였고 여기에 철광석도 풍부했었다. 이 수운을 이용하여 철광석과 석탄, 곡물 등을 운송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산업이 일찍부터 발달하여 호수 주변에 도시들이 성장하여 한때 중공업 도시로 명성을 떨쳤다. 주변 도시로는 시카고, 막장스런 치안으로 유명한 디트로이트, 밀워키, 버펄로, 피츠버그, 토론토 등이 있다. 미국쪽 오대호 연안의 대도시들은 대부분 중공업의 발달과 함께 발달하였으나 이후 미국의 제조업이 쇠퇴하면서 과거의 영광을 잃어버렸다.


기타

  • 워낙 그 크기가 방대하다 보니 이 곳에서 드물게 열대성 저기압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폭풍이 발생하기도 한다. [3]
  • 가장 많은 호수와 접하는 주는 캐나다의 온타리오주와 미국의 미시간주로 각각 4개의 호수와 접하고 있다. 온타리오는 미시간호와 접하지 않으며 미시간호는 온타리오주와 접하지 않는다.

참고

Physical Features of the Great Lakes

각주

  1. Great Lakes Sensitivity to Climatic Forcing
  2. 바다가 아니라 호수라 엄밀히 말하면 해협(海峽)은 아니다.
  3. 영어 위키백과:허리케인 휴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