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진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20번째 줄:
<big>제진역</big><br />猪津驛 / Jejin Station<br/>'''동해의 도라산역'''
<big>제진역</big><br />猪津驛 / Jejin Station<br/>'''동해의 도라산역'''
== 개요 ==
== 개요 ==
강원도 고성군 [[민간인통제구역]] 내에 위치하는 [[동해북부선]]의 기점.
강원도 고성군 [[민간인통제구역]] 내에 위치하는 [[동해북부선]]의 기점.  


[[2000년 남북 정상 회담]]의 결과물로, 제진역은 [[동해북부선]]의 남측 관리 구역이다. 동해북부선(금강산청년선)이 북쪽으로만 연계가 있고, [[남북관계]]가 경색되어 왕래가 전혀 없다보니 개점휴업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2000년 남북 정상 회담]]의 결과물로, 제진역은 [[동해북부선]]의 남측 관리 구역이다. 동해북부선(금강산청년선)이 북쪽으로만 연계가 있고, [[남북관계]]가 경색되어 왕래가 전혀 없다보니 개점휴업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2007년 동해북부선 개통기념 왕래행사 이후 [[4400호대 디젤 기관차|4460호 기관차]]와 새마을호 객차 4량, [[발전차]]가 1년 넘게 제진역에 방치되었다가 [[거진항]] ~ [[묵호항]] 해송으로 일선에 복귀했다.
2007년 동해북부선 개통기념 왕래행사 이후 [[4400호대 디젤 기관차|4460호 기관차]]와 새마을호 객차 4량, [[발전차]]가 1년 넘게 제진역에 방치되었다가 [[거진항]] ~ [[묵호항]] 해송으로 일선에 복귀했다.
== 전망 ==
하지만 제진역 이남으로 선로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동해선축으로 북한/러시아와의 연결을 위해선 선로 연결이 필요하나 그동안 예비타당성 조사조차도 진행되지 않았으며, [[판문점 선언]] 이후 겨우 추진을 시작한 상태이다. [https://www.mbceg.co.kr/post/55808 기사1]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4/30/0200000000AKR20180430136900062.HTML 기사2] 또한 동해선 삼척~ 영덕 구간의 건설이 문재인 정부 들어서 SOC삭감폭이 커졌다. 17년도 기준 5069억원에서 1246억원으로 80퍼센트 이상 예산 투입이 삭감된 상태<ref>[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13/2017101300430.html]</ref>라 강릉~제진 구간이 완공되어도 연결을 장담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질적인 남북철도 연결은 경의선축에 비해 상당히 늦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 다만 향후 남북관계의 진전에 따라 예산 투입폭이 달라질 여지는 남는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5em;}}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5em;}}

2018년 5월 6일 (일) 14:51 판

주소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동해대로 9109
노선 동해북부선 0.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2006년 3월 15일

제진역
猪津驛 / Jejin Station
동해의 도라산역

개요

강원도 고성군 민간인통제구역 내에 위치하는 동해북부선의 기점.

2000년 남북 정상 회담의 결과물로, 제진역은 동해북부선의 남측 관리 구역이다. 동해북부선(금강산청년선)이 북쪽으로만 연계가 있고, 남북관계가 경색되어 왕래가 전혀 없다보니 개점휴업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2007년 동해북부선 개통기념 왕래행사 이후 4460호 기관차와 새마을호 객차 4량, 발전차가 1년 넘게 제진역에 방치되었다가 거진항 ~ 묵호항 해송으로 일선에 복귀했다.

전망

하지만 제진역 이남으로 선로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동해선축으로 북한/러시아와의 연결을 위해선 선로 연결이 필요하나 그동안 예비타당성 조사조차도 진행되지 않았으며, 판문점 선언 이후 겨우 추진을 시작한 상태이다. 기사1 기사2 또한 동해선 삼척~ 영덕 구간의 건설이 문재인 정부 들어서 SOC삭감폭이 커졌다. 17년도 기준 5069억원에서 1246억원으로 80퍼센트 이상 예산 투입이 삭감된 상태[1]라 강릉~제진 구간이 완공되어도 연결을 장담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질적인 남북철도 연결은 경의선축에 비해 상당히 늦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 다만 향후 남북관계의 진전에 따라 예산 투입폭이 달라질 여지는 남는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lass="tp_link" style="width: 11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117 동해북부선
(0.0 km)
(기점) 제진 감호 방면
감호 10.5 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