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토막글}}" 문자열을 "" 문자열로)
8번째 줄: 8번째 줄:
=== 음식 ===
=== 음식 ===
== 교통 ==
== 교통 ==
철도교통으로 발달한 도시이니만큼 철도교통이 발달해 있다. [[태백선]],[[중앙선]],[[충북선]]의 3개 노선이 지나간다.
===철도===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철도교통으로 발달한 도시이니만큼 철도교통이 발달해 있다. [[태백선]], [[중앙선]], [[충북선]]의 3개 노선이 제천시에 걸쳐있으며, 이들 노선의 형상을 보면 [[제천역]]을 중심으로 X자 형태를 그리게 된다. 다만 여객기능은 시내의 제천역에 몰려있으며, 실질적인 해당 노선들은 모두 산업철도의 목적으로 부설된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철도교통 자체가 그다지 편리한 편은 아니다. 다만 예외로 서울쪽으로 가는 경우 청량리에서 원주까지의 중앙선 복선화 공사 이후 선형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에 시간거리상으로는 버스를 압도한다. 이 덕분에 제천역을 이용하는 승객 역시 꽤 되는 편
 
===도로===
*[[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가 남북으로 관통하며, [[평택제천고속도로]]의 종점이 제천에 있다.
*[[국도]] : [[국도 38호선]]이 제천의 중심부를을 동서로 횡단하며, [[국도 5호선]]이 남북으로 관통한다. 이외에 남쪽에 [[국도 36호선]]이 제천을 관통하고 있다.


== 기후 ==
== 기후 ==

2016년 9월 24일 (토) 11:13 판

제천시의 위치

개요

충청북도 북부에 위치한 충청북도 제 3의 도농복합시. 인구 2014년 기준 137,050명이다.

역사

언어

관광자원

음식

교통

철도

철도교통으로 발달한 도시이니만큼 철도교통이 발달해 있다. 태백선, 중앙선, 충북선의 3개 노선이 제천시에 걸쳐있으며, 이들 노선의 형상을 보면 제천역을 중심으로 X자 형태를 그리게 된다. 다만 여객기능은 시내의 제천역에 몰려있으며, 실질적인 해당 노선들은 모두 산업철도의 목적으로 부설된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철도교통 자체가 그다지 편리한 편은 아니다. 다만 예외로 서울쪽으로 가는 경우 청량리에서 원주까지의 중앙선 복선화 공사 이후 선형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에 시간거리상으로는 버스를 압도한다. 이 덕분에 제천역을 이용하는 승객 역시 꽤 되는 편

도로

기후

남한에서 연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곳 중 하나이다. 왠만한 강원도 지역보다 춥다. 그래서 여기서는 겨울에 춥지 않으려면 패딩을 입고 다녀야 된다. 사실 패딩정도로는 매우매우매우 부족하다. 문제는 더울때는 또 엄청 덥다는 게 문제. 땅이 내륙이라 온도가 금방 더워졌다가 금방 차가워졌다 하기때문이라카더라. 이렇게 기후가 상상외로 덥고 춥기때문에 처음 이 지역을 방문한 사람들 이라하고 세명대 신입생이라 읽는다. 은 굉장히 적응하기 힘들다.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