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요금소: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도로 시설물 정보
{{철도역 정보
|이름    = 마산 요금소
|역명 = 마산 요금소
|원어이름 =
|배경색 =  
|배경색   = #169442
|글자색 =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2 =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구암동정길 155<br />(동정동 714-1)
|그림설명2 =
|노선    = {{대한민국 고속도로 노선|102}}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small> km</small>
|번호    =
|관할    = [[한국도로공사]]
|개통일  = [[1973년]] [[11월 14일]]
|해제일  =
|형태    = 부정형
|연결도로 =
|비고    =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의 [[요금소]]. [[하이패스]]는 1차선에서 대응하고 있다.
 
[[1973년]] 남해고속도로와 함께 개방식 요금소로 개통했다. 이후 [[2001년]] 마산외곽고속도로가 개통함에 따라 개방형 나들목인 마산 시내로 향하는 차량을 구별해 요금을 부과하는 폐쇄식 요금소로 전환했다.


|관할 =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이름은 마산 요금소지만 소재지는 경상남도 창원시이다. 개통 당시에는 해당 지역이 마산시였으나 창원시가 마산시에서 분리되고 창원시가 마산시를 합병한 지금까지도 그대로이다. 바로 옆에 [[창원역]]이 있는 것이 묘한 위화감을 불러 일으킨다.
|개업일 = 1973년 11월 14일
|폐지일 =
|종별 =
|등급 =
|소재지 =


|노선1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경유 노선 ==
|역번호 = TG
{{경유 노선 (고속도로)/열기}}
|배경색1 =  
{{경유 노선 (고속도로)|배경색=#169442|글자색=white
|글자색1 =  
|노선명=남해고속도로제1지선|기점거리=  
|전방면1 = 함 안
|전구조물={{구조물 번호|4}} [[동마산 나들목]]|전거리= km
|전역1 = [[동마산 나들목]]
|구조물={{구조물 번호|TG}} [[마산 요금소]]
|전거리1 =  
|후구조물={{구조물 번호|5}} [[창원 분기점]]|후거리= km}}
|후방면1 = 창 원
{{경유 노선 (고속도로)/닫기}}
|후역1 = [[창원 분기점]]
|후거리1 =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의 [[요금소]]. [[하이패스]]는 1차선에서 대응하고 있다.


1973년 남해고속도로와 함께 개방식 요금소로 개통했다. 이후 2001년 마산외곽고속도로가 개통함에 따라 개방형 나들목인 마산 시내로 향하는 차량을 구별해 요금을 부과하는 폐쇄식 요금소로 전환했다.
{{각주}}


이름은 마산 요금소지만 소재지는 경상남도 창원시이다. 개통 당시에는 해당 지역이 마산시였으나 창원시가 마산시에서 분리되고 창원시가 마산시를 합병한 지금까지도 그대로이다.
[[분류:남해고속도로제1지선]][[분류:요금소]]

2023년 11월 10일 (금) 06:27 기준 최신판

마산 요금소
도로 시설물 정보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구암동정길 155
(동정동 714-1)
노선 102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km
관할 한국도로공사
개통일 1973년 11월 14일
형태 부정형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요금소. 하이패스는 1차선에서 대응하고 있다.

1973년 남해고속도로와 함께 개방식 요금소로 개통했다. 이후 2001년 마산외곽고속도로가 개통함에 따라 개방형 나들목인 마산 시내로 향하는 차량을 구별해 요금을 부과하는 폐쇄식 요금소로 전환했다.

이름은 마산 요금소지만 소재지는 경상남도 창원시이다. 개통 당시에는 해당 지역이 마산시였으나 창원시가 마산시에서 분리되고 창원시가 마산시를 합병한 지금까지도 그대로이다. 바로 옆에 창원역이 있는 것이 묘한 위화감을 불러 일으킨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