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Ho95kr: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다만 다른 사람이 리브레 위키의 내 기여분을 나무위키로 퍼가는 건 안됩니다. =
=다만 다른 사람이 리브레 위키의 내 기여분을 나무위키로 퍼가는 건 안됩니다. =
리브레 위키의 내 기여분에다가 내용을 추가하고 싶으시다면 나무위키로 몰래 가져가는 CCL 위반을 하실 게 아니라 저랑 같이 리브레 위키에서 기여하시는 건 어떠신가요? [[터닝메카드 허위사실 위키 등재 사건]]과 같은 반달만 아니라면 [[리:환영합니다|리브레 위키에 신규 기여자가 오는 건 환영하고 있습니다.]]
리브레 위키의 내 기여분에다가 내용을 추가하고 싶으시다면 나무위키로 몰래 가져가는 CCL 위반을 하실 게 아니라 저랑 같이 리브레 위키에서 기여하시는 건 어떠신가요? [[터닝메카드 허위사실 위키 등재 사건]]과 같은 반달만 아니라면 [[리:환영합니다|리브레 위키에 신규 기여자가 오는 건 환영하고 있습니다.]]
나무위키에서 ho95kr이 아닌 다른 사람이 리브레 위키에 있는 제 기여분을 복붙해서 작성한 문서를 발견하시면 나무위키의 신고 게시판에서 직접 신고하시거나 아니면 제 사용자 토론에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주로 기여하는 분야 =
= 주로 기여하는 분야 =
*[[한국 애니메이션]]
*[[한국 애니메이션]]
**[[:이런 문서가 필요하다/한국 애니메이션]]에 많은 참여 바랍니다.
**[[마당:문화]]에 많은 참여 바랍니다.
*[[교통]]
*[[교통]]


14번째 줄: 17번째 줄:


= 메모장 =
= 메모장 =
https://blog.naver.com/ilovecharacterblog/221988455013
네오피닉스: 갤럭시호크, 발키리(valkyrie), 릿지, 트리키(traque) - 브라이언의 에어로버
 
골드드래곤: 불도저(bulldozer), 푸구(fugu), 드라칸, 메두사


https://blog.naver.com/ilovecharacterblog/221761363270
올림포스: 미드나이트(midnight), 자이언트(giant), 빅걸(big girl), 오블리비언(oblivion)


[[B패밀리]], [[만스터맨션]], [[꼬마공룡 크앙]] 작성하기.
바이오: mantus, dusk, 크림손(crimson), 위스퍼(whisper) 사이언스의 에어로버
----{{영상물 정보
|영상물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그림설명    =
|배급사      =
|방송채널    = [[]]
|제작사      =
|감독        =
|제작        =
|작가        =
|출연        =
|해설        =
|장르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언어        = 한국어
|연작제목    =
|개봉일      =
|방영일      =
|방영시각    =
|시즌수      =
|화수        =
|시간        =
|시리즈      =
|이전작품    =
|다음작품    =
|웹사이트    = {{URL|}}
|캐릭터원안  =
|캐릭터디자인 =
|연출        =
|미술        =
|촬영감독    =
|음악        =
|여는곡      =
|닫는곡      =
|영상포맷    =
|음성포맷    =
|번역배급사  =
|번역방송채널 =
|번역개봉일  =
|번역방영일  =
|번역방영시각 =
|비고        =
}}
== 소개 ==


== 스토리 ==


== 등장인물 ==
; 캐릭터
: {{배지|성우}} <nowiki>[[(성우)]]</nowiki>
: 캐릭터에 관한 소개
== 에피소드 목록/방영 목록 ==
<!--
~~수정법~~
| (화수)
| (제목)
| (방영일)
| (원작 화수)
|-
이를 복사 붙여넣기 이동하면 편리합니다.
에피소드마다 에피소드 가이드(줄거리 등)를 넣고자 하실 때에는 아래의 것을 복사 붙여넣기 하시기 바랍니다.
| (화수)
| (제목)
| (방영일)
|-
|colspan="4"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left;" |
(에피소드 가이드)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90%;"
|-bgcolor="#eeeeee"
! 화수
! 제목
! 방영일
|-
|
|
|
|-
|}
== 주제가 ==
*오프닝 테마 (곡 이름)
**작사:
**작곡:
**노래:
*엔딩 테마 (곡 이름)
**작사:
**작곡:
**노래:
== 외부 링크 ==
<nowiki>{{2023년 한국 애니메이션}}
[[분류:한국 TV 애니메이션]][[분류:(방송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분류:오리지널 애니메이션]][[분류:(장르)]]</nowiki>
----
----
{{법령 정보
[[문맹]]의 반대말로 문자를 읽고 쓸 줄 아는 것을 말한다.
|법령명=애니메이션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약칭=애니메이션산업법
== 문해 능숙 ==
|제정법령번호=법률 제16690호
그와 별개로 말의 의미까지 아는 것을 문해 능숙, 실질적 문해라고 말한다.
|제정일자= 2019년 12월 3일
=== 관련 사례 ===
|현행법령번호=
아래는 문해 능숙도가 낮아서 생겨난 사례들이다.
|개정일자=
|시행일자= 2020년 6월 4일
|상태=현행법
|분야=
|목적=애니메이션산업 육성ㆍ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애니메이션산업 발전의 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법령=
|원문=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1855&efYd=20200604#0000
|}}
== 역사 ==


== 내용 ==
말의 뜻을 정확히 알지 못하거나 자기가 알고 있는 동음이의어, 발음이 비슷한 말로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ㆍ시행
*'설빔'을 설빙으로 잘못 알아들은 사례 [https://www.instiz.net/name/52831862 #]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하술할 애니메이션진흥위원회의 의견을 들어 '애니메이션산업의 진흥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해야 한다. 그리고 매년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금일(今日)'을 금요일의 준말로 잘못 이해한 사례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510  1] [https://www.inven.co.kr/board/webzine/2097/1632922 2]
:거기에는 애니메이션 산업과 관련한 전문인력의 양성, 기반조성, 기술ㆍ표준의 개발, 국제협력 및 해외시장 진출 지원, 재원의 확보 및 효율적인 운용방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조사ㆍ연구, 애니메이션 배급 및 이용의 진흥을 위한 조사ㆍ연구, 애니메이션 자료의 수집과 보존에 관한 방안 등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사흘'을 3일이 아니라 4일로 잘못 이해한 사례 [https://www.chosun.com/culture-life/relion-academia/2023/01/20/Q4BAAYKWURBSFIUH7CVVJJPNW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애니메이션산업의 활성화
*'심심한 사과' 할 때의 '심심(甚深)'을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는 의미로 잘못 이해한 사례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71795 #]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애니메이션산업에 기여하는 애니메이션업자 및 관련 단체 등에 자금 및 융자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무료(無聊)하다'를 요금이 없다는 의미로 잘못 이해한 사례 [https://www.mk.co.kr/news/society/10452007 #]
*전문인력의 양성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대학교 공결증을 신청할 때 사유를 '병역(兵役)'으로 선택한 사례 [https://theqoo.net/index.php?mid=hot&document_srl=2370354263 #]: '병' 자를 '病' 자로, '역' 자를 '疫' 자로 이해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疫病(역병)이라는 말은 있어도 病疫이라는 말은 없다.
:국가와 지자체는 애니메이션산업 관련 전문인력의 수급분석 및 인적자원 개발,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학계, 산업체 및 공공기관과의 협력 강화에 관한 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장르'의 뜻을 묻는 문제에서 선택지가 '①종류', '②가수', '③빠르기'가 있었는데 ①이 아니라 ②를 선택한 사례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100423435750284 #]: [[장르#서브컬처계의 오용]] 문서도 참고.
:국가와 지자체는 [[한국콘텐츠진흥원]], 애니메이션 관련 교육 과정이 있거나 애니메이션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학,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문화예술교육시설, 문화예술교육단체, 비영리법인, 그 밖의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관ㆍ시설 또는 단체에 전문인력 양성기관으로 지정하고 교육 및 훈련에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무운(武運)을 빈다'라는 말을 [[기레기|기자가 운이 없기를 빈다는 의미로 잘못 해석해서]] 보도한 기사 [https://web.archive.org/web/20211102045829/https://www.ytn.co.kr/_ln/0101_202111011702372382 #]: 無運이라는 말은 없다.
*기술개발의 촉진
*'방학이 8월 22일까지'라는 글을 보고 8월 23일이 아니라 22일에 개학하는 줄로 아는 사례, 알림장에 국어, 수학, 사회, 과학을 줄여서 '국, 수, 사, 과'라고 적은 것을 먹는 [[국수]]와 [[사과]]로 잘못 이해한 사례, '체험학습 중식 제공'할 때의 '중식'이라는 말을 [[점심밥]]이 아니라 [[중국 요리]]라는 뜻으로 잘못 이해한 사례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2/12/24/QKTRSONUPFHGNDLR75H6KOBMIY/?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젊은 세대 뿐만 아니라 학부모들도 문해 능숙도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있는 사례다.
:정부는 기술개발 사업을 실시하는 자에 대하여 그 소요되는 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산의 범위 안에서 출연 또는 보조할 수 있다.
*협동 개발 및 연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애니메이션 또는 애니메이션상품의 개발ㆍ연구를 위하여 인력ㆍ시설ㆍ기자재ㆍ자금 및 정보 등의 공동 활용을 통한 협동 개발과 연구를 추진하는 자에 대하여 협동 개발 및 연구에 소요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공정한 유통환경의 조성
:[[통신사]], [[방송사]], [[IPTV]]사업자 등 애니메이션의 제작ㆍ판매ㆍ유통 등에 종사하는 자 합리적인 이유 없이 애니메이션에 관한 지식재산권의 일방적인 양도 요구 등 그 지위를 이용하여 불공정한 계약을 강요하거나 부당한 이득을 취해서는 안된다.
*표준계약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공정거래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하여 표준계약서를 마련하여 사업자 및 사업자단체에 사용을 권장할 있다.
*애니메이션진흥위원회 설치

2023년 5월 6일 (토) 22:01 기준 최신판

타 위키의 내 기여분을 리브레 위키로 퍼와도 됩니다.[편집 | 원본 편집]

  • 리그베다 위키의 ho95kr
  • 나무위키의 ho95kr

다만 다른 사람이 리브레 위키의 내 기여분을 나무위키로 퍼가는 건 안됩니다.[편집 | 원본 편집]

리브레 위키의 내 기여분에다가 내용을 추가하고 싶으시다면 나무위키로 몰래 가져가는 CCL 위반을 하실 게 아니라 저랑 같이 리브레 위키에서 기여하시는 건 어떠신가요? 터닝메카드 허위사실 위키 등재 사건과 같은 반달만 아니라면 리브레 위키에 신규 기여자가 오는 건 환영하고 있습니다.

나무위키에서 ho95kr이 아닌 다른 사람이 리브레 위키에 있는 제 기여분을 복붙해서 작성한 문서를 발견하시면 나무위키의 신고 게시판에서 직접 신고하시거나 아니면 제 사용자 토론에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주로 기여하는 분야[편집 | 원본 편집]

목표, 바라는 바[편집 | 원본 편집]

  • 리브레 위키를 성장시켜서 나무위키 독과점인 한국어 위키에 경쟁체제 형성: 나무위키의 여러 문제점을 보니 나무위키 독과점 체제를 그대로 두고 볼 수 없었습니다. 나무위키의 기여를 줄이고 리브레 위키를 키우기로 했습니다.
  • 한국 애니메이션의 주류 컨텐츠화: 우리나라에서 애니메이션은 다른 분야랑 다르게 한국산 컨텐츠가 비주류였습니다. 그래서 한국 애니메이션을 영업질하고 있습니다.
  • 요즘 나오는 한국 애니메이션은 다 리브레 위키 문서로 작성하는 걸로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이 위키가 살아남을려면 듣보잡이라고 여겨지는 것까지 다른 위키에 없는 문서를 많이 만들어야겠죠? 다른 위키에 문서로 작성되지 않은 한국 애니메이션이 많은 걸 보고 리브레 위키만의 문서를 많이 만들기에 딱 좋은 분야라고 생각하고 한국 애니메이션 분야를 한국 애니메이션 전문 위키 수준으로 파고들고 있습니다.

메모장[편집 | 원본 편집]

네오피닉스: 갤럭시호크, 발키리(valkyrie), 릿지, 트리키(traque) - 브라이언의 에어로버

골드드래곤: 불도저(bulldozer), 푸구(fugu), 드라칸, 메두사

올림포스: 미드나이트(midnight), 자이언트(giant), 빅걸(big girl), 오블리비언(oblivion)

바이오: mantus, dusk, 크림손(crimson), 위스퍼(whisper) 사이언스의 에어로버


작품 정보
방송채널 [[]]
나라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스토리[편집 | 원본 편집]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캐릭터
성우 [[(성우)]]
캐릭터에 관한 소개

에피소드 목록/방영 목록[편집 | 원본 편집]

화수 제목 방영일

주제가[편집 | 원본 편집]

  • 오프닝 테마 (곡 이름)
    • 작사:
    • 작곡:
    • 노래:
  • 엔딩 테마 (곡 이름)
    • 작사:
    • 작곡:
    • 노래: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2023년 한국 애니메이션}} [[분류:한국 TV 애니메이션]][[분류:(방송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분류:오리지널 애니메이션]][[분류:(장르)]]


문맹의 반대말로 문자를 읽고 쓸 줄 아는 것을 말한다.

문해 능숙[편집 | 원본 편집]

그와 별개로 말의 의미까지 아는 것을 문해 능숙, 실질적 문해라고 말한다.

관련 사례[편집 | 원본 편집]

아래는 문해 능숙도가 낮아서 생겨난 사례들이다.

말의 뜻을 정확히 알지 못하거나 자기가 알고 있는 동음이의어, 발음이 비슷한 말로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 '설빔'을 설빙으로 잘못 알아들은 사례 #
  • '금일(今日)'을 금요일의 준말로 잘못 이해한 사례 1 2
  • '사흘'을 3일이 아니라 4일로 잘못 이해한 사례 #
  • '심심한 사과' 할 때의 '심심(甚深)'을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는 의미로 잘못 이해한 사례 #
  • '무료(無聊)하다'를 요금이 없다는 의미로 잘못 이해한 사례 #
  •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대학교 공결증을 신청할 때 사유를 '병역(兵役)'으로 선택한 사례 #: '병' 자를 '病' 자로, '역' 자를 '疫' 자로 이해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疫病(역병)이라는 말은 있어도 病疫이라는 말은 없다.
  • '장르'의 뜻을 묻는 문제에서 선택지가 '①종류', '②가수', '③빠르기'가 있었는데 ①이 아니라 ②를 선택한 사례 #: 장르#서브컬처계의 오용 문서도 참고.
  • '무운(武運)을 빈다'라는 말을 기자가 운이 없기를 빈다는 의미로 잘못 해석해서 보도한 기사 #: 無運이라는 말은 없다.
  • '방학이 8월 22일까지'라는 글을 보고 8월 23일이 아니라 22일에 개학하는 줄로 아는 사례, 알림장에 국어, 수학, 사회, 과학을 줄여서 '국, 수, 사, 과'라고 적은 것을 먹는 국수사과로 잘못 이해한 사례, '체험학습 중식 제공'할 때의 '중식'이라는 말을 점심밥이 아니라 중국 요리라는 뜻으로 잘못 이해한 사례 #: 젊은 세대 뿐만 아니라 학부모들도 문해 능숙도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