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개요)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이름    = 사리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관할약칭 = KORAIL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역명 = 사리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K250|수도권|수인분당}}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93(사동 206-1)
|주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93<br />(사동 206-1)
|개업일 = {{날짜/출력|1937-8-5}}<br>{{날짜/출력|2020-9-12}}
|번호    = {{역번호/한국|K250|수도권|수인분당}}
|폐지일 = {{날짜/출력|1995-12-31}}
|노선    = [[수인선]] 16.7 km
|관할 = [[한국철도공사]]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승강장 =  
|개업일  = [[1937년]] [[8월 5일]]<br />[[2020년]] [[9월 12일]]
|운임구역 =  
|폐지일  = [[1995년]] [[12월 31일]]
|노선 = [[수인선]] 16.7㎞
|코드    =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 개요 ==
 
협궤 시절부터 존재했던 수인선의 철도역. 사리(四里)에 소재해서 사리역이다. 지금은 도시 개발로 리가 동으로 바뀌었지만 역 이름은 그대로이다.
협궤 시절부터 존재했던 수인선의 철도역. 사리(四里)에 소재해서 사리역이다. 지금은 도시 개발로 리가 동으로 바뀌었지만 역 이름은 그대로이다.


역의 위치와 노선의 선형도 거의 그대로이다. 옛 수인선 선로와 역사 주변이 녹지로 보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주민들의 산책로로 쓰이다가 공사가 진행되며 이를 쓸 수 없게 되자 여기서도 지하화 요구가 일어났는데, 이쪽은 선로가 주변보다 움푹 들어간 지형이어서 선로 위를 복개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그래서 사리역은 반지하로 지어졌고 역 양쪽으로 터널이 있다.
역의 위치와 노선의 선형도 거의 그대로이다. 옛 수인선 선로와 역사 주변이 녹지로 보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주민들의 산책로로 쓰이다가 공사가 진행되며 이를 쓸 수 없게 되자 여기서도 지하화 요구가 일어났는데, 이쪽은 선로가 주변보다 움푹 들어간 지형이어서 선로 위를 복개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그래서 사리역은 반지하로 지어졌고 역 양쪽으로 터널이 있다.


== 승강장 ==
== 시설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승강장 정보='''수인선''' [[수원역|수원]]·[[죽전역|죽전]]·[[왕십리역|왕십리]]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수인·분당선''' [[왕십리역|왕십리]] · [[수원역|수원]] · [[야목역|야목]]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수인선]] [[야목역|야목]]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수인선]] [[한대앞역|한대앞]]}}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수인선]] [[야목역|야목]]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승강장 정보='''수인선''' [[안산역|안산]]·[[오이도역|오이도]]·[[인천역|인천]]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수인선]] [[한대앞역|한대앞]]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수인·분당선''' [[한대앞역|한대앞]] · [[오이도역|오이도]] · [[인천역|인천]] 방면
}}
}}
}}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수인선|노선거리=16.7㎞
|노선명=30205 [[수인선]]|노선거리=16.7 km
|전방면=[[수원역|수원]] 방면|전역=[[야목역|야목]]|전거리=4.7㎞
|전방면=[[수원역|수원]] 방면|전역=[[야목역|야목]]|전거리=4.7 km
|당역='''사리'''
|당역='''사리'''
|후방면=[[인천역|인천]] 방면|후역=[[한대앞역|한대앞]]|후거리=2.2㎞}}
|후방면=[[인천역|인천]] 방면|후역=[[한대앞역|한대앞]]|후거리=2.2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수도권 전철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글자색=white|계통=[[수인·분당선]]}}
{{경유 계통|전방면=[[왕십리역|왕십리]] 방면|전역={{역번호/한국|K249|수도권|수인분당}} [[야목역|야목]]|전거리=4.7㎞
{{경유 계통|전방면=[[왕십리역|왕십리]] 방면|전역={{역번호/한국|K249|수도권|수인분당}} [[야목역|야목]]|전거리=4.7 km
|당역={{역번호/한국|K250|수도권|수인분당}} '''사리'''
|당역={{역번호/한국|K250|수도권|수인분당}} '''사리'''
|후방면=[[인천역|인천]] 방면|후역={{역번호/한국|K251|수도권|수인분당}} [[한대앞역|한대앞]]|후거리=2.2㎞}}
|후방면=[[인천역|인천]] 방면|후역={{역번호/한국|K251|수도권|수인분당}} [[한대앞역|한대앞]]|후거리=2.2 km}}
{{경유 계통/닫기}}
{{경유 계통/닫기}}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수인선]]
[[분류:수인선]]
[[분류: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리브레 맵스 마커|37.29079288381009|126.85739278793335|14|사리역}}

2023년 9월 19일 (화) 11:02 기준 최신판

사리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93
(사동 206-1)
번호  K250 
노선 수인선 16.7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개업일 1937년 8월 5일
2020년 9월 12일
폐지일 1995년 12월 31일

협궤 시절부터 존재했던 수인선의 철도역. 사리(四里)에 소재해서 사리역이다. 지금은 도시 개발로 리가 동으로 바뀌었지만 역 이름은 그대로이다.

역의 위치와 노선의 선형도 거의 그대로이다. 옛 수인선 선로와 역사 주변이 녹지로 보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주민들의 산책로로 쓰이다가 공사가 진행되며 이를 쓸 수 없게 되자 여기서도 지하화 요구가 일어났는데, 이쪽은 선로가 주변보다 움푹 들어간 지형이어서 선로 위를 복개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그래서 사리역은 반지하로 지어졌고 역 양쪽으로 터널이 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수원 방면
야목 4.7 km
사리 인천 방면
한대앞 2.2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수인·분당선
왕십리 방면
 K249  야목
 K250  사리 인천 방면
 K251  한대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