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라 (브롤스타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오류 수정 (빈칸))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
== 스탯 ==
== 스탯 ==
기본 체력은 3400이고 이동 속도는 초당 2.4타일이며 장전 속도는 2.0초이다. 기본 공격은 샷건, 브롤러 관통, 다중(이름은 트리플 타로{{ㅈ|Triple Tarot}})이고 기본 공격력은 420에 3탄이며 사정거리는 8타일이다. 궁극기는 곡사, 기절, 폭발(이름은 중력장{{ㅈ|Gravity}})이고 기본 공격력은 800이며 사정거리는 6.67타일, 블랙홀 반지름은 4타일이다.
기본 체력은 3400이고 이동 속도는 초당 2.4타일이며 장전 속도는 2.0초이다. 기본 공격은 샷건, 브롤러 관통, 다중(이름은 트리플 타로{{ㅈ|Triple Tarot}})이고 기본 공격력은 460에 3탄이며 사정거리는 8타일이다. 궁극기는 곡사, 기절, 폭발(이름은 중력장{{ㅈ|Gravity}})이고 기본 공격력은 800이며 사정거리는 6.67타일, 블랙홀 반지름은 4타일이다.
=== 레벨에 따른 스탯 ===
=== 레벨에 따른 스탯 ===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19번째 줄: 19번째 줄:
| 1
| 1
| 3400
| 3400
| 420
| 460
| 800
| 800
|-
|-
| 2
| 2
| 3570
| 3570
| 441
| 483
| 840
| 840
|-
|-
| 3
| 3
| 3740
| 3740
| 462
| 506
| 880
| 880
|-
|-
| 4
| 4
| 3910
| 3910
| 483
| 529
| 920
| 920
|-
|-
| 5
| 5
| 4080
| 4080
| 504
| 552
| 960
| 960
|-
|-
| 6
| 6
| 4250
| 4250
| 525
| 575
| 1000
| 1000
|-
|-
| 7
| 7
| 4420
| 4420
| 546
| 598
| 1040
| 1040
|-
|-
| 8
| 8
| 4590
| 4590
| 567
| 621
| 1080
| 1080
|-
|-
| 9~10
| 9~10
| 4760
| 4760
| 588
| 644
| 1120
| 1120
|}
|}
67번째 줄: 67번째 줄:
* 그림자 치유: 특수 공격으로 소환된 다른 차원의 그림자가 본인과 아군의 HP를 400씩 회복시켜준다.
* 그림자 치유: 특수 공격으로 소환된 다른 차원의 그림자가 본인과 아군의 HP를 400씩 회복시켜준다.
=== 가젯 ===
=== 가젯 ===
2020년 3월 17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보조 기술이며, 한 판당 3번 쓸수 있다. 7레벨 이상부터 얻을 수 있다.  
2020년 3월 17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보조 기술이며, 한 판당 3번 쓸수 있다. 7레벨 이상부터 얻을 수 있다.
* 초능력 증폭기: 5초 동안 아군과 함께 부쉬에 숨어 있는 적, 또는 은신을 한 적을 볼 수 있다. 단, 공격을 하면 가젯이 풀린다.
* 초능력 증폭기: 5초 동안 아군과 함께 부쉬에 숨어 있는 적, 또는 은신을 한 적을 볼 수 있다. 단, 공격을 하면 가젯이 풀린다.


78번째 줄: 78번째 줄:
타라는 [[모티스 (브롤스타즈)|모티스]]와 비슷한 예로 매우 뛰어난 일반 공격 기술 및 궁극기를 가지고 있다. 일반 공격의 경우 멀어질수록 데미지는 약해지지만 사정거리가 길고, 근거리에서 붙을 때는 데미지가 배로 강력해지기에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또한 브롤러 관통이 가능하여 뒤에 있는 적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도 있는 뛰어난 공격 기술이다. 하지만 이것저것 말할 것도 없이 타라의 가장 큰 자랑거리이자 장점은 바로 궁극기의 어마어마한 성능. 적이 1명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면 모를까, 세 명 이상이서 멀지 않은 거리에 모여 있을 때는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800씩 3명에게 골고루 데미지만 주어도 무려 2400이라는 데미지가 들어가며, 이렇게 되면 궁극기 게이지의 거의 40%정도까지 채울 수 있는 어마어마한 피해량이다. 물론 쇼다운에서 초근접전을 벌이고 있는 다수의 적들에게도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며, 타라의 체험판에서 20마리의 로봇 가운데에 블랙홀을 풀어놓아도 그 성능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뛰어난 궁극기 역시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바로 궁극기 충전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점. 4탄창을 풀로 맞추고도 1개의 카드를 더 맞춰야 궁극기가 충전되는데, 재장전 속도도 2.0초로 느린 편이라 그 사이에 근접 브롤러가 붙으면 끝장이다. 이러한 궁극기 충전 속도 및 장전 속도 때문에 계속 궁극기로 꿀 빨 타이밍만 노리게 되며, 자연스럽게 결국에는 궁극기만을 신뢰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궁극기를 한 번 맞추면 다음 궁극기는 채우기 수월할 수도 있지만, 명중률을 높이려면 그만큼의 집중력이 요구되며, 뻘궁을 쓰게 될 시 궁극기 충전 노가다를 또 해야 하기에 상당히 쓰기 어려울 수도 있는 브롤러이기도 하다.
타라는 [[모티스 (브롤스타즈)|모티스]]와 비슷한 예로 매우 뛰어난 일반 공격 기술 및 궁극기를 가지고 있다. 일반 공격의 경우 멀어질수록 데미지는 약해지지만 사정거리가 길고, 근거리에서 붙을 때는 데미지가 배로 강력해지기에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또한 브롤러 관통이 가능하여 뒤에 있는 적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도 있는 뛰어난 공격 기술이다. 하지만 이것저것 말할 것도 없이 타라의 가장 큰 자랑거리이자 장점은 바로 궁극기의 어마어마한 성능. 적이 1명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면 모를까, 세 명 이상이서 멀지 않은 거리에 모여 있을 때는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800씩 3명에게 골고루 데미지만 주어도 무려 2400이라는 데미지가 들어가며, 이렇게 되면 궁극기 게이지의 거의 40%정도까지 채울 수 있는 어마어마한 피해량이다. 물론 쇼다운에서 초근접전을 벌이고 있는 다수의 적들에게도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며, 타라의 체험판에서 20마리의 로봇 가운데에 블랙홀을 풀어놓아도 그 성능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뛰어난 궁극기 역시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바로 궁극기 충전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점. 4탄창을 풀로 맞추고도 1개의 카드를 더 맞춰야 궁극기가 충전되는데, 재장전 속도도 2.0초로 느린 편이라 그 사이에 근접 브롤러가 붙으면 끝장이다. 이러한 궁극기 충전 속도 및 장전 속도 때문에 계속 궁극기로 꿀 빨 타이밍만 노리게 되며, 자연스럽게 결국에는 궁극기만을 신뢰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궁극기를 한 번 맞추면 다음 궁극기는 채우기 수월할 수도 있지만, 명중률을 높이려면 그만큼의 집중력이 요구되며, 뻘궁을 쓰게 될 시 궁극기 충전 노가다를 또 해야 하기에 상당히 쓰기 어려울 수도 있는 브롤러이기도 하다.


=== 타라에게 잘 어울리는 모드 ===
=== 타라의 모드별 평가 ===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젬 그랩|젬 그랩]]: 젬 그랩 특성상 브롤러들이 한 곳으로 몰리는 경우가 많기에, 타라의 궁극기를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만약 젬 나오는 곳에 적 3명이 모여있다면, 재빠르게 궁극기를 던져 게임을 뒤집어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궁극기 충전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리는 편이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젬 그랩에서 엄청난 사기성을 보여주는 브롤러. 가젯 '초능력 증폭기'까지 있으면 그 성능이 상상을 초월한다.
타라가 모드 별로 플레이하기에 어느 정도 적합한지 서술하였다. 1티어-2티어-3티어-4티어-5티어(트롤픽) 이렇게 각각 5단계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티어의 숫자가 더 낮을수록 해당 모드에 더 특화되고 적합한 것이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젬 그랩|젬 그랩]] (1티어) : 젬 그랩 특성상 브롤러들이 한 곳으로 몰리는 경우가 많기에, 타라의 궁극기를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만약 젬 나오는 곳에 적 3명이 모여있다면, 재빠르게 궁극기를 던져 게임을 뒤집어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궁극기 충전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리는 편이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젬 그랩에서 엄청난 사기성을 보여주는 브롤러. 가젯 '초능력 증폭기'까지 있으면 그 성능이 상상을 초월한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쇼다운|듀오 쇼다운]]: 타라의 순간화력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아군이 충분히 커버해줄 수 있으며, 뛰어난 궁극기를 이용하여 팀 하나를 순간 삭제할 수도 있어서 좋다. 풀숲이 많은 맵에서는 가젯을 잘 활용할 수가 있기에 듀오 쇼다운에 상당히 잘 어울린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쇼다운|솔로 쇼다운]] (3티어) : 순간화력이 뭔가 아쉽고 장전 속도가 느려 상자를 파밍하는 속도 역시 비교적 느리다. 또한 갑작스러운 근접전에도 대응하기가 힘들다는 등 많은 단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타라의 훌륭한 궁극기로 적들을 순식간에 골로 보내버릴 수 있고, 관통형 공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는 위안이 되는 편.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쇼다운|듀오 쇼다운]] (1티어) : 타라의 순간화력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아군이 충분히 커버해줄 수 있으며, 뛰어난 궁극기를 이용하여 팀 하나를 순간 삭제할 수도 있어서 좋다. 풀숲이 많은 맵에서는 가젯을 잘 활용할 수가 있기에 듀오 쇼다운에 상당히 잘 어울린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브롤 볼|브롤 볼]]: 매우 강력하다. 체력은 높지 않지만 궁극기가 브롤 볼 맞춤형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뛰어나다. 공을 몰고 가다가 앞의 아군에게 패스한 후 궁극기를 써서 상대를 제거한 뒤 골로 연결시킬 수도 있으며, 타라 본인이 공을 몰고 가다가도 잠시 앞으로 공을 차 놓은 뒤 제거하고 골을 넣을 수도 있다. 수비 면에서도 공격 면에서도 빛을 발하는 브롤 볼 1티어 브롤러.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브롤 볼|브롤 볼]] (1티어) : 매우 강력하다. 체력은 높지 않지만 궁극기가 브롤 볼 맞춤형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뛰어나다. 공을 몰고 가다가 앞의 아군에게 패스한 후 궁극기를 써서 상대를 제거한 뒤 골로 연결시킬 수도 있으며, 타라 본인이 공을 몰고 가다가도 잠시 앞으로 공을 차 놓은 뒤 제거하고 골을 넣을 수도 있다. 수비 면에서도 공격 면에서도 빛을 발하는 브롤 볼 1티어 브롤러.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바운티|바운티]] (4티어) : 스탯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바운티 모드 특성상 타라가 원하는 그림이 쉽게 나오지 않는다. 타라는 궁극기로 순식간에 적들을 묶어 한 번에 사형시키는 것이 매력인데, 바운티 모드의 경우 적들이 각자 부쉬에서 저격수 브롤러를 가지고 매복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타라가 활약할 만한 상황이 잘 연출되지 않는다. 기동성도 별로라서 접근하다가 얻어맞고 죽는 경우가 태반이기에 다른 브롤러를 쓰는 것이 차라리 낫다. '''그러나''' '뱀의 초원' 맵에서 가젯 '초능력 증폭기'를 가지고 있는 타라가 있다면 말이 달라지는데, 뱀의 초원 맵은 부쉬로 뒤덮여 있어 적들이건 아군이건 3명이 뭉쳐다니는 경우가 많기에 타라가 가젯을 쓰게 되면 팀원들의 시야를 5초라는 결코 짧지 않은 시간동안 확보해줄 있을 뿐 아니라, 적이 방심한 사이 순식간에 위치를 확인하고 '''3명을 궁으로 묶어 보내버릴 수도 있다.''' 때문에 뱀의 초원 맵에서 가젯이 있는 타라는 '''0티어 취급을 받는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티켓 이벤트|빅 게임]]: 둘 다 괜찮은 편이나 빅 브롤러가 되었을 때 좀 더 좋다. 기본 공격의 데미지도 강력하고 장전 속도도 빨라지며, 때문에 궁극기를 채우기도 더욱더 수월해진다. 또한 일반 브롤러 '''5명을 한꺼번에 궁극기로 묶어서 제거할 수 있다.''' 여러 모로 빅 게임에서 빛을 발하는 브롤러. 일반 브롤러가 되었을 때도 보스를 괴롭히는 성능이 뛰어나기에 빅 게임에서 어느 쪽이 걸려도 걱정 없는 브롤러이기도 하다.
 
=== 타라에게 어울리지 않는 모드 ===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하이스트|하이스트]]: 하이스트 모드를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높은 데미지나 좋은 지속화력, 느리지 않은 재장전 속도 또는 스로어라는 어드밴티지가 요구되지만, 타라는 4개중 어느 쪽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금고에 데미지를 많이 넣을려면 바짝 붙어서 때려야 하는데, 기동성도 좋은 편이 아닐 뿐더러 장전 속도도 2.0초로 매우 느리다. 당장 [[불 (브롤스타즈)|불]]과 비교해봐도 알 있는데, 불은 10레벨 기준 '''2800'''이라는 무시무시한 데미지를 가진 데에다 장전 속도도 1.6초로 타라보다 0.4초나 빨라서 금고에 순간 폭딜을 쏟아부을 수 있다. 기동성도 괜찮은 편이고, '버서커' 스타 파워가 있으면 성능이 상상을 초월한다. 그러나 타라는 이동 속도도 보통이고 10레벨 기준 최대 데미지가 1764 밖에 되지 않으며, 기동성을 올려주는 스킬도 전혀 갖추고 있지 않다. 때문에 하이스트 모드에서는 다른 브롤러를 택하도록 하자. '블랙 포털' 스타 파워로 금고에 데미지를 많이 박을 수 있지 않냐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 체력과 공격 속도 등 여러 모로 [[니타 (브롤스타즈)|니타]]의 '하이퍼 베어'의 하위호환이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티켓 이벤트|로보 럼블]]: 체력이 높지도 않고 공격력이 센 편도 아니며 궁극기로 막아내기도 힘들다. 오는 로보들을 궁극기로 쓸어갈 수 있지 않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후로 갈수록 로보들은 사방팔방에서 다 튀어나오기에 궁극기도 쓸모가 없게 된다. 또한 로보 럼블 특성상 궁극기가 3배 가량 늦게 충전되기에, 안 그래도 느린 타라의 궁극기 충전이 3배가 느려진다면, 사실상 없는 것만 못하다.{{ㅈ|원래대로여도 13개 카드, 근데 3배 느려지면 39 카드... 이는 13대를 풀로 맞춰야 궁극기가 충전된다는 의미이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하이스트|하이스트]] (5티어) : 하이스트 모드를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높은 데미지나 좋은 지속화력, 느리지 않은 재장전 속도 또는 스로어라는 어드밴티지가 요구되지만, 타라는 4개중 어느 쪽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금고에 데미지를 많이 넣을려면 바짝 붙어서 때려야 하는데, 기동성도 좋은 편이 아닐 뿐더러 장전 속도도 2.0초로 매우 느리다. 당장 [[불 (브롤스타즈)|불]]과 비교해봐도 알 수 있는데, 불은 10레벨 기준 '''2800'''이라는 무시무시한 데미지를 가진 데에다 장전 속도도 1.6초로 타라보다 0.4초나 빨라서 금고에 순간 폭딜을 쏟아부을 수 있다. 기동성도 괜찮은 편이고, '버서커' 스타 파워가 있으면 성능이 상상을 초월한다. 그러나 타라는 이동 속도도 보통이고 10레벨 기준 최대 데미지가 1764 밖에 되지 않으며, 기동성을 올려주는 스킬도 전혀 갖추고 있지 않다. 때문에 하이스트 모드에서는 다른 브롤러를 택하도록 하자. '블랙 포털' 스타 파워로 금고에 데미지를 많이 박을 수 있지 않냐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 체력과 공격 속도 등 여러 모로 [[니타 (브롤스타즈)|니타]]의 '하이퍼 베어'의 하위호환이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시즈 팩토리|시즈 팩토리]] (3티어) : 궁극기로 수비 및 공격하러 오는 적들을 순식간에 빈사 및 사망시킬 수 있고 볼트를 먹고 도망치는 적을 궁극기로 잡아놓을 수도 있지만, 기동성이 부족하고 원거리전에 약하기 때문에 시즈 팩토리 라인전에서는 크게 활약하지는 못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실력에 따라서도 성능이 결정된다고 할 수도 있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핫 존|핫 존]] (1티어) : 관통형 일반 공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핫 존에서 생각보다 강력한 성능을 보인다. 거점 안에 모인 적을 궁극기로 모아 한 번에 보내버릴 수도 있고 사정거리도 길기 때문에 거점을 먹으려는 적을 견제하는 데에도 꽤 괜찮다. 젬 그랩 모드처럼 짜릿한 역전승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드이기도 하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빅 게임|빅 게임]] (빅 브롤러) (1티어) : 기본 공격의 데미지도 강력하고 장전 속도도 빨라지며, 때문에 궁극기를 채우기도 더욱더 수월해진다. 또한 일반 브롤러 '''5명을 한꺼번에 궁극기로 묶어서 제거할 수 있다.''' 데미지가 1.5배나 세지는 마당에 사정거리도 매우 길기에 일반 브롤러들이 타라에게 접근하기도 꽤나 까다로워진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빅 게임|빅 게임]] (일반 브롤러) (3티어) : 보스에게 근접해야 딜이 제대로 들어가기 때문에 생각보다 난이도가 꽤나 높다. 빅 브롤러는 단 한 명이기 때문에 궁극기를 써도 환상적인 성능까지는 미치지도 못한다. 그러나 실력만 있자면 의외로 데미지가 쏠쏠하게 잘 박히는 편이고 궁극기로 보스를 잠깐이라도 정신 못 차리게 할 수 있기에.. 뭔가 좋다고 말하기도, 아니라기도 참 애매하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로보 럼블|로보 럼블]] (5티어) : 체력이 높지도 않고 공격력이 센 편도 아니며 궁극기로 막아내기도 힘들다. 오는 로보들을 궁극기로 쓸어갈 수 있지 않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후로 갈수록 로보들은 사방팔방에서 다 튀어나오기에 궁극기도 쓸모가 없게 된다. 또한 로보 럼블 특성상 궁극기가 3배 가량 늦게 충전되기에, 안 그래도 느린 타라의 궁극기 충전이 3배가 느려진다면, 사실상 없는 것만 못하다.{{ㅈ|원래대로여도 12개 카드, 근데 3배 느려지면 36 카드... 이는 12대를 풀로 맞춰야 궁극기가 충전된다는 의미이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티켓 이벤트|보스전]]: 절대 쓰지 말자. 보스전 특성상 맵에 넓어 궁극기를 활용할 수 없는 데에다 보스에게 데미지를 많이 넣은 것이 중요한 모드인데, 그런 주제에 데미지가 세지도 않다. 또한 보스에게 붙어야 데미지가 제대로 들어가는데, 그러면서 체력이 높지도 않다. 기동성도 떨어지기에 나중에 갈수록 점점 트롤짓만 하게 되니 보스전에서는 안 쓰는게 상책이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보스전|보스전]] (5티어) : 절대 쓰지 말자. 보스전 특성상 맵에 넓어 궁극기를 활용할 수 없는 데에다 보스에게 데미지를 많이 넣은 것이 중요한 모드인데, 그런 주제에 데미지가 세지도 않다. 또한 보스에게 붙어야 데미지가 제대로 들어가는데, 그러면서 체력이 높지도 않다. 기동성도 떨어지기에 나중에 갈수록 점점 트롤짓만 하게 되니 보스전에서는 안 쓰는게 상책이다.
* [[브롤스타즈/게임 모드/슈퍼 시티 램피지|슈퍼 시티 램피지]] (4티어) : 별로다. 궁극기도 굉장히 느리게 차고 데미지도 [[불 (브롤스타즈)|불]] 등의 브롤러에 비해서는 터무니없이 약하기에 차라리 다른 브롤러를 쓰는 것이 훨씬 낫다. 물론 궁극기로 보스를 잠시 건물에서 떼어내어 잡아놓을 수는 있지만 그 뿐이다. 심지어는 궁극기를 잘못 쓰게 되면 오히려 건물을 부수는 엄청난 트롤링이 될 수 있기에, 그냥 다른 브롤러를 쓰도록 하자.


== 업데이트 기록 ==
== 업데이트 기록 ==
* 2017년 9월 3일, 신규 브롤러로 신화 등급의 타라가 출시되었다.
* 2017년 9월 3일, 신규 브롤러로 신화 등급의 타라가 출시되었다.
* 2017년 9월 12일, 기본 체력이 800에서 700으로 감소하고 기본 공격의 장전 속도가 1.8초에서 2초로 증가하였다. 또한 기본 공격의 사정거리가 8.67타일에서 8타일로 감소하였다.(너프)
* 2017년 9월 12일, 기본 체력이 800에서 700으로 감소하고 기본 공격의 장전 속도가 1.8초에서 2초로 증가하였다. 또한 기본 공격의 사정거리가 8.67타일에서 8타일로 감소하였다.(너프)


102번째 줄: 103번째 줄:


* 2017년 12월 7일, 모든 브롤러의 스탯이 4배가 됨에 따라 타라의 스탯도 기존의 4배가 되었다.
* 2017년 12월 7일, 모든 브롤러의 스탯이 4배가 됨에 따라 타라의 스탯도 기존의 4배가 되었다.
* 2018년 1월 16일, 궁극기의 피해량이 560에서 80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 2018년 1월 16일, 궁극기의 피해량이 560에서 80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112번째 줄: 112번째 줄:


* 2019년 6월 27일, 타라가 리모델링되고 음성이 추가되었다.
* 2019년 6월 27일, 타라가 리모델링되고 음성이 추가되었다.
* 2019년 8월 28일, 타라의 스타 파워 그림자의 체력이 2400에서 3000으로 증가하였으며, '그림자 치유' 스타 파워의 그림자가 체력이 가득 찬 아군의 체력을 회복시키지 않도록 변경되었다.(버프)
* 2019년 8월 28일, 타라의 스타 파워 그림자의 체력이 2400에서 3000으로 증가하였으며, '그림자 치유' 스타 파워의 그림자가 체력이 가득 찬 아군의 체력을 회복시키지 않도록 변경되었다.(버프)


122번째 줄: 121번째 줄:


* 2020년 7월 2일, 기본 공격의 카드 당 데미지가 420에서 46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 2020년 7월 2일, 기본 공격의 카드 당 데미지가 420에서 46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 2020년 9월 10일, 궁극기 충전에 요구되는 평타 적중 타수가 1 카드 감소하였다.(버프)


== 기타 및 여담 ==
== 기타 및 여담 ==

2021년 6월 20일 (일) 01:17 기준 최신판

타라는 게임 《브롤스타즈》의 브롤러로 브롤 상자를 열어서 얻을 수 있는 신화 등급의 브롤러이며 중장거리 싸움에 특화된 파이터이다.

Brawl Stars logo.png 브롤스타즈의 브롤러 목록
기본 브롤러&트로피 진척도 보상 브롤쉘리.png
쉘리
브롤니타.png
니타
브롤콜트.png
콜트
브롤불.png
브롤제시.png
제시
브롤브록.png
브록
브롤다이너마이크.png
다이너마이크
브롤보.png
브롤틱.png
8비트 (브롤스타즈)
8비트
브롤엠즈.png
엠즈
브롤스튜.png
스튜
희귀 브롤엘프리모.png
엘 프리모
브롤발리.png
발리
브롤포코.png
포코
브롤로사.png
로사
초희귀 브롤리코.png
리코
브롤대릴.png
대릴
브롤페니.png
페니
칼
브롤재키.png
재키
영웅 브롤파이퍼.png
파이퍼
브롤팸.png
브롤프랭크.png
프랭크
브롤비비.png
비비
브롤비.png
나니
나니
브롤에드거.png
에드거
브롤그리프.png
그리프
신화 브롤모티스.png
모티스
브롤타라.png
타라
브롤진.png
브롤맥스.png
맥스
브롤미스터피.png
미스터 P
브롤스프라우트.png
스프라우트
Byron Portrait.png
바이런
브롤스퀴크.png
스퀴크
전설 브롤스파이크.png
스파이크
브롤크로우.png
크로우
브롤레온.png
레온
브롤샌디.png
샌디
브롤앰버 .png
앰버
브롤메그.png
메그
브롤게일.png
게일
브롤서지.png
서지
브롤콜레트.png
콜레트
브롤루.png
브롤러프스대령.png
러프스 대령
브롤벨.png
브롤버즈.png
버즈
브롤애쉬.png
애쉬
브롤롤라.png
롤라
브롤러들의 각 패치 기록은 이 곳에서 확인
Tara skin.png
Iris Tara skin.png
기본 스킨 아이리스 타라

스탯[편집 | 원본 편집]

기본 체력은 3400이고 이동 속도는 초당 2.4타일이며 장전 속도는 2.0초이다. 기본 공격은 샷건, 브롤러 관통, 다중(이름은 트리플 타로[1])이고 기본 공격력은 460에 3탄이며 사정거리는 8타일이다. 궁극기는 곡사, 기절, 폭발(이름은 중력장[2])이고 기본 공격력은 800이며 사정거리는 6.67타일, 블랙홀 반지름은 4타일이다.

레벨에 따른 스탯[편집 | 원본 편집]

레벨 체력 1탄당 공격력 궁극기 공격력
1 3400 460 800
2 3570 483 840
3 3740 506 880
4 3910 529 920
5 4080 552 960
6 4250 575 1000
7 4420 598 1040
8 4590 621 1080
9~10 4760 644 1120

스타 파워[편집 | 원본 편집]

이 중 하나만 쓸 수 있다.(10레벨 전용)

  • 블랙 포털: 특수 공격으로 소환된 다른 차원의 그림자가 적들을 공격한다.
  • 그림자 치유: 특수 공격으로 소환된 다른 차원의 그림자가 본인과 아군의 HP를 400씩 회복시켜준다.

가젯[편집 | 원본 편집]

2020년 3월 17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보조 기술이며, 한 판당 3번 쓸수 있다. 7레벨 이상부터 얻을 수 있다.

  • 초능력 증폭기: 5초 동안 아군과 함께 부쉬에 숨어 있는 적, 또는 은신을 한 적을 볼 수 있다. 단, 공격을 하면 가젯이 풀린다.

스킨[편집 | 원본 편집]

  • 아이리스 타라 (스타 포인트 500)
  • 길거리 닌자 타라 (보석 150)

리모델링[편집 | 원본 편집]

붕대의 색깔이 진해지고 눈의 모양이 바뀌었다.

캐릭터의 성능 및 장단점[편집 | 원본 편집]

타라는 모티스와 비슷한 예로 매우 뛰어난 일반 공격 기술 및 궁극기를 가지고 있다. 일반 공격의 경우 멀어질수록 데미지는 약해지지만 사정거리가 길고, 근거리에서 붙을 때는 데미지가 배로 강력해지기에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또한 브롤러 관통이 가능하여 뒤에 있는 적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도 있는 뛰어난 공격 기술이다. 하지만 이것저것 말할 것도 없이 타라의 가장 큰 자랑거리이자 장점은 바로 궁극기의 어마어마한 성능. 적이 1명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면 모를까, 세 명 이상이서 멀지 않은 거리에 모여 있을 때는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800씩 3명에게 골고루 데미지만 주어도 무려 2400이라는 데미지가 들어가며, 이렇게 되면 궁극기 게이지의 거의 40%정도까지 채울 수 있는 어마어마한 피해량이다. 물론 쇼다운에서 초근접전을 벌이고 있는 다수의 적들에게도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며, 타라의 체험판에서 20마리의 로봇 가운데에 블랙홀을 풀어놓아도 그 성능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뛰어난 궁극기 역시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바로 궁극기 충전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점. 4탄창을 풀로 맞추고도 1개의 카드를 더 맞춰야 궁극기가 충전되는데, 재장전 속도도 2.0초로 느린 편이라 그 사이에 근접 브롤러가 붙으면 끝장이다. 이러한 궁극기 충전 속도 및 장전 속도 때문에 계속 궁극기로 꿀 빨 타이밍만 노리게 되며, 자연스럽게 결국에는 궁극기만을 신뢰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궁극기를 한 번 맞추면 다음 궁극기는 채우기 수월할 수도 있지만, 명중률을 높이려면 그만큼의 집중력이 요구되며, 뻘궁을 쓰게 될 시 궁극기 충전 노가다를 또 해야 하기에 상당히 쓰기 어려울 수도 있는 브롤러이기도 하다.

타라의 모드별 평가[편집 | 원본 편집]

타라가 모드 별로 플레이하기에 어느 정도 적합한지 서술하였다. 1티어-2티어-3티어-4티어-5티어(트롤픽) 이렇게 각각 5단계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티어의 숫자가 더 낮을수록 해당 모드에 더 특화되고 적합한 것이다.

  • 젬 그랩 (1티어) : 젬 그랩 특성상 브롤러들이 한 곳으로 몰리는 경우가 많기에, 타라의 궁극기를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만약 젬 나오는 곳에 적 3명이 모여있다면, 재빠르게 궁극기를 던져 게임을 뒤집어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궁극기 충전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리는 편이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젬 그랩에서 엄청난 사기성을 보여주는 브롤러. 가젯 '초능력 증폭기'까지 있으면 그 성능이 상상을 초월한다.
  • 솔로 쇼다운 (3티어) : 순간화력이 뭔가 아쉽고 장전 속도가 느려 상자를 파밍하는 속도 역시 비교적 느리다. 또한 갑작스러운 근접전에도 대응하기가 힘들다는 등 많은 단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타라의 훌륭한 궁극기로 적들을 순식간에 골로 보내버릴 수 있고, 관통형 공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는 위안이 되는 편.
  • 듀오 쇼다운 (1티어) : 타라의 순간화력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아군이 충분히 커버해줄 수 있으며, 뛰어난 궁극기를 이용하여 팀 하나를 순간 삭제할 수도 있어서 좋다. 풀숲이 많은 맵에서는 가젯을 잘 활용할 수가 있기에 듀오 쇼다운에 상당히 잘 어울린다.
  • 브롤 볼 (1티어) : 매우 강력하다. 체력은 높지 않지만 궁극기가 브롤 볼 맞춤형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뛰어나다. 공을 몰고 가다가 앞의 아군에게 패스한 후 궁극기를 써서 상대를 제거한 뒤 골로 연결시킬 수도 있으며, 타라 본인이 공을 몰고 가다가도 잠시 앞으로 공을 차 놓은 뒤 제거하고 골을 넣을 수도 있다. 수비 면에서도 공격 면에서도 빛을 발하는 브롤 볼 1티어 브롤러.
  • 바운티 (4티어) : 스탯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바운티 모드 특성상 타라가 원하는 그림이 쉽게 나오지 않는다. 타라는 궁극기로 순식간에 적들을 묶어 한 번에 사형시키는 것이 매력인데, 바운티 모드의 경우 적들이 각자 부쉬에서 저격수 브롤러를 가지고 매복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타라가 활약할 만한 상황이 잘 연출되지 않는다. 기동성도 별로라서 접근하다가 얻어맞고 죽는 경우가 태반이기에 다른 브롤러를 쓰는 것이 차라리 낫다. 그러나 '뱀의 초원' 맵에서 가젯 '초능력 증폭기'를 가지고 있는 타라가 있다면 말이 달라지는데, 뱀의 초원 맵은 부쉬로 뒤덮여 있어 적들이건 아군이건 3명이 뭉쳐다니는 경우가 많기에 타라가 가젯을 쓰게 되면 팀원들의 시야를 5초라는 결코 짧지 않은 시간동안 확보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이 방심한 사이 순식간에 위치를 확인하고 3명을 궁으로 묶어 보내버릴 수도 있다. 때문에 뱀의 초원 맵에서 가젯이 있는 타라는 0티어 취급을 받는다.
  • 하이스트 (5티어) : 하이스트 모드를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높은 데미지나 좋은 지속화력, 느리지 않은 재장전 속도 또는 스로어라는 어드밴티지가 요구되지만, 타라는 4개중 어느 쪽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금고에 데미지를 많이 넣을려면 바짝 붙어서 때려야 하는데, 기동성도 좋은 편이 아닐 뿐더러 장전 속도도 2.0초로 매우 느리다. 당장 과 비교해봐도 알 수 있는데, 불은 10레벨 기준 2800이라는 무시무시한 데미지를 가진 데에다 장전 속도도 1.6초로 타라보다 0.4초나 빨라서 금고에 순간 폭딜을 쏟아부을 수 있다. 기동성도 괜찮은 편이고, '버서커' 스타 파워가 있으면 성능이 상상을 초월한다. 그러나 타라는 이동 속도도 보통이고 10레벨 기준 최대 데미지가 1764 밖에 되지 않으며, 기동성을 올려주는 스킬도 전혀 갖추고 있지 않다. 때문에 하이스트 모드에서는 다른 브롤러를 택하도록 하자. '블랙 포털' 스타 파워로 금고에 데미지를 많이 박을 수 있지 않냐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 체력과 공격 속도 등 여러 모로 니타의 '하이퍼 베어'의 하위호환이다.
  • 시즈 팩토리 (3티어) : 궁극기로 수비 및 공격하러 오는 적들을 순식간에 빈사 및 사망시킬 수 있고 볼트를 먹고 도망치는 적을 궁극기로 잡아놓을 수도 있지만, 기동성이 부족하고 원거리전에 약하기 때문에 시즈 팩토리 라인전에서는 크게 활약하지는 못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실력에 따라서도 성능이 결정된다고 할 수도 있다.
  • 핫 존 (1티어) : 관통형 일반 공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핫 존에서 생각보다 강력한 성능을 보인다. 거점 안에 모인 적을 궁극기로 모아 한 번에 보내버릴 수도 있고 사정거리도 길기 때문에 거점을 먹으려는 적을 견제하는 데에도 꽤 괜찮다. 젬 그랩 모드처럼 짜릿한 역전승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드이기도 하다.
  • 빅 게임 (빅 브롤러) (1티어) : 기본 공격의 데미지도 강력하고 장전 속도도 빨라지며, 때문에 궁극기를 채우기도 더욱더 수월해진다. 또한 일반 브롤러 5명을 한꺼번에 궁극기로 묶어서 제거할 수 있다. 데미지가 1.5배나 세지는 마당에 사정거리도 매우 길기에 일반 브롤러들이 타라에게 접근하기도 꽤나 까다로워진다.
  • 빅 게임 (일반 브롤러) (3티어) : 보스에게 근접해야 딜이 제대로 들어가기 때문에 생각보다 난이도가 꽤나 높다. 빅 브롤러는 단 한 명이기 때문에 궁극기를 써도 환상적인 성능까지는 미치지도 못한다. 그러나 실력만 있자면 의외로 데미지가 쏠쏠하게 잘 박히는 편이고 궁극기로 보스를 잠깐이라도 정신 못 차리게 할 수 있기에.. 뭔가 좋다고 말하기도, 아니라기도 참 애매하다.
  • 로보 럼블 (5티어) : 체력이 높지도 않고 공격력이 센 편도 아니며 궁극기로 막아내기도 힘들다. 오는 로보들을 궁극기로 쓸어갈 수 있지 않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후로 갈수록 로보들은 사방팔방에서 다 튀어나오기에 궁극기도 쓸모가 없게 된다. 또한 로보 럼블 특성상 궁극기가 3배 가량 늦게 충전되기에, 안 그래도 느린 타라의 궁극기 충전이 3배가 느려진다면, 사실상 없는 것만 못하다.[3]
  • 보스전 (5티어) : 절대 쓰지 말자. 보스전 특성상 맵에 넓어 궁극기를 활용할 수 없는 데에다 보스에게 데미지를 많이 넣은 것이 중요한 모드인데, 그런 주제에 데미지가 세지도 않다. 또한 보스에게 붙어야 데미지가 제대로 들어가는데, 그러면서 체력이 높지도 않다. 기동성도 떨어지기에 나중에 갈수록 점점 트롤짓만 하게 되니 보스전에서는 안 쓰는게 상책이다.
  • 슈퍼 시티 램피지 (4티어) : 별로다. 궁극기도 굉장히 느리게 차고 데미지도 등의 브롤러에 비해서는 터무니없이 약하기에 차라리 다른 브롤러를 쓰는 것이 훨씬 낫다. 물론 궁극기로 보스를 잠시 건물에서 떼어내어 잡아놓을 수는 있지만 그 뿐이다. 심지어는 궁극기를 잘못 쓰게 되면 오히려 건물을 부수는 엄청난 트롤링이 될 수 있기에, 그냥 다른 브롤러를 쓰도록 하자.

업데이트 기록[편집 | 원본 편집]

  • 2017년 9월 3일, 신규 브롤러로 신화 등급의 타라가 출시되었다.
  • 2017년 9월 12일, 기본 체력이 800에서 700으로 감소하고 기본 공격의 장전 속도가 1.8초에서 2초로 증가하였다. 또한 기본 공격의 사정거리가 8.67타일에서 8타일로 감소하였다.(너프)
  • 2017년 10월 5일, 기본 체력이 700에서 800으로 증가하고 궁극기의 기본 데미지가 100에서 14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 2017년 12월 7일, 모든 브롤러의 스탯이 4배가 됨에 따라 타라의 스탯도 기존의 4배가 되었다.
  • 2018년 1월 16일, 궁극기의 피해량이 560에서 80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 2018년 9월 27일, 기본 공격의 카드 당 데미지가 400에서 380으로 감소하였다.(너프)
  • 2018년 12월 5일, 궁극기의 충전 속도가 느려지게 되었다.(너프)
  • 2019년 1월 29일, '블랙 포털' 스타 파워의 그림자 펀치 당 피해량이 200에서 400으로 증가하고 그림자의 체력이 2000에서 240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 2019년 6월 27일, 타라가 리모델링되고 음성이 추가되었다.
  • 2019년 8월 28일, 타라의 스타 파워 그림자의 체력이 2400에서 3000으로 증가하였으며, '그림자 치유' 스타 파워의 그림자가 체력이 가득 찬 아군의 체력을 회복시키지 않도록 변경되었다.(버프)
  • 2019년 10월 9일, 기본 공격의 카드 당 데미지가 380에서 420으로 증가하고 '블랙 포털' 스타 파워의 그림자 펀치 당 데미지가 400에서 600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그림자 치유' 스타 파워의 그림자가 은신 상태의 아군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버프)
  • 2019년 12월 5일, '블랙 포털' 스타 파워의 그림자 펀치 당 데미지가 600에서 80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 2020년 6월 16일, 기본 체력이 3200에서 340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 2020년 7월 2일, 기본 공격의 카드 당 데미지가 420에서 460으로 증가하였다.(버프)
  • 2020년 9월 10일, 궁극기 충전에 요구되는 평타 적중 타수가 1 카드 감소하였다.(버프)

기타 및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타라에게도 음성이 있지만 알아들을 수 없는 괴상망측한 소리를 낸다. 특히 피격 시에는..우에에에엙!!!!

각주

  1. Triple Tarot
  2. Gravity
  3. 원래대로여도 12개 카드, 근데 3배 느려지면 36 카드... 이는 12대를 풀로 맞춰야 궁극기가 충전된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