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전유: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사회학분류:문화 Cultural Appropriation == 개요 == '''문화적 전유''', '''문화적 도용''' 또는 '''문화적 침략''' 어느 한 문화집단이 다...)
 
잔글 (오류 수정 (빈칸))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문화적 전유''', '''문화적 도용''' 또는 '''문화적 침략'''
'''문화적 전유''' 또는 '''문화적 도용'''


어느 한 문화집단이 다른 인종이나 문화집단의 전통 문화를 존중이나 이해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  
어느 한 문화집단이 다른 인종이나 문화집단의 전통 문화를 존중이나 이해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근래에는 정체성과 다른 문화를 가진 개인이나 집단이 다른 정체성을 차용하는 것 자체를 비난하는 단어로 과하게 납용되고 있다.
다만 근래에는 정체성과 다른 문화를 가진 개인이나 집단이 다른 정체성을 차용하는 것 자체를 비난하는 단어로 과하게 납용되고 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예시 ==
== 예시 ==
이 단어가 근래에는 SJW들이 생떼부리는 용어로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에 어처구니없는 예시가 많아보일 수 있다.
이 단어가 근래에는 SJW들이 생떼부리는 용어로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에 어처구니없는 예시가 많아보일 수 있다.
* [[화이트워싱]]
* [[화이트워싱]]
* [[블랙페이스]] 흑인 분장
* 비무슬림이 히잡쓰는 것은 이슬람 문화를 도용하는 행태이다.
* 비무슬림이 히잡쓰는 것은 이슬람 문화를 도용하는 행태이다.
* 무슬림이 히잡을 안 쓰는 것은 서구문화에 물든 모습이다.
* 흑인이 아닌 자가 아프로 머리, 레게머리하는 건 인종차별이다.
* 흑인이 아닌 자가 아프로 머리, 레게머리하는건 인종차별이다.
* 일본 회사가 막걸리나 김치 팔아먹는 건 잘못된 것이다.
* 일본 회사가 막걸리나 김치 팔아먹는건 잘못된 것이다.
* 백인여성이 치파오 입는다.
* 백인여성이 치파오 입는건 문화적 전유다.


추가 바람.
[[추가바람]]


== 비판 ==
== 비판 ==
26번째 줄: 23번째 줄:


== 여담 ==
== 여담 ==
문화적 전유, 문화적 침략 드립은 보통 [[정체성 정치]]와 연관되어 있다.
문화적 전유, 문화적 동화 드립은 보통 [[정체성 정치]]와 연관되어 있다.


[[대안우파]]들의 선동에 의한 세간의 오해와 달리 일반적으로 문화적 전유 드립은 [[정치적 올바름]]과 별 연관성이 없다. 오히려 정치적 올바름에 반한다고 볼 수 있는데 특정 정체성을 단일화, [[범주화]]하는 발언이기 때문이다.
[[대안우파]]들의 선동에 의한 세간의 오해와 달리 일반적으로 문화적 전유 드립은 [[정치적 올바름]]과 별 연관성이 없다. 오히려 정치적 올바름에 반한다고 볼 수 있는데 특정 정체성을 단일화, [[범주화]]하는 발언이기 때문이다.

2021년 6월 19일 (토) 23:47 기준 최신판

Cultural Appropriation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문화적 전유 또는 문화적 도용

어느 한 문화집단이 다른 인종이나 문화집단의 전통 문화를 존중이나 이해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근래에는 정체성과 다른 문화를 가진 개인이나 집단이 다른 정체성을 차용하는 것 자체를 비난하는 단어로 과하게 납용되고 있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이 단어가 근래에는 SJW들이 생떼부리는 용어로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에 어처구니없는 예시가 많아보일 수 있다.

  • 화이트워싱
  • 비무슬림이 히잡쓰는 것은 이슬람 문화를 도용하는 행태이다.
  • 흑인이 아닌 자가 아프로 머리, 레게머리하는 건 인종차별이다.
  • 일본 회사가 막걸리나 김치 팔아먹는 건 잘못된 것이다.
  • 백인여성이 치파오 입는다.

추가바람

비판[편집 | 원본 편집]

문화에 지적재산권을 주장하기 어려우며 인종차별이나 타 문화에 대한 몰이해, 비존중이 아닌 이상 누구에게도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권리는 없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문화적 전유, 문화적 동화 드립은 보통 정체성 정치와 연관되어 있다.

대안우파들의 선동에 의한 세간의 오해와 달리 일반적으로 문화적 전유 드립은 정치적 올바름과 별 연관성이 없다. 오히려 정치적 올바름에 반한다고 볼 수 있는데 특정 정체성을 단일화, 범주화하는 발언이기 때문이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