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태그: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top: 틀 개명)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해시태그'''({{lang|en|hashtag}})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해시 기호]] (#) 뒤에 특정 단어를 쓰면 그 단어에 대한 글을 모아서 볼 수 있다. 주로 [[트위터]]나 [[인스타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는데, 특히 트위터에는 실시간 트렌드라는 기능이 있어서 논란이나 사건사고 등이 일어나면 그 사건에 관한 해시태그가 만들어져서 실시간 트렌드에 올라올 때도 있다. 이를 활용해 실시간 트렌드에 올려 더 많은 사람들한테 알리는 역할로 사용되기도 한다.  
'''해시태그'''({{영어=|hashtag}})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해시 기호]] (#) 뒤에 특정 단어를 쓰면 그 단어에 대한 글을 모아서 볼 수 있다. 주로 [[트위터]]나 [[인스타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는데, 특히 트위터에는 실시간 트렌드라는 기능이 있어서 논란이나 사건사고 등이 일어나면 그 사건에 관한 해시태그가 만들어져서 실시간 트렌드에 올라올 때도 있다. 이를 활용해 실시간 트렌드에 올려 더 많은 사람들한테 알리는 역할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여 유도를 위해 의도적으로 여러 해시태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미디어 모니터링 서비스 업체 Mention의 2018년 트위터 참여 반응 보고서에 따르면 트윗에 해시태그가 하나만 있더라도 참여율이 감소하며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f><small>'''(영어)'''</small> [https://mention.com/en/reports/twitter/ The Twitter Engagement Report 2018 | Mention]</ref><ref><small>'''(일본어)'''</small> [https://gigazine.net/news/20180727-twitter-engagement-report/ ハッシュタグ付きのツイートは「好意的な反応を得られない」ことがTwitter分析レポートで明らかに - GIGAZINE] darkhorse_log, GIGAZINE, 2018.7.27.</ref><ref>[https://twitter.com/purengom/status/1023362960314363904 푸른곰 트위터] 푸른곰, 2018.7.28.</ref>
참여 유도를 위해 의도적으로 여러 해시태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미디어 모니터링 서비스 업체 Mention의 2018년 트위터 참여 반응 보고서<ref><small>'''(영어)'''</small> [https://mention.com/en/reports/twitter/ The Twitter Engagement Report 2018 | Mention] Mention Solutions, 2018.</ref><ref><small>'''(일본어)'''</small> [https://gigazine.net/news/20180727-twitter-engagement-report/ ハッシュタグ付きのツイートは「好意的な反応を得られない」ことがTwitter分析レポートで明らかに - GIGAZINE] darkhorse_log, GIGAZINE, 2018.7.27.</ref><ref>[https://twitter.com/purengom/status/1023362960314363904 푸른곰 트위터] 푸른곰, 2018.7.28.</ref>와 인스타그램 보고서<ref><small>'''(영어)'''</small> [https://mention.com/blog/instagram-hashtags-engagement/ Instagram Engagement Report 2018 | Mention] Mention Solutions, 2018.</ref><ref><small>'''(영어)'''</small> [https://mention.com/blog/instagram-hashtags-engagement/ New Report/ Instagram Hashtags Don't Increase Engagement] PATRICK WHATMAN, The Mention Blog, 2018.4.25.</ref>에 따르면 해시태그가 하나만 있더라도 참여율이 감소하며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주}}
{{각주}}
[[분류: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분류:해시태그| ]]
[[분류:트위터]]

2022년 3월 16일 (수) 11:04 기준 최신판

해시태그(hashtag)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해시 기호 (#) 뒤에 특정 단어를 쓰면 그 단어에 대한 글을 모아서 볼 수 있다. 주로 트위터인스타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는데, 특히 트위터에는 실시간 트렌드라는 기능이 있어서 논란이나 사건사고 등이 일어나면 그 사건에 관한 해시태그가 만들어져서 실시간 트렌드에 올라올 때도 있다. 이를 활용해 실시간 트렌드에 올려 더 많은 사람들한테 알리는 역할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여 유도를 위해 의도적으로 여러 해시태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미디어 모니터링 서비스 업체 Mention의 2018년 트위터 참여 반응 보고서[1][2][3]와 인스타그램 보고서[4][5]에 따르면 해시태그가 하나만 있더라도 참여율이 감소하며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