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더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철도 노선 정보))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아우더 선 <small>(암스테르담–로테르담 선)</small>
|이름    = 아우더선<br />암스테르담–로테르담선
|노선명2 = Oude Lijn <small>(Spoorlijn Amsterdam–Rotterdam)</small>
|원어이름 = Oude Lijn<br />Spoorlijn Amsterdam–Rotterdam
|배경색 =  
|배경색   =
|그림 =  
|글자색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alt  =  
|그림크기2 =
|나라     = {{깃발|네덜란드}} [[네덜란드]]
|그림설명2 =
|종류    = 간선철도
|종류 = 간선철도
|번호     =  
|나라 = {{국기그림|네덜란드}} [[네덜란드]]
|구간    =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 중앙]]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중앙]]
|체계 =  
|번호 =  
|상태 = 영업 중
|노선 =
|기점 = [[암스테르담 중앙역]]
|종점 = [[로테르담 중앙역]]
|역수 = 21
|이용자 =
|개통일 = 1839년 9월 20일
|폐지일 =
|소유자 = [[네덜란드 철도|NS]], ProRail
|운영자 = [[네덜란드 철도|NS]]
|영업거리 = 85.3 km
|영업거리 = 85.3 km
|실거리 =  
|역수    = 21개
|시설연장 =  
|소유자  = [[네덜란드 철도|NS]], ProRail
|궤간 = 1,435 mm [[표준궤]]
|운영자  = [[네덜란드 철도|NS]]
|궤도 =
|개통일  = [[1839년]] [[9월 20일]]
|선로 = 4 (하기 이외 구간)<br />2 (암스테르담–라이던, 레이스베이크–스히담)
|폐지일  =
|전철화 = 전 구간 가공전차선 직류 1,500 V
|경유노선 =
|신호 =  
|차량기지 =  
|영업최고속도 = 140 km/h
|궤간     = 1,435 mm ([[표준궤]])
|설계최고속도 = 140 km/h
|선로     = 4 (하기 이외 구간)<br />2 (암스테르담–라이던, 레이스베이크–스히담)
|주석 =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신호     =  
|비고    =  
}}
}}
{{+1|Oude Lijn}} (Spoorlijn Amsterdam–Rotterdam)<br />아우더 선 {{-1|(암스테르담–로테르담 선)}}


== 개요 ==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노선으로,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을 [[하를럼]]을 경유해 잇는 노선이다. 통용되는 명칭은 ''아우더 선''(Oude Lijn)으로, 네덜란드어로 오래된(Oude) 선이라는 뜻이다.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노선으로,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을 [[하를럼]]을 경유해 잇는 노선이다. 통용되는 명칭은 ''아우더 선''(Oude Lijn)으로, 네덜란드어로 오래된(Oude) 선이라는 뜻이다.


아우더 선의 경로는 암스테르담부터 레이던까지는 과거 운하 양안에 정비된 길을 따라 말을 배치, 보트와 연결하여 끄는 마력 보트(Trekschuit)용 운하 경로를 따라간다. 1839년부터 1847년까지에 걸쳐 홀란드 철도회사(Hollandsche IJzeren Spoorweg-Maatschappij; HIJSM)에 의해 전 구간이 개통된다. 다만 앞서 다룬 암스테르담부터 레이던까지의 경로는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을 직선으로 잇는 경로는 아니다. 이는 현재 [[스히폴 국제공항]]이 들어선 부분이 새로 간척된 간척지기 때문. 현재의 주요 간선 열차는 [[암스테르담–스히폴 선]] 및 [[스히폴 선|베이스프–스히폴 선]] 등을 거치며, 고속열차의 경우 [[네덜란드 남부고속선]] 등을 이용해 내려간다.
아우더 선의 경로는 암스테르담부터 레이던까지는 과거 운하 양안에 정비된 길을 따라 말을 배치, 보트와 연결하여 끄는 마력 보트(Trekschuit)용 운하 경로를 따라간다. 1839년부터 1847년까지에 걸쳐 홀란드 철도회사(Hollandsche IJzeren Spoorweg-Maatschappij; HIJSM)에 의해 전 구간이 개통된다. 다만 앞서 다룬 암스테르담부터 레이던까지의 경로는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을 직선으로 잇는 경로는 아니다. 이는 현재 [[스히폴 국제공항]]이 들어선 부분이 새로 간척된 간척지기 때문. 현재의 주요 간선 열차는 [[암스테르담–스히폴선]] 및 [[스히폴선|베이스프–스히폴선]] 등을 거치며, 고속열차의 경우 [[네덜란드 남부고속선]] 등을 이용해 내려간다.


아무튼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 간을 잇는 경로로 오랫동안 이용되어 온, 한국으로 치면 거의 [[경부선]]급의 중요성을 가진 노선이다보니 통행량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특히 라이던부터 로테르담까지의 구간이 통행량이 매우 높은 편으로, [[스히폴 선]]이 합류하는 지점인 [[라이던 중앙역]]부터 덴하흐 남쪽의 델프트 분기점까지의 구간과, 후크 선이 합류하는 [[스히담 중심역]]부터 [[로테르담 중앙역]]까지의 구간은 복복선화 되어 있다. 다만 완전히 복선화가 끝난 것은 아니며, 델프트 역 지하화 및 레이스베이크 역 지하화 사업 등과 함께 잔여 구간에 대한 복복선화가 진행 중이다.
아무튼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 간을 잇는 경로로 오랫동안 이용되어 온, 한국으로 치면 거의 [[경부선]]급의 중요성을 가진 노선이다보니 통행량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특히 라이던부터 로테르담까지의 구간이 통행량이 매우 높은 편으로, [[스히폴선]]이 합류하는 지점인 [[라이던 중앙역]]부터 덴하흐 남쪽의 델프트 분기점까지의 구간과, 후크 선이 합류하는 [[스히담 중심역]]부터 [[로테르담 중앙역]]까지의 구간은 복복선화 되어 있다. 다만 완전히 복선화가 끝난 것은 아니며, 델프트 역 지하화 및 레이스베이크 역 지하화 사업 등과 함께 잔여 구간에 대한 복복선화가 진행 중이다.


== 운행 ==
== 운행 ==
52번째 줄: 41번째 줄:
=== 급행열차 ===
=== 급행열차 ===
네덜란드 철도에서 사용하는 [[인터시티]](Intercity) 등급<ref>독일 등에서 사용하는 것과 달리 도시간 열차보다는 광역급행열차의 성격을 더 많이 띈다.</ref>을 다룬다.
네덜란드 철도에서 사용하는 [[인터시티]](Intercity) 등급<ref>독일 등에서 사용하는 것과 달리 도시간 열차보다는 광역급행열차의 성격을 더 많이 띈다.</ref>을 다룬다.
* '''IC 700''': ([[흐로닝언 역|흐로닝언]] – [[즈볼러 역|즈볼러]] – [[암스테르담 남역|암스테르담]] – [[스히폴 역|스히폴]] –) [[라이던 중앙역|라이던]] – [[덴하흐 중앙역|덴하흐]] [시간당 1회]
* '''IC 700''': ([[흐로닝언역|흐로닝언]] – [[즈볼러역|즈볼러]] – [[암스테르담 남역|암스테르담]] – [[스히폴역|스히폴]] –) [[라이던 중앙역|라이던]] – [[덴하흐 중앙역|덴하흐]] [시간당 1회]
* '''IC 1100''': 덴하흐 (중앙역 – [[덴하흐 HS 역|HS]]) – [[델프트 역|델프트]]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 [[브레다 역|브레다]] – [[에인트호번 역|에인트호번]]) [시간당 2회]
* '''IC 1100''': 덴하흐 (중앙역 – [[덴하흐 HS역|HS]]) – [[델프트역|델프트]]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 [[브레다역|브레다]] – [[에인트호번역|에인트호번]]) [시간당 2회]
* '''IC 1800''': ([[리우바르던 역|리우바르던]] – 즈볼러 – 암스테르담 – 스히폴 –) 라이던 – 덴하흐 [시간당 1회]
* '''IC 1800''': ([[리우바르던역|리우바르던]] – 즈볼러 – 암스테르담 – 스히폴 –) 라이던 – 덴하흐 [시간당 1회]
* '''IC 2100''':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 – [[하를럼 역|하를럼]] – 라이던 – 덴하흐 [시간당 2회]
* '''IC 2100''':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 – [[하를럼역|하를럼]] – 라이던 – 덴하흐 [시간당 2회]
* '''IC 2200''': 암스테르담 – 하를럼 – 라이던 – [[덴하흐 HS 역|덴하흐]] – 델프트 – 로테르담 (– [[도르트레흐트 역|도르트레흐트]] – [[로젠달 역|로젠달]] – [[블리싱언 역|블리싱언]]) [시간당 2회]
* '''IC 2200''': 암스테르담 – 하를럼 – 라이던 – [[덴하흐 HS역|덴하흐]] – 델프트 – 로테르담 (– [[도르트레흐트역|도르트레흐트]] – [[로젠달역|로젠달]] – [[블리싱언역|블리싱언]]) [시간당 2회]
* '''IC 2400''': [[렐리스타트 중심역|렐리스타트]] – 암스테르담 – 스히폴 – 라이던 – 덴하흐 – 델프트 – 로테르담 (– 도르트레흐트) [시간당 2회, 야간 운행 없음]
* '''IC 2400''': [[렐리스타트 중심역|렐리스타트]] – 암스테르담 – 스히폴 – 라이던 – 덴하흐 – 델프트 – 로테르담 (– 도르트레흐트) [시간당 2회, 야간 운행 없음]
* '''IC 22200''': 암스테르담 – 하를럼 [1일 1왕복]
* '''IC 22200''': 암스테르담 – 하를럼 [1일 1왕복]
62번째 줄: 51번째 줄:
=== 완행열차 ===
=== 완행열차 ===
네덜란드 철도의 [[NS 스프린터|스프린터]](Sprinter) 등급을 다룬다.
네덜란드 철도의 [[NS 스프린터|스프린터]](Sprinter) 등급을 다룬다.
* '''Sp 4600''':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 – [[스히폴 역|스히폴]] – ) [[라이던 중앙역|라이던]] – [[덴하흐 중앙역|덴하흐]] [시간당 2회]
* '''Sp 4600''':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 – [[스히폴역|스히폴]] – ) [[라이던 중앙역|라이던]] – [[덴하흐 중앙역|덴하흐]] [시간당 2회]
* '''Sp 4800''': 암스테르담 – [[하를럼 역|하를럼]] (– [[베버베이크 역|베버베이크]] – [[알크마르 역|알크마르]] – [[호른 역|호른]]) [시간당 2회]
* '''Sp 4800''': 암스테르담 – [[하를럼역|하를럼]] (– [[베버베이크역|베버베이크]] – [[알크마르역|알크마르]] – [[호른역|호른]]) [시간당 2회]
* '''Sp 5000/5100''': 덴하흐 – [[델프트 역|델프트]]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 [[도르트레흐트 역|도르트레흐트]]) [시간당 4회]
* '''Sp 5000/5100''': 덴하흐 – [[델프트역|델프트]]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 [[도르트레흐트역|도르트레흐트]]) [시간당 4회]
* '''Sp 5400''': 암스테르담 – 하를럼 (– [[잔보르트 안 제이 역|잔보르트 안 제이]]) [시간당 2회]
* '''Sp 5400''': 암스테르담 – 하를럼 (– [[잔보르트 안 제이역|잔보르트 안 제이]]) [시간당 2회]
* '''Sp 6400''': 하를럼 – 라이던 – 덴하흐 [시간당 2회]
* '''Sp 6400''': 하를럼 – 라이던 – 덴하흐 [시간당 2회]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colspan="2" | 역명
! colspan="2" | 정거장
! 접속 노선
! 접속 노선
|-
|-
78번째 줄: 67번째 줄:
| [[암스테르담 중앙역]]
| [[암스테르담 중앙역]]
| Amsterdam Centraal
| Amsterdam Centraal
| [[라인 철도선|라인 철도선 <small>(암스테르담–엘텐 선)</small>]]<br />[[암스테르담–스키폴 선|암스테르담–스키폴 선 <small>(서부우회지선)</small>]]<br />[[덴헬더–암스테르담 선|덴헬더–암스테르담 선 <small>(국철 K선)</small>]]<br />[[동부 철도선|동부 철도선 <small>(암스테르담–쥣펀 선)</small>]]<br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f8991c; color: white;">&nbsp;51&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d91921; color: white;">&nbsp;53&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라인 철도선|라인 철도선 <small>(암스테르담–엘텐선)</small>]]<br />[[암스테르담–스키폴선|암스테르담–스키폴 선 <small>(서부우회지선)</small>]]<br />[[덴헬더–암스테르담선|덴헬더–암스테르담 선 <small>(국철 K선)</small>]]<br />[[동부 철도선|동부 철도선 <small>(암스테르담–쥣펀선)</small>]]<br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f8991c; color: white;">&nbsp;51&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d91921; color: white;">&nbsp;53&nbsp;</span> · <span style="background-color: #ffcd15; color: black;">&nbsp;54&nbsp;</span>)
|-
|-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0.0
86번째 줄: 75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3.0
| style="text-align: right;" | 3.0
| [[암스테르담 슬로터데이크 역|암스테르담 슬로터데이크]] <small>(지상)</small>
| [[암스테르담 슬로터데이크역|암스테르담 슬로터데이크]] <small>(지상)</small>
| Amsterdam Sloterdijk
| Amsterdam Sloterdijk
| 암스테르담–스키폴 선 <small>(서부우회지선)</small><br />덴헬더–암스테르담 선 <small>(국철 K선)</small><br />암스테르담 지하철 순환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ab4e; color: white;">&nbsp;50&nbsp;</span>)
| 암스테르담–스키폴 선 <small>(서부우회지선)</small><br />덴헬더–암스테르담 선 <small>(국철 K선)</small><br />암스테르담 지하철 순환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ab4e; color: white;">&nbsp;50&nbsp;</span>)
|-
|-
| style="text-align: right;" | 9.0
| style="text-align: right;" | 9.0
| [[하프베흐-즈바넌뷔르흐 역|하프베흐-즈바넌뷔르흐]]
| [[하프베흐-즈바넌뷔르흐역|하프베흐-즈바넌뷔르흐]]
| Halfweg-Zwanenburg
| Halfweg-Zwanenburg
|  
|  
|-
|-
| style="text-align: right;" | 14.3
| style="text-align: right;" | 14.3
| [[하를럼 스파른보우더 역|하를럼 스파른보우더]]
| [[하를럼 스파른보우더역|하를럼 스파른보우더]]
| Haarlem Spaarnwoude
| Haarlem Spaarnwoude
|  
|  
|-
|-
| style="text-align: right;" | 16.7
| style="text-align: right;" | 16.7
| [[하를럼 역|하를럼]]
| [[하를럼역|하를럼]]
| Haarlem
| Haarlem
| [[하를럼–아위트헤이스트 선|하를럼–아위트헤이스트 선 <small>(노르트홀란트 선)</small>]]<br />[[하를럼–잔보르트 선]]
| [[하를럼–아위트헤이스트선|하를럼–아위트헤이스트 선 <small>(노르트홀란트선)</small>]]<br />[[하를럼–잔보르트선]]
|-
|-
| style="text-align: right;" | 19.1
| style="text-align: right;" | 19.1
111번째 줄: 100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21.1
| style="text-align: right;" | 21.1
| [[헤임스테더-아에르던하우트 역|헤임스테더-아에르던하우트]]
| [[헤임스테더-아에르던하우트역|헤임스테더-아에르던하우트]]
| Heemstede-Aerdenhout
| Heemstede-Aerdenhout
|  
|  
|-
|-
| style="text-align: right;" | 28.0
| style="text-align: right;" | 28.0
| [[힐레홈 역|힐레홈]]
| [[힐레홈역|힐레홈]]
| Hillegom
| Hillegom
|  
|  
|-
|-
| style="text-align: right;" | 38.8
| style="text-align: right;" | 38.8
| [[보르하우트 역|보르하우트]]
| [[보르하우트역|보르하우트]]
| Voorhout
| Voorhout
|  
|  
128번째 줄: 117번째 줄:
| (분기점)<ref>'''바르몬드 역'''(Station Warmond)이 있던 자리다.</ref>
| (분기점)<ref>'''바르몬드 역'''(Station Warmond)이 있던 자리다.</ref>
|  
|  
| [[스히폴 선|스히폴 선 <small>(베이스프–스히폴 선)</small>]]
| [[스히폴선|스히폴 선 <small>(베이스프–스히폴선)</small>]]
|-
|-
| style="text-align: right;" | 45.6
| style="text-align: right;" | 45.6
| [[레이던 중앙역]]
| [[레이던 중앙역]]
| Leiden Centraal
| Leiden Centraal
| 스히폴 선 <small>(베이스프–스히폴 선)</small><br />[[부어던–레이던 선]]
| 스히폴 선 <small>(베이스프–스히폴선)</small><br />[[부어던–레이던선]]
|-
|-
| style="text-align: right;" | 48.4
| style="text-align: right;" | 48.4
| [[데 빙크 역|데 빙크]]
| [[데 빙크역|데 빙크]]
| De Vink
| De Vink
|  
|  
|-
|-
| style="text-align: right;" | 51.0
| style="text-align: right;" | 51.0
| [[보르스호턴 역|보르스호턴]]
| [[보르스호턴역|보르스호턴]]
| Voorschoten
| Voorschoten
|  
|  
|-
|-
| style="text-align: right;" | 57.0
| style="text-align: right;" | 57.0
| [[덴하흐 마리아후버 역|덴하흐 마리아후버]]
| [[덴하흐 마리아후버역|덴하흐 마리아후버]]
| Den Haag Mariahoeve
| Den Haag Mariahoeve
|  
|  
|-
|-
| style="text-align: right;" | 59.3
| style="text-align: right;" | 59.3
| [[덴하흐 란 반 NOI 역|덴하흐 란 반 NOI]]
| [[덴하흐 란 반 NOI역|덴하흐 란 반 NOI]]
| Den Haag Laan van NOI<ref>ProRail 기준. NS는 v NOI로 더 줄여쓴다. NOI는 공식적으로는 새동인도(Nieuw Oost-Indië)의 약자로 앞을 지나는 도로명에 붙어있기는 한데, 사실 니우오스트에인더(Nieuw Oosteinde)라는 여관이 있었던 자리라서 붙였다는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진다.</ref>
| Den Haag Laan van NOI<ref>ProRail 기준. NS는 v NOI로 더 줄여쓴다. NOI는 공식적으로는 새동인도(Nieuw Oost-Indië)의 약자로 앞을 지나는 도로명에 붙어있기는 한데, 사실 니우오스트에인더(Nieuw Oosteinde)라는 여관이 있었던 자리라서 붙였다는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진다.</ref>
| [[란트스타트레일]] [[호프플레인 선|호프플레인 선 <small>(로테르담–스헤베닝언 선)</small>]] ([[로테르담 지하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3a8c; color: white;">&nbsp;E&nbsp;</span>)<br />[[덴하흐 중앙역]] 방면 연결선
| [[란트스타트레일]] [[호프플레인선|호프플레인 선 <small>(로테르담–스헤베닝언선)</small>]] ([[로테르담 지하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3a8c; color: white;">&nbsp;E&nbsp;</span>)<br />[[덴하흐 중앙역]] 방면 연결선
|-
|-
| style="text-align: right;" | 61.2
| style="text-align: right;" | 61.2
| [[덴하흐 HS 역|덴하흐 HS]]
| [[덴하흐 HS역|덴하흐 HS]]
| Den Haag HS<ref>홀란츠스포르(Hollands Spoor)의 약자.</ref>
| Den Haag HS<ref>홀란츠스포르(Hollands Spoor)의 약자.</ref>
| 덴하흐 중앙역 방면 연결선<br />[[하우다–덴하흐 선]] 연결선
| 덴하흐 중앙역 방면 연결선<br />[[하우다–덴하흐선]] 연결선
|-
|-
| style="text-align: right;" | 63.5
| style="text-align: right;" | 63.5
| [[덴하흐 무어베이크 역|덴하흐 무어베이크]]
| [[덴하흐 무어베이크역|덴하흐 무어베이크]]
| Den Haag Moerwijk
| Den Haag Moerwijk
|  
|  
|-
|-
| style="text-align: right;" | 65.0
| style="text-align: right;" | 65.0
| [[레이스베이크 역|레이스베이크]]
| [[레이스베이크역|레이스베이크]]
| Rijswijk
| Rijswijk
|  
|  
176번째 줄: 165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69.5
| style="text-align: right;" | 69.5
| [[델프트 역|델프트]]
| [[델프트역|델프트]]
| Delft
| Delft
|  
|  
188번째 줄: 177번째 줄:
| [[스히담 중심역]]
| [[스히담 중심역]]
| Schiedam Centrum
| Schiedam Centrum
| [[후크 선|후크 선 <small>(스히담–후크반홀란트 선)</small>]]<ref>2017년 4월부로 운행 중단, 9월 전까지 전환 공사 후 [[로테르담 지하철]]로
| [[후크선|후크 선 <small>(스히담–후크반홀란트선)</small>]]<ref>2017년 4월부로 운행 중단, 9월 전까지 전환 공사 후 [[로테르담 지하철]]로
  전환 예정</ref>
  전환 예정</ref><br />[[로테르담 지하철]] [[칼란트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9534; color: white;">&nbsp;A&nbsp;</span>, <span style="background-color: #ffdd00; color: black;">&nbsp;B&nbsp;</span>, <span style="background-color: #e32119; color: white;">&nbsp;C&nbsp;</span>)
|-
|-
| style="text-align: right;" | 83.4
| style="text-align: right;" | 83.4
199번째 줄: 188번째 줄:
| [[로테르담 중앙역]]
| [[로테르담 중앙역]]
| Rotterdam Centraal
| Rotterdam Centraal
| [[네덜란드 남부고속선]]<br />[[브레다–로테르담 선|브레다–로테르담 선 (국철 I선)]]<br />[[위트레흐트–로테르담 선]]<br />[[로테르담 지하철]] 에라스뮈스 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3a8c; color: white;">&nbsp;E&nbsp;</span>)
| [[네덜란드 남부고속선]]<br />[[브레다–로테르담선|브레다–로테르담선 (국철 I선)]]<br />[[위트레흐트–로테르담선]]<br />[[로테르담 지하철]] [[에라스무스선]] (<span style="background-color: #003a8c; color: white;">&nbsp;E&nbsp;</span>)
|-
|-
|}
|}

2023년 9월 10일 (일) 18:17 기준 최신판

아우더선
암스테르담–로테르담선
Oude Lijn
Spoorlijn Amsterdam–Rotterdam
나라 네덜란드 네덜란드
종류 간선철도
구간 암스테르담 중앙 ~ 로테르담 중앙
영업거리 85.3 km
역 수 21개
소유자 NS, ProRail
운영자 NS
개통일 1839년 9월 20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4 (하기 이외 구간)
2 (암스테르담–라이던, 레이스베이크–스히담)
전기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노선으로,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을 하를럼을 경유해 잇는 노선이다. 통용되는 명칭은 아우더 선(Oude Lijn)으로, 네덜란드어로 오래된(Oude) 선이라는 뜻이다.

아우더 선의 경로는 암스테르담부터 레이던까지는 과거 운하 양안에 정비된 길을 따라 말을 배치, 보트와 연결하여 끄는 마력 보트(Trekschuit)용 운하 경로를 따라간다. 1839년부터 1847년까지에 걸쳐 홀란드 철도회사(Hollandsche IJzeren Spoorweg-Maatschappij; HIJSM)에 의해 전 구간이 개통된다. 다만 앞서 다룬 암스테르담부터 레이던까지의 경로는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을 직선으로 잇는 경로는 아니다. 이는 현재 스히폴 국제공항이 들어선 부분이 새로 간척된 간척지기 때문. 현재의 주요 간선 열차는 암스테르담–스히폴선베이스프–스히폴선 등을 거치며, 고속열차의 경우 네덜란드 남부고속선 등을 이용해 내려간다.

아무튼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 간을 잇는 경로로 오랫동안 이용되어 온, 한국으로 치면 거의 경부선급의 중요성을 가진 노선이다보니 통행량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특히 라이던부터 로테르담까지의 구간이 통행량이 매우 높은 편으로, 스히폴선이 합류하는 지점인 라이던 중앙역부터 덴하흐 남쪽의 델프트 분기점까지의 구간과, 후크 선이 합류하는 스히담 중심역부터 로테르담 중앙역까지의 구간은 복복선화 되어 있다. 다만 완전히 복선화가 끝난 것은 아니며, 델프트 역 지하화 및 레이스베이크 역 지하화 사업 등과 함께 잔여 구간에 대한 복복선화가 진행 중이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국제열차[편집 | 원본 편집]

네덜란드 남부고속선을 경유하지 않는 열차로 베네룩스 트레인이 이 노선을 따라 운행된다.

급행열차[편집 | 원본 편집]

네덜란드 철도에서 사용하는 인터시티(Intercity) 등급[1]을 다룬다.

완행열차[편집 | 원본 편집]

네덜란드 철도의 스프린터(Sprinter) 등급을 다룬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접속 노선
-1.4[2] 암스테르담 중앙역 Amsterdam Centraal 라인 철도선 (암스테르담–엘텐선)
암스테르담–스키폴 선 (서부우회지선)
덴헬더–암스테르담 선 (국철 K선)
동부 철도선 (암스테르담–쥣펀선)
암스테르담 지하철 동선 ( 51  ·  53  ·  54 )
0.0 암스테르담 빌럼스포르트[3] Amsterdam Willemspoort (거리 기준 기점)
3.0 암스테르담 슬로터데이크 (지상) Amsterdam Sloterdijk 암스테르담–스키폴 선 (서부우회지선)
덴헬더–암스테르담 선 (국철 K선)
암스테르담 지하철 순환선 ( 50 )
9.0 하프베흐-즈바넌뷔르흐 Halfweg-Zwanenburg
14.3 하를럼 스파른보우더 Haarlem Spaarnwoude
16.7 하를럼 Haarlem 하를럼–아위트헤이스트 선 (노르트홀란트선)
하를럼–잔보르트선
19.1 하를럼 화물역 Haarlem Goederen
21.1 헤임스테더-아에르던하우트 Heemstede-Aerdenhout
28.0 힐레홈 Hillegom
38.8 보르하우트 Voorhout
42.4 (분기점)[4] 스히폴 선 (베이스프–스히폴선)
45.6 레이던 중앙역 Leiden Centraal 스히폴 선 (베이스프–스히폴선)
부어던–레이던선
48.4 데 빙크 De Vink
51.0 보르스호턴 Voorschoten
57.0 덴하흐 마리아후버 Den Haag Mariahoeve
59.3 덴하흐 란 반 NOI Den Haag Laan van NOI[5] 란트스타트레일 호프플레인 선 (로테르담–스헤베닝언선) (로테르담 지하철  E )
덴하흐 중앙역 방면 연결선
61.2 덴하흐 HS Den Haag HS[6] 덴하흐 중앙역 방면 연결선
하우다–덴하흐선 연결선
63.5 덴하흐 무어베이크 Den Haag Moerwijk
65.0 레이스베이크 Rijswijk
66.9 델프트 분기점 Delft aansluting
69.5 델프트 Delft
71.3 델프트 남역 Delft Zuid
79.8 스히담 중심역 Schiedam Centrum 후크 선 (스히담–후크반홀란트선)[7]
로테르담 지하철 칼란트선 ( A ,  B ,  C )
83.4 (분기점) 네덜란드 남부고속선
83.9 로테르담 중앙역 Rotterdam Centraal 네덜란드 남부고속선
브레다–로테르담선 (국철 I선)
위트레흐트–로테르담선
로테르담 지하철 에라스무스선 ( E )

각주

  1. 독일 등에서 사용하는 것과 달리 도시간 열차보다는 광역급행열차의 성격을 더 많이 띈다.
  2. 네덜란드 철도는 음수 거리를 사용하지 않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음수 거리로 표기한다.
  3. 암스테르담에 있던 본 노선의 원래 터미널 역.
  4. 바르몬드 역(Station Warmond)이 있던 자리다.
  5. ProRail 기준. NS는 v NOI로 더 줄여쓴다. NOI는 공식적으로는 새동인도(Nieuw Oost-Indië)의 약자로 앞을 지나는 도로명에 붙어있기는 한데, 사실 니우오스트에인더(Nieuw Oosteinde)라는 여관이 있었던 자리라서 붙였다는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6. 홀란츠스포르(Hollands Spoor)의 약자.
  7. 2017년 4월부로 운행 중단, 9월 전까지 전환 공사 후 로테르담 지하철로 전환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