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우리피데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llang|en -> 영어 변환)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Εὐριπίδης Euripides (BC 480 ~ 406)
'''에우리피데스'''({{llang|grc|Εὐριπίδης}}, {{영어|Euripides}})는 기원전 5세기 경(B.C. 480~B.C. 406)에 활동하던 [[고대 그리스]]의 [[시인]]이다.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등의 [[그리스 비극]] 3대 작가 중 마지막 사람으로 아테네 작가.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를 '가장 비극적인 시인' 이라 일컬었다. 양면성을 띤 작가로 평가되며, 대중들에게는 그다지 인기를 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소포클레스]]보다 어렸지만 그보다 일찍 죽어서<ref>사실 에우리피데스가 일찍 죽었다기보다는, 90살까지 산 소포클레스가 오래 산 것이라고 하는 게 맞겠다.</ref>, 디오뉘시아 축제 때 소포클레스가 상복을 입고 등장했다는 일화가 있다. 매년 열리는 비극 경연 대회에서 총 5회 우승했다.  
== 소개 ==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와 같이 그리스 3대 비극 작가 중 한 명으로, [[아테네]]에서 활동했다.


* 총 92편의 작품 중 (현재까지 전해지는) 작품 목록<ref>아이스퀼로스와 소포클레스의 작품이 각각 7편씩만 전해지는 데 비하여,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은 19편이나 전해지고 있다.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에는 훌륭한 독백이 많아서, 고대 로마에서 웅변술 교재로 쓰였기 때문이라고 한다.</ref>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를 '가장 비극적인 시인' 이라 일컬었다. 양면성을 띤 작가로 평가되며, 대중들에게는 그다지 인기를 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소포클레스]]보다 어렸지만 그보다 일찍 죽어서,<ref>사실 에우리피데스가 일찍 죽었다기보다는, 90세까지 산 소포클레스가 오래 산 것이라고 하는 게 맞겠다.</ref> 디오뉘시아 축제 때 소포클레스가 상복을 입고 등장했다는 일화가 있다. 매년 열리는 비극 경연 대회에서 총 5회 우승했다.
**<알케스티스>
 
**<[[메데이아]]>
== 저작 ==
**<헤라클레스의 자녀들>
총 92편의 작품 중 현재까지 전해지는 작품 목록은 이하와 같다. 같은 그리스 비극 3대 작가인 아이스퀼로스와 소포클레스의 작품이 각각 7편씩만 전해지는 데 비하여,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은 19편이나 전해지고 있다. 이는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에는 훌륭한 독백이 많아서, [[고대 로마]]에서 웅변술 교재로 쓰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힙폴뤼토스<ref>'히폴리토스'라고 읽기도 한다.</ref>> - 어머니 페드라가 그녀의 아들 히폴리토스에게 고백을 하나 거절당하고 나서 히폴리토스에게 복수하는 <s>막장</s> 비극작으로 에우리피데스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알케스티스》
**<안드로마케>
*[[메데이아]]
**<헤카베>
*《헤라클레스의 자녀들》
**<탄원하는 여인들>
*《힙폴뤼토스》<ref>'히폴리토스'라고도 표기한다.</ref> - 어머니 페드라가 그녀의 아들 히폴리토스에게 고백을 하나 거절당하고 나서 히폴리토스에게 복수하는 <s>막장</s> 비극작으로 에우리피데스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엘렉트라>
*《안드로마케》
**<헤라클레스><ref> 미친 헤라클레스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ref>
*《헤카베》
**<트로이아의 여인들>
*《탄원하는 여인들》
**<이온>
*《엘렉트라》
**<타우리케의 이피게네이아>
*《헤라클레스》<ref> 미친 헤라클레스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ref>
**<헬레네>
*《트로이아의 여인들》
**<페니키아의 여인들>
*《이온》
**<오레스테스>
*《타우리케의 이피게네이아》
**<퀴클롭스><ref>현재 전해지는 유일한 사튀로스 극(비극 삼부작에 이어지는 희극적 분위기의 극)이다.</ref>
*《헬레네》
**<레소스>
*《페니키아의 여인들》
**<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
*《오레스테스》
**<박코스의 여신도들>
*《퀴클롭스》<ref>현재 전해지는 유일한 사튀로스 극(비극 삼부작에 이어지는 희극적 분위기의 극)이다.</ref>
*《레소스》
*《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
*《박코스의 여신도들》


{{각주}}
{{각주}}
[[분류:작가]]
[[분류:작가]]
[[분류:그리스의 인물]]
[[분류:그리스인]]

2022년 3월 6일 (일) 01:13 기준 최신판

에우리피데스(고대 그리스어: Εὐριπίδης, 영어: Euripides)는 기원전 5세기 경(B.C. 480~B.C. 406)에 활동하던 고대 그리스시인이다.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와 같이 그리스 3대 비극 작가 중 한 명으로, 아테네에서 활동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를 '가장 비극적인 시인' 이라 일컬었다. 양면성을 띤 작가로 평가되며, 대중들에게는 그다지 인기를 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소포클레스보다 어렸지만 그보다 일찍 죽어서,[1] 디오뉘시아 축제 때 소포클레스가 상복을 입고 등장했다는 일화가 있다. 매년 열리는 비극 경연 대회에서 총 5회 우승했다.

저작[편집 | 원본 편집]

총 92편의 작품 중 현재까지 전해지는 작품 목록은 이하와 같다. 같은 그리스 비극 3대 작가인 아이스퀼로스와 소포클레스의 작품이 각각 7편씩만 전해지는 데 비하여,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은 19편이나 전해지고 있다. 이는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에는 훌륭한 독백이 많아서, 고대 로마에서 웅변술 교재로 쓰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 《알케스티스》
  • 메데이아
  • 《헤라클레스의 자녀들》
  • 《힙폴뤼토스》[2] - 어머니 페드라가 그녀의 아들 히폴리토스에게 고백을 하나 거절당하고 나서 히폴리토스에게 복수하는 막장 비극작으로 에우리피데스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 《안드로마케》
  • 《헤카베》
  • 《탄원하는 여인들》
  • 《엘렉트라》
  • 《헤라클레스》[3]
  • 《트로이아의 여인들》
  • 《이온》
  • 《타우리케의 이피게네이아》
  • 《헬레네》
  • 《페니키아의 여인들》
  • 《오레스테스》
  • 《퀴클롭스》[4]
  • 《레소스》
  • 《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
  • 《박코스의 여신도들》

각주

  1. 사실 에우리피데스가 일찍 죽었다기보다는, 90세까지 산 소포클레스가 오래 산 것이라고 하는 게 맞겠다.
  2. '히폴리토스'라고도 표기한다.
  3. 미친 헤라클레스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4. 현재 전해지는 유일한 사튀로스 극(비극 삼부작에 이어지는 희극적 분위기의 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