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함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학술}}
== 정의 ==
== 정의 ==
[[함수 (수학)|함수]] <math>f:X\to Y</math>가 주어졌을 때, <math>X</math>의 임의의 원소 <math>x_1,x_2</math>에 대해 <math>f(x_1)=f(x_2)</math>이면 <math>f</math>를 '''상수함수(constant function)'''라고 한다.
[[함수]] <math>f:X\to Y</math>가 주어졌을 때, <math>X</math>의 임의의 원소 <math>x_1,x_2</math>에 대해 <math>f(x_1)=f(x_2)</math>이면 <math>f</math>를 '''상수함수(constant function)'''라고 한다.


== 예시 ==
== 예시 ==
15번째 줄: 13번째 줄:
* 상수함수 <math>f:\mathbb{R}\to\mathbb{R}</math>은 [[균등연속]]이다.
* 상수함수 <math>f:\mathbb{R}\to\mathbb{R}</math>은 [[균등연속]]이다.
* 상수함수 <math>f:[a,b]\to\mathbb{R}</math>은 미분가능하고 도함수는 <math>f'(x)=0</math>이다.
* 상수함수 <math>f:[a,b]\to\mathbb{R}</math>은 미분가능하고 도함수는 <math>f'(x)=0</math>이다.
{{글 숨김|제목=Proof|1=도함수의 정의에 의해,
{{글 숨김 시작|제목=Proof}}
도함수의 정의에 의해,
: <math>\begin{align}f'(x)&=\lim_{h\to 0}\frac{f(x+h)-f(x)}{h}\\
: <math>\begin{align}f'(x)&=\lim_{h\to 0}\frac{f(x+h)-f(x)}{h}\\
&= \lim_{h\to 0}\frac{f(x)-f(x)}{h}\\
&= \lim_{h\to 0}\frac{f(x)-f(x)}{h}\\
21번째 줄: 20번째 줄:
&=0\end{align}</math>
&=0\end{align}</math>
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글 숨김 끝}}
* <math>[a,b]</math>에서 연속이고 <math>(a,b)</math>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math>f:[a,b]\to\mathbb{R}</math>의 도함수가 <math>f'(x)=0</math>이면 <math>f</math>는 상수함수이다.
* <math>[a,b]</math>에서 연속이고 <math>(a,b)</math>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math>f:[a,b]\to\mathbb{R}</math>의 도함수가 <math>f'(x)=0</math>이면 <math>f</math>는 상수함수이다.
{{글 숨김|제목=Proof|1=[[평균값 정리]]에 의해, 임의의 <math>x_1,x_2\in [a,b]</math>에 대해
{{글 숨김 시작|제목=Proof}}
[[평균값 정리]]에 의해, 임의의 <math>x_1,x_2\in [a,b]</math>에 대해
: <math>\frac{f(x_2)-f(x_1)}{x_2 - x_1}=f'(c)=0</math>
: <math>\frac{f(x_2)-f(x_1)}{x_2 - x_1}=f'(c)=0</math>
인 <math>c\in (a,b)</math>가 존재한다. 따라서 <math>f(x_1)=f(x_2)</math>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인 <math>c\in (a,b)</math>가 존재한다. 따라서 <math>f(x_1)=f(x_2)</math>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글 숨김 끝}}
=== 복소공간에서 ===
=== 복소공간에서 ===
* 복소함수 <math>f:D\to \mathbb{C}</math>가 열린 연결집합 <math>D</math>에서 해석적이고 임의의 <math>z\in D</math>에 대해 <math>f'(z)=0</math>이면 <math>f(z)</math>는 상수함수이다.
* 복소함수 <math>f:D\to \mathbb{C}</math>가 열린 연결집합 <math>D</math>에서 해석적이고 임의의 <math>z\in D</math>에 대해 <math>f'(z)=0</math>이면 <math>f(z)</math>는 상수함수이다.
37번째 줄: 37번째 줄:
** <math>|f(z)|</math>가 해석적이다.
** <math>|f(z)|</math>가 해석적이다.
** <math>w=f(z)</math>의 치역은 직선의 일부이다.
** <math>w=f(z)</math>의 치역은 직선의 일부이다.
{{글 숨김|제목=Proof|1=
{{글 숨김 시작|제목=Proof}}
* <math>\operatorname{Re}f(z)</math>가 상수함수라면, <math>f(z)=u(x,y)+iv(x,y)</math>로 표현할 때 <math>\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u}{\partial y}=0</math>이다. 그러면 [[코시-리만 방정식]]에 의해 <math>\frac{\partial v}{\partial x}=\frac{\partial v}{\partial y}=0</math>을 얻으므로 <math>f'(z)=0</math>이고, 따라서 <math>f(z)</math>는 <math>D</math>에서 상수함수이다.
* <math>\operatorname{Re}f(z)</math>가 상수함수라면, <math>f(z)=u(x,y)+iv(x,y)</math>로 표현할 때 <math>\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u}{\partial y}=0</math>이다. 그러면 [[코시-리만 방정식]]에 의해 <math>\frac{\partial v}{\partial x}=\frac{\partial v}{\partial y}=0</math>을 얻으므로 <math>f'(z)=0</math>이고, 따라서 <math>f(z)</math>는 <math>D</math>에서 상수함수이다.
* <math>|f(z)|</math>가 상수함수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math>|f(z)|^2=u^2+v^2</math>도 상수함수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br />&nbsp;&nbsp;<math>\begin{align}u\frac{\partial u}{\partial x}+v\frac{\partial v}{\partial x}&=0\\u\frac{\partial u}{\partial y}+v\frac{\partial v}{\partial y}&=0\end{align}</math><br />이때, 코시-리만 방정식에 의해<br />&nbsp;&nbsp;<math>\begin{align}u\frac{\partial u}{\partial x}-v\frac{\partial u}{\partial y}&=0\\u\frac{\partial u}{\partial y}+v\frac{\partial u}{\partial x}&=0\end{align}</math><br />이다. 이때 <math>u^2+v^2=0</math>이면 <math>u=v=0</math>이고, <math>u^2+v^2\ne 0</math>이면 아까 유도한 <math>\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u}{\partial y}</math>에 대한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는 <math>\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u}{\partial y}=0</math>으로 유일하다. 그러면 <math>\operatorname{Re} f(z)</math>가 상수함수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math>|f(z)|</math>가 상수함수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math>|f(z)|^2=u^2+v^2</math>도 상수함수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br />&nbsp;&nbsp;<math>\begin{align}u\frac{\partial u}{\partial x}+v\frac{\partial v}{\partial x}&=0\\u\frac{\partial u}{\partial y}+v\frac{\partial v}{\partial y}&=0\end{align}</math><br />이때, 코시-리만 방정식에 의해<br />&nbsp;&nbsp;<math>\begin{align}u\frac{\partial u}{\partial x}-v\frac{\partial u}{\partial y}&=0\\u\frac{\partial u}{\partial y}+v\frac{\partial u}{\partial x}&=0\end{align}</math><br />이다. 이때 <math>u^2+v^2=0</math>이면 <math>u=v=0</math>이고, <math>u^2+v^2\ne 0</math>이면 아까 유도한 <math>\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u}{\partial y}</math>에 대한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는 <math>\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u}{\partial y}=0</math>으로 유일하다. 그러면 <math>\operatorname{Re} f(z)</math>가 상수함수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 <math>|f(z)|</math>가 해석적이면, <math>|f(z)|</math>는 <math>D</math>에서 실수이므로 <math>|f(z)|</math>는 상수함수이다. 따라서 <math>f(z)</math>도 상수함수이다.
* <math>|f(z)|</math>가 해석적이면, <math>|f(z)|</math>는 <math>D</math>에서 실수이므로 <math>|f(z)|</math>는 상수함수이다. 따라서 <math>f(z)</math>도 상수함수이다.
* <math>w=f(z)</math>의 치역이 직선의 일부라면 임의의 <math>z\in D</math>에 대해 <math>au(z)+bv(z)=c</math>인 상수 <math>a,b,c\in \mathbb{C}</math>가 존재하며, <math>a,b</math> 중 하나는 영이 아니어야 한다. 그러면<br />&nbsp;&nbsp;<math>\begin{align}\operatorname{Im}(f(z)(b+ia))&=\operatorname{Im}((u+iv)(b+ia))\\&=\operatorname{Im}(-au+bv+i(au+bv))\\&=au+bv=c\end{align}</math><br />이므로 <math>\operatorname{Im}f(z)</math>는 상수함수이다. 따라서 <math>f(z)</math>는 상수함수이다.
* <math>w=f(z)</math>의 치역이 직선의 일부라면 임의의 <math>z\in D</math>에 대해 <math>au(z)+bv(z)=c</math>인 상수 <math>a,b,c\in \mathbb{C}</math>가 존재하며, <math>a,b</math> 중 하나는 영이 아니어야 한다. 그러면<br />&nbsp;&nbsp;<math>\begin{align}\operatorname{Im}(f(z)(b+ia))&=\operatorname{Im}((u+iv)(b+ia))\\&=\operatorname{Im}(-au+bv+i(au+bv))\\&=au+bv=c\end{align}</math><br />이므로 <math>\operatorname{Im}f(z)</math>는 상수함수이다. 따라서 <math>f(z)</math>는 상수함수이다.
}}
{{글 숨김 끝}}
* 유계인 전해석함수 <math>f:\mathbb{C}\to\mathbb{C}</math>는 상수함수이다. ([[리우빌의 정리 (복소해석학)|리우빌의 정리]])
* 유계인 전해석함수 <math>f:\mathbb{C}\to\mathbb{C}</math>는 상수함수이다. ([[리우빌의 정리 (복소해석학)|리우빌의 정리]])
* 복소함수 <math>f(z)</math>가 열린 연결집합 <math>D</math>에서 해석적이고 <math>|f(z)|</math>가 <math>z=z_0\in D</math>에서 최댓값을 가지면, <math>f(z)</math>는 상수함수이다. ([[최대절댓값정리]])
* 복소함수 <math>f(z)</math>가 열린 연결집합 <math>D</math>에서 해석적이고 <math>|f(z)|</math>가 <math>z=z_0\in D</math>에서 최댓값을 가지면, <math>f(z)</math>는 상수함수이다. ([[최대절댓값정리]])

2022년 8월 13일 (토) 12:06 기준 최신판

정의[편집 | 원본 편집]

함수 [math]\displaystyle{ f:X\to Y }[/math]가 주어졌을 때, [math]\displaystyle{ X }[/math]의 임의의 원소 [math]\displaystyle{ x_1,x_2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x_1)=f(x_2) }[/math]이면 [math]\displaystyle{ f }[/math]상수함수(constant function)라고 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math]\displaystyle{ X=\{1,2,3\} }[/math], [math]\displaystyle{ Y=\{a,b,c\}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X }[/math]의 원소를 각각 [math]\displaystyle{ 1 \mapsto a }[/math], [math]\displaystyle{ 2\mapsto a }[/math], [math]\displaystyle{ 3\mapsto a }[/math]로 대응시키는 함수 [math]\displaystyle{ f:X\to Y }[/math]를 정의하면, [math]\displaystyle{ f }[/math]는 상수함수이다.
  • [math]\displaystyle{ X=\{-1,1\}\subset\mathbb{R} }[/math], [math]\displaystyle{ Y=\mathbb{R} }[/math]일 때, 함수 [math]\displaystyle{ f:X\to Y }[/math][math]\displaystyle{ f(x)=|x| }[/math]로 정의하면, [math]\displaystyle{ f }[/math]는 상수함수이다.
  • 함수 [math]\displaystyle{ f:\mathbb{R}\to\mathbb{R} }[/math][math]\displaystyle{ f(x)=\cos^2 x + \sin^2 x }[/math]로 정의하면 [math]\displaystyle{ f }[/math]는 상수함수이다. (삼각함수)
  • 함수 [math]\displaystyle{ f:\mathbb{R}\to\mathbb{R} }[/math][math]\displaystyle{ f(x)=\int_0^x 0 dx }[/math]로 정의하면 [math]\displaystyle{ f }[/math]는 상수함수이다.
  • 소수 [math]\displaystyle{ p }[/math]에 대해 함수 [math]\displaystyle{ f:\mathbb{Z} \to \mathbb{Z}_p }[/math][math]\displaystyle{ f(x)=x^p-x }[/math]로 정의하면 [math]\displaystyle{ f }[/math]는 상수함수이다. (페르마의 소정리)

성질[편집 | 원본 편집]

실수계에서[편집 | 원본 편집]

  • 상수함수 [math]\displaystyle{ f:\mathbb{R}\to\mathbb{R} }[/math]균등연속이다.
  • 상수함수 [math]\displaystyle{ f:[a,b]\to\mathbb{R} }[/math]은 미분가능하고 도함수는 [math]\displaystyle{ f'(x)=0 }[/math]이다.
Proof

도함수의 정의에 의해,

[math]\displaystyle{ \begin{align}f'(x)&=\lim_{h\to 0}\frac{f(x+h)-f(x)}{h}\\ &= \lim_{h\to 0}\frac{f(x)-f(x)}{h}\\ &=\lim_{h\to 0}\frac{0}{h}\\ &=0\end{align} }[/math]

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math]\displaystyle{ [a,b] }[/math]에서 연속이고 [math]\displaystyle{ (a,b) }[/math]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math]\displaystyle{ f:[a,b]\to\mathbb{R} }[/math]의 도함수가 [math]\displaystyle{ f'(x)=0 }[/math]이면 [math]\displaystyle{ f }[/math]는 상수함수이다.
Proof

평균값 정리에 의해, 임의의 [math]\displaystyle{ x_1,x_2\in [a,b]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rac{f(x_2)-f(x_1)}{x_2 - x_1}=f'(c)=0 }[/math]

[math]\displaystyle{ c\in (a,b) }[/math]가 존재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f(x_1)=f(x_2) }[/math]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복소공간에서[편집 | 원본 편집]

  • 복소함수 [math]\displaystyle{ f:D\to \mathbb{C} }[/math]가 열린 연결집합 [math]\displaystyle{ D }[/math]에서 해석적이고 임의의 [math]\displaystyle{ z\in D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z)=0 }[/math]이면 [math]\displaystyle{ f(z) }[/math]는 상수함수이다.
  • 열린 연결집합 [math]\displaystyle{ D }[/math]에서 해석적인 함수 [math]\displaystyle{ f(z) }[/math]는 다음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할 때 상수함수이다. 많기도 하지...
    •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Re} f(z) }[/math]가 상수함수이다.
    •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Im} f(z) }[/math]가 상수함수이다.
    • [math]\displaystyle{ |f(z)| }[/math]가 상수함수이다.
    • [math]\displaystyle{ f(z) }[/math][math]\displaystyle{ D }[/math]에서 실수이다.
    • [math]\displaystyle{ \overline{f(z)} }[/math]가 해석적이다.
    • [math]\displaystyle{ |f(z)| }[/math]가 해석적이다.
    • [math]\displaystyle{ w=f(z) }[/math]의 치역은 직선의 일부이다.
Proof
  •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Re}f(z) }[/math]가 상수함수라면, [math]\displaystyle{ f(z)=u(x,y)+iv(x,y) }[/math]로 표현할 때 [math]\displaystyle{ \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u}{\partial y}=0 }[/math]이다. 그러면 코시-리만 방정식에 의해 [math]\displaystyle{ \frac{\partial v}{\partial x}=\frac{\partial v}{\partial y}=0 }[/math]을 얻으므로 [math]\displaystyle{ f'(z)=0 }[/math]이고, 따라서 [math]\displaystyle{ f(z) }[/math][math]\displaystyle{ D }[/math]에서 상수함수이다.
  • [math]\displaystyle{ |f(z)| }[/math]가 상수함수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math]\displaystyle{ |f(z)|^2=u^2+v^2 }[/math]도 상수함수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u\frac{\partial u}{\partial x}+v\frac{\partial v}{\partial x}&=0\\u\frac{\partial u}{\partial y}+v\frac{\partial v}{\partial y}&=0\end{align} }[/math]
    이때, 코시-리만 방정식에 의해
      [math]\displaystyle{ \begin{align}u\frac{\partial u}{\partial x}-v\frac{\partial u}{\partial y}&=0\\u\frac{\partial u}{\partial y}+v\frac{\partial u}{\partial x}&=0\end{align} }[/math]
    이다. 이때 [math]\displaystyle{ u^2+v^2=0 }[/math]이면 [math]\displaystyle{ u=v=0 }[/math]이고, [math]\displaystyle{ u^2+v^2\ne 0 }[/math]이면 아까 유도한 [math]\displaystyle{ \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u}{\partial y} }[/math]에 대한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는 [math]\displaystyle{ \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u}{\partial y}=0 }[/math]으로 유일하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Re} f(z) }[/math]가 상수함수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math]\displaystyle{ f(z) }[/math][math]\displaystyle{ D }[/math]에서 실수라면, [math]\displaystyle{ v=0 }[/math]이고 따라서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Im}f(z) }[/math]가 상수함수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math]\displaystyle{ \overline{f(z)} }[/math]가 해석적이면 코시-리만 방정식에 의해
      [math]\displaystyle{ \frac{\partial u}{\partial x}=\frac{\partial (-v)}{\partial y}=-\frac{\partial v}{\partial y}=\frac{\partial v}{\partial y} }[/math]
    이고
      [math]\displaystyle{ \frac{\partial u}{\partial y}=-\frac{\partial (-v)}{\partial x}=\frac{\partial v}{\partial x}=-\frac{\partial v}{\partial x} }[/math]
    이므로 [math]\displaystyle{ f'(z)=0 }[/math]이고, 따라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math]\displaystyle{ |f(z)| }[/math]가 해석적이면, [math]\displaystyle{ |f(z)| }[/math][math]\displaystyle{ D }[/math]에서 실수이므로 [math]\displaystyle{ |f(z)| }[/math]는 상수함수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f(z) }[/math]도 상수함수이다.
  • [math]\displaystyle{ w=f(z) }[/math]의 치역이 직선의 일부라면 임의의 [math]\displaystyle{ z\in D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u(z)+bv(z)=c }[/math]인 상수 [math]\displaystyle{ a,b,c\in \mathbb{C} }[/math]가 존재하며, [math]\displaystyle{ a,b }[/math] 중 하나는 영이 아니어야 한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operatorname{Im}(f(z)(b+ia))&=\operatorname{Im}((u+iv)(b+ia))\\&=\operatorname{Im}(-au+bv+i(au+bv))\\&=au+bv=c\end{align} }[/math]
    이므로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Im}f(z) }[/math]는 상수함수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f(z) }[/math]는 상수함수이다.
  • 유계인 전해석함수 [math]\displaystyle{ f:\mathbb{C}\to\mathbb{C} }[/math]는 상수함수이다. (리우빌의 정리)
  • 복소함수 [math]\displaystyle{ f(z) }[/math]가 열린 연결집합 [math]\displaystyle{ D }[/math]에서 해석적이고 [math]\displaystyle{ |f(z)| }[/math][math]\displaystyle{ z=z_0\in D }[/math]에서 최댓값을 가지면, [math]\displaystyle{ f(z) }[/math]는 상수함수이다. (최대절댓값정리)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