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운데이션 시리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Eigjrhe0(토론)의 편집을 Unter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아이작 아시모프]]가 쓴 장편 [[SF]] 시리즈.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파운데이션 시리즈'''(Foundation series)는 [[아이작 아시모프]]가 쓴 장편 [[SF 소설]] 시리즈다.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 개요 ==
== 줄거리 ==
[[인류]]는 온 은하계를 정복하여 광대한 [[은하제국]]을 이룩했다. 그러나 은하제국은 내부적 모순으로 돌이킬 수 없는 멸망의 길로 빠져들었고, 이대로라면 멸망 후 3만년에 달하는 [[흑역사|암흑기]]를 거쳐야 제2의 은하제국이 건설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해리 셀던]]은 인류 문명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제2 은하제국이 건설될 때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은하계 변두리에 위치한 행성 [[터미너스]]에 과학자들의 공동체인 [[파운데이션]]건설하여 인류 문명 보존 및 재건의 임무를 맡긴다. 그가 창시한 학문 [[심리역사학]]에 기반해 세워진 그의 계획은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인류]]는 온 은하계를 정복하여 광대한 은하제국을 이룩했다. 그러나 은하제국은 내부적 모순으로 돌이킬 수 없는 멸망의 길로 빠져들었고, 이대로라면 멸망 후 3만년에 달하는 [[흑역사|암흑기]]를 거쳐야 제2의 은하제국이 건설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해리 셀던]]은 인류 문명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제2 은하제국이 건설될 때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은하계 변두리에 위치한 행성 [[터미너스]]에 과학자들의 공동체인 [[파운데이션]]건설하여 인류 문명 보존 및 재건의 임무를 맡긴다. 그가 창시한 학문 [[심리역사학]]에 기반해 세워진 그의 계획은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 작품 목록 ==
* 《[[파운데이션]]》(Foundation)
* 《[[파운데이션과 제국]]》(Foundation and Empire)
* 《[[제2파운데이션]]》(Second Foundation)
* 《[[파운데이션의 끝]]》(Foundation’s Edge)
* 《[[파운데이션과 지구]]》(Foundation and Earth)
* 《[[파운데이션의 서막]]》(Prelude to Foundation)
* 《[[파운데이션을 향하여]]》(Forward the Foundation)


== 작품 목록 ==
* <[[파운데이션]]>(Foundation)
* <[[파운데이션과 제국]]>(Foundation and Empire)
* <[[제2파운데이션]]>(Second Foundation)
* <[[파운데이션의 끝]]>(Foundation’s Edge)
* <[[파운데이션과 지구]]>(Foundation and Earth)
* <[[파운데이션의 서막]]>(Prelude to Foundation)
* <[[파운데이션을 향하여]]>(Forward the Foundation)
현재 황금가지 출판사에서 전 권을 완역 출판한 상황이다.
현재 황금가지 출판사에서 전 권을 완역 출판한 상황이다.
첫 세 작품(<파운데이션>, <파운데이션과 제국>, <제2파운데이션>)을 묶어서 ‘클래식 3부작이라고 표현한다. <s>이 시리즈의 재밌는 부분은 여기 다 있다.</s><ref>실제로 이후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재미가 떨어진다는 평이다.</ref>
<파운데이션의 끝>에서 바로 이어지는 내용의 <파운데이션과 지구>는 ‘잊혀진 행성’이자 ‘인류의 고향’인 [[지구]]를 찾아 우주를 탐험하는 내용이고, <파운데이션의 서막>과 <파운데이션을 향하여>는 [[해리 셀던]]이 [[심리역사학]]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다룬 작품으로 일종의 [[프리퀄]]이라고 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을 향하여>의 마지막 부분은 시리즈 첫 작품인 <파운데이션>의 도입부와 시간대가 겹친다.


== 주요 등장인물 ==
첫 세 작품(《파운데이션》, 《파운데이션과 제국》, 《제2파운데이션》)을 묶어서 ‘클래식 3부작이라고 표현한다. <s>이 시리즈의 재밌는 부분은 여기 다 있다.</s><ref>이후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재미가 떨어진다는 평이다.</ref>
* 해리 셀던
 
《파운데이션의 끝》에서 바로 이어지는 내용의 《파운데이션과 지구》는 ‘잊혀진 행성’이자 ‘인류의 고향’인 [[지구]]를 찾아 우주를 탐험하는 내용이고, 《파운데이션의 서막》과 《파운데이션을 향하여》는 [[해리 셀던]]이 [[심리역사학]]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다룬 작품으로 일종의 [[프리퀄]]이라고 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을 향하여》의 마지막 부분은 시리즈 첫 작품인 《파운데이션》의 도입부와 시간대가 겹친다.
 
== 등장인물 ==
* 해리 셀던 (Hari Seldon)
* 샐버 하딘
* 샐버 하딘
* 호버 말로
* 호버 말로
31번째 줄: 33번째 줄:
* 에토 데머즐
* 에토 데머즐


== 주요 세력 ==
== 용어 ==
* 파운데이션
* 파운데이션
* 제2파운데이션
* 제2파운데이션
38번째 줄: 40번째 줄:
* 가이아
* 가이아


== 주요 장소 ==
=== 지명 ===
* 터미너스
* 터미너스
* 트랜터
* 트랜터
* 지구
* 지구
== 파생 작품 ==
=== 드라마 ===
;[[파운데이션 (드라마)|파운데이션]]
:[[Apple TV+]] 오리지널 드라마로 2021년부터 방영을 시작했다.
=== 만화 ===
;[[은하제국흥망사]]
:2013년에 [[일본]]에서 만화화된 작품. [[오카베 히로유키]] 역의 [[하야카와 문고]]판이 기반이다.
== 관련 사이트 ==
* {{언어링크|ja}} [https://sideranch.co.jp/gingateikoku/ 은하제국흥망사 특설 사이트 | 주식회사 사이드랜치]


{{각주}}
{{각주}}
 
[[분류:파운데이션 시리즈| ]]
[[분류:SF 소설]]
[[분류:1951년 소설]]

2023년 9월 12일 (화) 14:38 기준 최신판

파운데이션 시리즈(Foundation series)는 아이작 아시모프가 쓴 장편 SF 소설 시리즈다.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줄거리[편집 | 원본 편집]

인류는 온 은하계를 정복하여 광대한 은하제국을 이룩했다. 그러나 은하제국은 내부적 모순으로 돌이킬 수 없는 멸망의 길로 빠져들었고, 이대로라면 멸망 후 3만년에 달하는 암흑기를 거쳐야 제2의 은하제국이 건설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해리 셀던은 인류 문명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제2 은하제국이 건설될 때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은하계 변두리에 위치한 행성 터미너스에 과학자들의 공동체인 파운데이션을 건설하여 인류 문명 보존 및 재건의 임무를 맡긴다. 그가 창시한 학문 심리역사학에 기반해 세워진 그의 계획은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작품 목록[편집 | 원본 편집]

현재 황금가지 출판사에서 전 권을 완역 출판한 상황이다.

첫 세 작품(《파운데이션》, 《파운데이션과 제국》, 《제2파운데이션》)을 묶어서 ‘클래식 3부작이라고 표현한다. 이 시리즈의 재밌는 부분은 여기 다 있다.[1]

《파운데이션의 끝》에서 바로 이어지는 내용의 《파운데이션과 지구》는 ‘잊혀진 행성’이자 ‘인류의 고향’인 지구를 찾아 우주를 탐험하는 내용이고, 《파운데이션의 서막》과 《파운데이션을 향하여》는 해리 셀던심리역사학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다룬 작품으로 일종의 프리퀄이라고 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을 향하여》의 마지막 부분은 시리즈 첫 작품인 《파운데이션》의 도입부와 시간대가 겹친다.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 해리 셀던 (Hari Seldon)
  • 샐버 하딘
  • 호버 말로
  • 라산 데버즈
  • 벨 라이오즈
  • 에블링 미스
  • 베이타 다렐
  • 제1발언자
  • 아르카디아
  • 골란 트레비즈
  • 에토 데머즐

용어[편집 | 원본 편집]

  • 파운데이션
  • 제2파운데이션
  • 은하제국
  • 가이아

지명[편집 | 원본 편집]

  • 터미너스
  • 트랜터
  • 지구

파생 작품[편집 | 원본 편집]

드라마[편집 | 원본 편집]

파운데이션
Apple TV+ 오리지널 드라마로 2021년부터 방영을 시작했다.

만화[편집 | 원본 편집]

은하제국흥망사
2013년에 일본에서 만화화된 작품. 오카베 히로유키 역의 하야카와 문고판이 기반이다.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이후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재미가 떨어진다는 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