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도서관]]
[[파일:국립중앙도서관 본관.jpg|섬네일|국립중앙도서관 본관]]
[[분류:공공기관]]
 
'''국립중앙도서관'''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서초구]] [[반포로]] 길목의, [[고속터미널역]]과 [[서초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도서관]]이다.
 
== 특징 ==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도서의 대출은 불가능하며, 납본법에 의해서 '''국내에 나와있는 모든 책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게 원칙이다. 다만 실제로는 100% 소장까지는 못 된다.


[[파일:국립중앙도서관 본관.jpg|섬네일|400픽셀|국립중앙도서관 본관]]
관내에 논문 자료실도 있고 [[통일부]]에서 운영하는 북한자료 열람실도 있는 등, 이 시설은 일반인이 아니라 [[학자]]를 위한 시설이란 느낌이 매우 강하다.


[[서초구]] [[반포로]] 길목의, [[고속터미널역]]과 [[서초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도서관.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도서의 대출은 불가능하며, 납본법에 의해서 '''국내에 나와있는 모든 책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는 게 원칙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100% 소장까지는 못 된다고 한다.
2018년 6월 기준으로 약 1,145만 권을 소장 중이다. <ref>[http://www.nl.go.kr/nl/intro/status/data.jsp?type=show&recKey=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 소개-자료현황, 2018년 6월 4일 확인.</ref>


관내에 논문 자료실도 있고 통일부에서 운영하는 북한자료 열람실도 있는 등, 이 시설은 일반인이 아니라 [[학자]]를 위한 시설이란 느낌이 매우 강하다.
2016년 5월 2일부터 디지털 도서관에서(정보광장 273번-292번 컴퓨터를 통해서) SBS 고전 프로그램 상당수를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사실 그 이전에도 2000년대 이전 프로그램을 대출해서 감상할 수 있기는 했지만 2000년대 이전 TV 프로그램은 대다수가 VHS로 보관되어있는데다가 VHS 기기를 컴퓨터 5대에만 설치해서 조금만 늦어도 시청을 할 수 없고 프로그램 대다수도 교양프로그램 위주고 골고루 볼 수 있던 건 아니라는 문제점이 컸는데 이런 문제점을 상당수 개선해준 셈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도 20개 좌석에서만 다시 볼 수 있기 때문에 입소문을 타게 되면 역시 자리 부족이 문제가 될 듯하다.


== 국립중앙도서관 사진 ==
== 갤러리 ==
=== 국립중앙도서관 사진 ===
<gallery widths=120 perrow=5 caption="국립중앙도서관과 부대 시설">
<gallery widths=120 perrow=5 caption="국립중앙도서관과 부대 시설">
파일:국립중앙도서관 개찰구.jpg|국립중앙도서관 입구. 이용증을 인식시켜야 들어갈 수 있다.
파일:국립중앙도서관 개찰구.jpg|국립중앙도서관 입구. 이용증을 인식시켜야 들어갈 수 있다.
파일: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jpg|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파일: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jpg|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파일:국립중앙도서관 사서연수관.jpg|국립중앙도서관 사서연수관. 안엔 [[GS25]] 국립도서관점과 북레스토랑이 위치하고 있다.
파일:국립중앙도서관 사서연수관.jpg|국립중앙도서관 사서연수관. 안엔 [[GS25]] 국립도서관점과 북레스토랑이 위치하고 있다.
파일: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관.jpg|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관
파일: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관.jpg|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관
24번째 줄: 30번째 줄:
</gallery>
</gallery>


== 국립디지털도서관 사진 ==
=== 국립디지털도서관 사진 ===
<gallery widths=120px perrow=5>
<gallery widths=120px perrow=5>
파일:국립디지털도서관 개찰구.jpg|개찰구
파일:국립디지털도서관 개찰구.jpg|개찰구
38번째 줄: 44번째 줄:
파일:국립디지털도서관 지식의 길.jpg|디지털도서관과 본관의 연결통로. 촬영한 쪽의 내벽은 거울로 마감했다.
파일:국립디지털도서관 지식의 길.jpg|디지털도서관과 본관의 연결통로. 촬영한 쪽의 내벽은 거울로 마감했다.
</gallery>
</gallery>
== 바깥 고리 ==
* [https://nl.go.kr/ 홈페이지]
* {{트위터|library1004}}
* [https://ko-kr.facebook.com/national.library.of.korea 페이스북]
{{주석}}
[[분류:도서관]]
[[분류:공공기관]]
[[분류:서울특별시의 건축물]]
[[분류:문화체육관광부]]
[[분류:1945년 설립]]
{{리브레 맵스 마커|37.497580158677216|127.00290904746464|11|국립중앙도서관}}

2021년 6월 15일 (화) 17:04 기준 최신판

국립중앙도서관 본관

국립중앙도서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서초구 반포로 길목의, 고속터미널역서초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도서관이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도서의 대출은 불가능하며, 납본법에 의해서 국내에 나와있는 모든 책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게 원칙이다. 다만 실제로는 100% 소장까지는 못 된다.

관내에 논문 자료실도 있고 통일부에서 운영하는 북한자료 열람실도 있는 등, 이 시설은 일반인이 아니라 학자를 위한 시설이란 느낌이 매우 강하다.

2018년 6월 기준으로 약 1,145만 권을 소장 중이다. [1]

2016년 5월 2일부터 디지털 도서관에서(정보광장 273번-292번 컴퓨터를 통해서) SBS 고전 프로그램 상당수를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사실 그 이전에도 2000년대 이전 프로그램을 대출해서 감상할 수 있기는 했지만 2000년대 이전 TV 프로그램은 대다수가 VHS로 보관되어있는데다가 VHS 기기를 컴퓨터 5대에만 설치해서 조금만 늦어도 시청을 할 수 없고 프로그램 대다수도 교양프로그램 위주고 골고루 볼 수 있던 건 아니라는 문제점이 컸는데 이런 문제점을 상당수 개선해준 셈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도 20개 좌석에서만 다시 볼 수 있기 때문에 입소문을 타게 되면 역시 자리 부족이 문제가 될 듯하다.

갤러리[편집 | 원본 편집]

국립중앙도서관 사진[편집 | 원본 편집]

국립디지털도서관 사진[편집 | 원본 편집]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 소개-자료현황, 2018년 6월 4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