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도등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등대 정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등대
{{등대 정보
|명칭=동백도등대
|등대이름 = 동백도등대
|그림=
|원어이름 =
|그림설명=
|그림     =  
|명칭=동백도등대
|그림설명 =  
|위치=[[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리]]
|번호    = 3369 / M4168
|경위도=37-11-49.7N </br>126-12-35.6E
|위치     =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리]] 산336
|인접항구=
|경위도   = 37-11-49.7N 126-12-35.6E
|높이=9.2
|등고    = 35m
|점등일자=
|높이     = 11m
|광파표지/광달거리=5초 1백섬광 / 11마일
|관할기관 =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음파표지/음달거리=
|점등일자 =  
|전파표지/통달거리/주파수='''Q'''부호 송신 / 10마일
|광파표지 = 5초 1백섬광 / 11해리
|관할기관=
|음파표지 =  
|전파표지 = Racon(No.4146.5) / '''Q'''부호 송신 / 10해리
|비고    =
|하위 틀  =  
}}
}}
==개요==
==개요==
18번째 줄: 21번째 줄:


{{주석}}
{{주석}}
{{대한민국의 무인등대}}
{{인천지방해양수산청 관할 등대}}
[[분류:무인등대]]
 
{{리브레 맵스 마커|37.19713888888889|126.20988888888888|11|동백도등대}}

2022년 4월 10일 (일) 18:05 기준 최신판

동백도등대
등대 정보
번호 3369 / M4168
위치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리 산336
37-11-49.7N 126-12-35.6E
등고 35m
높이 11m
관할기관 인천지방해양수산청
광파표지 5초 1백섬광 / 11해리
전파표지 Racon(No.4146.5) / Q부호 송신 / 10해리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동백도등대는 덕적군도의 구성도서인 소야도와 소이작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바위섬으로 해당 수로는 폭 1.9km에 불과한 좁은 수로이지만 인천항을 출발해서 남쪽으로 향하는 선박들의 항로로 이용되고 있는 수로로 특히 제주항쪽으로 가는 통로가 되는 곳이다. 이쪽 항로는 섬 자체도 작은 바위섬인데다 수로 자체가 좁고 소용돌이치는 곳이 있어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각별히 주의가 요구되는 곳으로 특히 남쪽에서 인천항쪽으로 접근하는 선박의 경우 이 등대의 불빛과 인근의 소야도등대의 불빛을 기준삼아 항해를 해서 북쪽의 묵통도등대쪽으로 항해하여 묵통도등대를 지나치면 바로 팔미도등대로 연계가 된다. 이렇게 되면 영흥도쪽의 더 좁아터진 협수로[1] 를 피해서 인천항쪽으로 향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먼 거리를 오가는 선박들이 주로 이용하는 통로이다. 물론 여기를 통과하기 부담스러운 대형 상선들은 아예 덕적군도 서쪽의 외해로 돌아나가니 해당은 없다.

각주

  1. 이쪽도 폭은 비슷하지만 수심이 훨씬 더 얕고 암초가 널려서 중형 선박 이상은 통과하기가 부담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