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교신호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중앙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 {{철도역 정보 |역명 = 창교역 |역명2 = |배경색 = |그림 = |그림설명 = |역번호 = |소재지 = 강...)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경주역|경주 +경주역 (폐역)|경주))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5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중앙선]]
{{철도역 정보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
|이름    = 창교
{{철도역 정보
|원어이름 =  
|역명 = 창교역
|배경색   =
|역명2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역번호 =  
|그림alt  =  
|소재지 =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신림리
|주소    = [[강원도]] [[원주시]]신림면 치악로 189<br />(신림리 410-3)
|좌표 =  
|번호    =  
|개업일 = {{날짜/출력|1977-3-1}}
|노선    = [[중앙선]] <small>122.3 km</small>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 [[1977년]] [[3월 1일]]
|종별 = [[신호장]]
|폐지일  = [[2021년]] [[1월 5일]]
|등급 =  
|코드    = 624
|승강장 =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노선1 = [[중앙선]]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신림리에 위치한 역으로 1970년대 들어서 폭증하는 [[중앙선]] 철도의 화물수송량을 감당하기 위해 선로용량 증설의 목적으로 개설된 신호장이다. 이쪽을 오가는 화물열차의 길이가 꽤나 긴 장대편성들이 많다보니 내부 대피선도 상당히 길게설치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동시기에 중앙선에 건설된 역은 [[금교역]], [[유교역]], [[창교역]], [[연교역]]의 4개 역이 있다. 역명 이름 자체가 교행(交行)의 교(交)를 뒤에 붙인 방식
|영업거리1 = 122.3
|전방면1 = [[청량리역|청량리]]
|전역1 = [[치악역|치악]]
|전거리1 = 5.3
|후방면1 = [[경주역|경주]]
|후역1 = [[신림역|신림]]
|후거리1 = 3.1
}}


==개요==
== 경유 노선 ==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신림리에 위치한 역으로 1970년대 들어서 폭증하는 [[중앙선]] 철도의 화물수송량을 감당하기 위해 선로용량 증설의 목적으로 개설된 신호장이다. 이쪽을 오가는 화물열차의 길이가 꽤나 긴 장대편성들이 많다보니 내부 대피선도 상당히 길다란 길이를 가지고 있다.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gray|글자색=white
|노선명=312 [[중앙선]]|노선거리=122.3 km
|전방면=[[청량리역|청량리]] 방면|전역=[[치악역|치악]]|전거리=5.3 km
|당역='''창교'''
|후방면=[[경주역 (폐역)|경주]] 방면|후역=[[신림역 (원주)|신림]]|후거리=3.1 km}}
{{경유 노선/닫기}}


{{주석}}
{{주석}}
[[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역]]

2023년 9월 23일 (토) 21:42 기준 최신판

창교
주소 강원도 원주시신림면 치악로 189
(신림리 410-3)
노선 중앙선 122.3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개업일 1977년 3월 1일
폐지일 2021년 1월 5일
코드 624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신림리에 위치한 역으로 1970년대 들어서 폭증하는 중앙선 철도의 화물수송량을 감당하기 위해 선로용량 증설의 목적으로 개설된 신호장이다. 이쪽을 오가는 화물열차의 길이가 꽤나 긴 장대편성들이 많다보니 내부 대피선도 상당히 길게설치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동시기에 중앙선에 건설된 역은 금교역, 유교역, 창교역, 연교역의 4개 역이 있다. 역명 이름 자체가 교행(交行)의 교(交)를 뒤에 붙인 방식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청량리 방면
치악 5.3 km
창교 경주 방면
신림 3.1 km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