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Grimoire: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Team Grimoire''', '''Nevelymn'''는 일본의 동인 음악 작곡가이다.
== Team Grimoire ==
{{인물 정보
{{인물 정보
|인물이름 = Team Grimoire
|인물이름 = Team Grimoire
7번째 줄: 4번째 줄:
|배경색  =  
|배경색  =  
|글자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Team grimoire.png{{!}}150px|150px]]
|그림    = [[파일:Team grimoire.png|150px]]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본명    =  
|본명    =  
25번째 줄: 22번째 줄:
|활동기간 =  
|활동기간 =  
|소속사  =  
|소속사  =  
|웹사이트 = {{트위터|teamgrimoire|Team Grimoire}}<br />{{트위터|Dj_Grimoire|Dj Grimoire}}<br />[https://soundcloud.com/team-grimoire SoundCloud]
|웹사이트 = {{트위터|teamgrimoire|Team Grimoire}}<br />{{트위터|Dj_Grimoire|Dj Grimoire}}<br />{{트위터|nevelymn|Nevelymn}}<br/>[https://soundcloud.com/team-grimoire SoundCloud]
|비고    =  
|비고    =  
|하위 틀  =  
|하위 틀  =  
35번째 줄: 32번째 줄:
  }}
  }}
}}
}}
'''Team Grimoire'''는 일본의 동인 음악 작곡가이다. "팀 그리모어"로 읽으며<ref>https://twitter.com/teamgrimoire/status/1291725414671425536?s=20</ref>,이며, Dj Grimoire라는 명의로 활동하기도 한다. 트위터 계정의 소개란에 따르면<ref>https://twitter.com/teamgrimoire?s=20 2021년 1월 19일 확인.</ref> "Team Grimoire"는 주로 심포닉 장르, "Dj Grimoire"는 주로 [[하드코어]] 장르의 곡을 쓸 때의 명의이며, 켈틱 장르는 Ice, あま猫 를 포함한 여러 작곡가의 합작 명의인 "Project Grimoire"로 발표한다.


2021년 말 "'''Nevelymn'''" 명의로도 활동할 의사를 밝혔으며, 드럼 앤 베이스, 리퀴드 펑크, 뉴로 펑크 등의 장르를 다루고자 한다고 한다.<ref>https://twitter.com/nevelymn/status/1470949374171971586?s=20&t=DI28zS8c51s9UxduzLrmTg</ref>


"팀 그리모어"로 읽으며<ref>https://twitter.com/teamgrimoire/status/1291725414671425536?s=20</ref>,이며, Dj Grimoire라는 명의로 활동하기도 한다. 트위터 계정의 소개란에 따르면<ref>https://twitter.com/teamgrimoire?s=20 2021년 1월 19일 확인.</ref> "Team Grimoire"는 주로 심포닉 장르, "Dj Grimoire"는 주로 [[하드코어]] 장르의 곡을 쓸 때의 명의이며, 켈틱 장르는 Ice, あま猫 를 포함한 여러 작곡가의 합작 명의인 "Project Grimoire"로 발표한다.
{{-}}
=== 음악 및 앨범 활동 ===
=== 음악 및 앨범 활동 ===
==== 디스코그래피 ====
==== 디스코그래피 ====
61번째 줄: 57번째 줄:
* 《[[UMBRA MORTIS]]》 (2018)
* 《[[UMBRA MORTIS]]》 (2018)
* 《[[Restriction3]]》 (2018)
* 《[[Restriction3]]》 (2018)
* 《[[Itinerary #1|Itinerary #1]]》 (2022) {{배지|Nevelymn|#27b7}}
|}
|}


73번째 줄: 70번째 줄:
|버튼여백좁게=y
|버튼여백좁게=y
|여백좁게=y
|여백좁게=y
|제목1=온게키
|제목1=CHUNITHM
|제목2=CHUNITHM
|제목2=GROOVER COASTER
|제목3=maimai
|제목3=maimai
|제목4=WACCA
|제목5=사운드 볼텍스
|제목6=온게키
|제목7=팝픈뮤직
|내용1=
|내용1=
* [[Aenbharr]]
* [[Grievous Lady]] {{배지|[[Arcaea|{{색|#fff|Arcaea}}]]|#3335}} {{배지|합작: Laur|#27b7}}
* [[TiamaT:F minor]]
{{-}}
{{-}}
|내용2=
|내용2=
* [[Grievous Lady]] {{배지|[[Arcaea|{{색|#fff|Arcaea}}]]|#3335}} {{배지|합작: Laur|#27b7}}
* [[Grievous Lady]] {{배지|[[Arcaea|{{색|#fff|Arcaea}}]]|#3335}} {{배지|합작: Laur|#27b7}}
* [[TiamaT:F minor]]
* [[Lemegeton -little key of solomon-]] {{배지|합작: MASAKI|#27b7}}
* [[ouroVoros]] {{배지|BMS / BOFU2017|#3335}}
{{-}}
{{-}}
|내용3=
|내용3=
88번째 줄: 91번째 줄:
* [[Lia=Fail]]
* [[Lia=Fail]]
{{-}}
{{-}}
|제목4=사운드 볼텍스
|제목5=팝픈뮤직
|내용4=
|내용4=
* [[Sheriruth]] (Laur Remix) {{배지|[[Arcaea|{{색|#fff|Arcaea}}]]|#3335}} {{배지|리믹스: Laur|#27b7}}
{{-}}
|내용5=
* [[Akzeriyyuth]]
* [[Akzeriyyuth]]
* [[C18H27NO3]]
* [[C18H27NO3]]
96번째 줄: 100번째 줄:
* [[Noisy Minority]]
* [[Noisy Minority]]
{{-}}
{{-}}
|내용5=
|내용6=
* [[Aenbharr]]
{{-}}
|내용7=
* [[saQrifice]]
* [[saQrifice]]
{{-}}
|제목6=GROOVER COASTER
|내용6=
* [[Lemegeton -little key of solomon-]] {{배지|합작: MASAKI|#27b7}}
{{-}}
{{-}}
}}
}}
====== PC 및 콘솔 리듬 게임 ======
====== PC 및 콘솔 리듬 게임 ======
{{탭
{{탭
110번째 줄: 114번째 줄:
|제목1=BMS
|제목1=BMS
|내용1=
|내용1=
* [[Amphisbaena]]  {{배지|BOF2015|#a338}}
* [[Amphisbaena]]  {{배지|BOFU2015|#a338}}
* [[ouroVoros]] {{배지|BOF2017|#a338}}
* [[ouroVoros]] {{배지|BOFU2017|#a338}}
{{-}}
{{-}}
|제목2=Muse Dash
|제목2=Muse Dash
|내용2=
|내용2=
* [[ouroVoros]] {{배지|BMS / BOF2017|#3335}}
* [[ouroVoros]] {{배지|BMS / BOFU2017|#3335}}
* {{일본어=|[[蓋棺クリサリス]]}}
* {{일본어=|[[蓋棺クリサリス]]}}
{{-}}
{{-}}
124번째 줄: 128번째 줄:
* [[Grimoire of Crimson]] {{배지|《[[Grimoire of Crimson (음반)|{{색|#fff|Grimoire of Crimson}}]]》|#3335}}
* [[Grimoire of Crimson]] {{배지|《[[Grimoire of Crimson (음반)|{{색|#fff|Grimoire of Crimson}}]]》|#3335}}
* [[Kathastrophe]] {{배지|《[[Katastrophe|{{색|#fff|Katastrophe}}]]》|#3335}}
* [[Kathastrophe]] {{배지|《[[Katastrophe|{{색|#fff|Katastrophe}}]]》|#3335}}
* [[ouroVoros]] {{배지|BMS / BOF2017|#3335}}
* [[ouroVoros]] {{배지|BMS / BOFU2017|#3335}}
* [[Restriction]] {{배지|《[[Restriction (음반)|{{색|#fff|Restriction}}]]》|#3335}}
* [[Restriction]] {{배지|《[[Restriction (음반)|{{색|#fff|Restriction}}]]》|#3335}}
}}
}}
132번째 줄: 136번째 줄:
|버튼여백좁게=y
|버튼여백좁게=y
|여백좁게=y
|여백좁게=y
|제목1=Cytus
|제목1=Arcaea
|제목2=Cytus II
|제목2=Cytus
|제목3=DEEMO
|제목3=Cytus II
|제목4=D4DJ Groovy Mix
|제목5=DEEMO
|제목6=KALPA
|제목7=Lanota
|제목8=Phigros
|내용1=
|내용1=
* [[Arcana Eden]] {{배지|합작: Laur, Sakuzyo|#27b7}}
* [[Dantalion]]
* [[Grievous Lady]] {{배지|합작: Laur|#27b7}}
* [[Sheriruth]] {{배지|《[[Grimoire of Darkness|{{색|#fff|Grimoire of Darkness}}]]》|#3335}} {{배지|오리지널|#a338}}
{{-}}
|내용2=
* [[Brionac ~Lugh Lamhfhata~]] {{배지|Project Grimoire|#27b7}}
* [[Brionac ~Lugh Lamhfhata~]] {{배지|Project Grimoire|#27b7}}
{{-}}
{{-}}
|내용2=
|내용3=
* [[Aphasia]] {{배지|《[[Grimoire of Blue (음반)|{{색|#fff|Grimoire of Blue}}]]》|#3335}}
* [[Aphasia]] {{배지|《[[Grimoire of Blue (음반)|{{색|#fff|Grimoire of Blue}}]]》|#3335}}
* [[Armaros]] {{배지|《[[Restriction3|{{색|#fff|Restriction3}}]]》|#3335}}
* [[Armaros]] {{배지|《[[Restriction3|{{색|#fff|Restriction3}}]]》|#3335}}
147번째 줄: 162번째 줄:
* [[Xiorc]] {{배지|합작: {{일본어=|あま猫}}|#27b7}}
* [[Xiorc]] {{배지|합작: {{일본어=|あま猫}}|#27b7}}
{{-}}
{{-}}
|내용3=
|내용4=
* [[Caliburne ~Story of the Legendary sword~]] {{배지|[[maimai 시리즈|{{색|#fff|maimai 시리즈}}]]|#3335}} {{배지|Project Grimoire|#27b7}}
{{-}}
|내용5=
* [[Alexithymia]]
* [[Alexithymia]]
* [[CHAOS MAGNVM]] {{배지|《[[CHAOS MAGNVM (음반)|{{색|#fff|CHAOS MAGNVM}}]]》|#3335}} {{배지|합작: Sennzai|#27b7}}
* [[CHAOS MAGNVM]] {{배지|《[[CHAOS MAGNVM (음반)|{{색|#fff|CHAOS MAGNVM}}]]》|#3335}} {{배지|합작: Sennzai|#27b7}}
154번째 줄: 172번째 줄:
* [[Librum clausi]] {{배지|《[[Grimoire of Darkness|{{색|#fff|Grimoire of Darkness}}]]》|#3335}}
* [[Librum clausi]] {{배지|《[[Grimoire of Darkness|{{색|#fff|Grimoire of Darkness}}]]》|#3335}}
{{-}}
{{-}}
|제목4=Arcaea
|내용6=
|제목5=KALPA
|제목6=Lanota
|제목7=Phigros
|내용4=
* [[Arcana Eden]] {{배지|합작: Laur, Sakuzyo|#27b7}}
* [[Dantalion]]
* [[Grievous Lady]] {{배지|합작: Laur|#27b7}}
* [[Sheriruth]] {{배지|《[[Grimoire of Darkness|{{색|#fff|Grimoire of Darkness}}]]》|#3335}} {{배지|오리지널|#a338}}
{{-}}
|내용5=
* [[Astaroth]] {{배지|[[Lanota|{{색|#fff|Lanota}}]]|#3335}}
* [[Astaroth]] {{배지|[[Lanota|{{색|#fff|Lanota}}]]|#3335}}
* [[Bathin]]
* [[Bathin]]
* [[Rrhar'il]] {{배지|[[Phigros|{{색|#fff|Phigros}}]]|#3335}}
* [[Rrhar'il]] {{배지|[[Phigros|{{색|#fff|Phigros}}]]|#3335}}
{{-}}
{{-}}
|내용6=
|내용7=
* [[Astaroth]]
* [[Astaroth]]
* [[Lemegeton -little key of solomon-]] {{배지|[[GROOVE COASTER 시리즈|{{색|#fff|GROOVE COASTER 시리즈}}]]|#3335}} {{배지|합작: MASAKI|#27b7}}
* [[Lemegeton -little key of solomon-]] {{배지|[[GROOVE COASTER 시리즈|{{색|#fff|GROOVE COASTER 시리즈}}]]|#3335}} {{배지|합작: MASAKI|#27b7}}
* [[Rrhar'il]] {{배지|[[Phigros|{{색|#fff|Phigros}}]]|#3335}}
* [[Rrhar'il]] {{배지|[[Phigros|{{색|#fff|Phigros}}]]|#3335}}
{{-}}
{{-}}
|내용7=
|내용8=
* [[Rrhar'il]]
* [[Rrhar'il]]
{{-}}
{{-}}
}}
}}
== Nevelymn ==
2021년 말 "Nevelymn" 명의로도 활동할 의사를 밝혔으며, 드럼 앤 베이스, 리퀴드 펑크, 뉴로 펑크 등의 장르를 다루고자 한다고 한다.<ref>https://twitter.com/nevelymn/status/1470949374171971586?s=20&t=DI28zS8c51s9UxduzLrmTg</ref>
=== 음악 및 앨범 활동 ===
==== 디스코그래피 ====
{| style='width:100%'
!
:EP
|-
|
* 《[[Itinerary #1]]》 (2022)
|}


{{각주}}
{{각주}}
[[분류:Team Grimoire| ]]
[[분류:Team Grimoire| ]]

2023년 2월 21일 (화) 03:08 기준 최신판

Team Grimoire
Team grimoire.png
인물 정보
출생 12월 15일 (연도 미상)
국적 일본
직업 작곡가
웹사이트 트위터 Team Grimoire
트위터 Dj Grimoire
트위터 Nevelymn
SoundCloud
음악 활동

Team Grimoire는 일본의 동인 음악 작곡가이다. "팀 그리모어"로 읽으며[1],이며, Dj Grimoire라는 명의로 활동하기도 한다. 트위터 계정의 소개란에 따르면[2] "Team Grimoire"는 주로 심포닉 장르, "Dj Grimoire"는 주로 하드코어 장르의 곡을 쓸 때의 명의이며, 켈틱 장르는 Ice, あま猫 를 포함한 여러 작곡가의 합작 명의인 "Project Grimoire"로 발표한다.

2021년 말 "Nevelymn" 명의로도 활동할 의사를 밝혔으며, 드럼 앤 베이스, 리퀴드 펑크, 뉴로 펑크 등의 장르를 다루고자 한다고 한다.[3]

음악 및 앨범 활동[편집 | 원본 편집]

디스코그래피[편집 | 원본 편집]

정규
EP

기타 서브컬쳐 참여곡[편집 | 원본 편집]

합작 및 피쳐링[편집 | 원본 편집]
  • L'éveil》 - 蓋棺クリサリス (Sennzai)
리듬 게임 수록[편집 | 원본 편집]
아케이드 리듬 게임[편집 | 원본 편집]
CHUNITHM
GROOVER COASTER
maimai
WACCA
사운드 볼텍스
온게키
팝픈뮤직
PC 및 콘솔 리듬 게임[편집 | 원본 편집]
모바일 리듬 게임[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