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촌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역이름  = 거촌역
|이름    = 거촌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부역명  =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Geochon Station.JPG]]
|그림    = Geochon Station.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도장밭길 44-41<br />(외삼리)
|주소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도장밭길 44-41<br />(외삼리)
|번호    =  
|번호    =  
|노선    = [[영동선]] <small>20.2 km</small>
|노선    = [[영동선]] <small>20.2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춘양역|춘양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 [[1955년]] [[2월 1일]]
|개업일  = [[1955년]] [[2월 1일]]
|폐지일  =  
|폐지일  =  
21번째 줄: 20번째 줄:
|하위 틀  =  
|하위 틀  =  
}}
}}
==개요==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외삼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실제 역의 이름인 거촌리는 역 바로 옆 약 600미터 정도 떨어진 동네의 이름이다. 이 역도 [[봉화군]] 지역의 다른 [[무배치간이역]]들과 마찬가지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여객열차가 무정차하는 역이다. 거기에 거촌리의 경우 바로 옆동네가 바로 [[봉화읍]]인지라 굳이 철도를 이용할 이유는 더더욱 없는 편.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외삼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실제 역의 이름인 거촌리는 역 바로 옆 약 600미터 정도 떨어진 동네의 이름이다. 이 역도 [[봉화군]] 지역의 다른 [[무배치간이역]]들과 마찬가지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여객열차가 무정차하는 역이다. 거기에 거촌리의 경우 바로 옆동네가 바로 [[봉화읍]]인지라 굳이 철도를 이용할 이유는 더더욱 없는 편.


36번째 줄: 35번째 줄:


[[분류:영동선]]
[[분류:영동선]]
[[분류:봉화군의 철도역]]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6.89008989840051|128.77294063568115|11|거촌역}}
{{리브레 맵스 마커|36.89008989840051|128.77294063568115|11|거촌역}}

2023년 9월 20일 (수) 15:43 기준 최신판

거촌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도장밭길 44-41
(외삼리)
노선 영동선 20.2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1955년 2월 1일
코드 433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외삼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실제 역의 이름인 거촌리는 역 바로 옆 약 600미터 정도 떨어진 동네의 이름이다. 이 역도 봉화군 지역의 다른 무배치간이역들과 마찬가지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여객열차가 무정차하는 역이다. 거기에 거촌리의 경우 바로 옆동네가 바로 봉화읍인지라 굳이 철도를 이용할 이유는 더더욱 없는 편.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영주 방면
봉화 5.5 km
거촌 청량 방면
봉성 5.5 km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