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식 승강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오류 수정 (빈칸))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상대식 승강장.PNG|300px|프레임없음|가운데]]
[[파일:상대식 승강장.PNG|thumb]]
==개요==
==개요==
'''상대식 승강장'''은 상/하행의 승강장 사이에 선로가 놓여 있어 승차 시에  건너편 플랫폼을 마주보면서 승차를 하는 방식의 승강장이다. 반대의 개념으로는 [[섬식 승강장]]이 있다. 플랫폼을 두 개로 분할하기 때문에, 역의 이용 인구가 많은 경우에 유리하다. 승강장의 폭이 좁은데 나중에 이용객이 급증할 경우에는 그냥 승강장 옆의 벽을 좀 더 파내는 식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열차를 잘못된 방향으로 탔을 경우 반대편 승강장으로 넘어가려면 무조건 계단을 통해 이동해야 하며, 만일 계단 바로 위에 개찰구가 존재한다면 반대편으로 넘어가기 심히 [[골룸]]해진다
'''상대식 승강장'''은 상/하행의 승강장 사이에 선로가 놓여 있어 승차 시에  건너편 플랫폼을 마주보면서 승차를 하는 방식의 승강장이다.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지하철역이 상대식 승강장이다. 반대의 개념으로는 [[섬식 승강장]]이 있다.


==예시==
[[네이버 지도]], [[다음 지도]]에서는 '양쪽' 승강장이라는 말을 쓰고 있다.
=== 수도권 전철 ===
[[시청역(서울)|서울 시청역]] 1호선 부분


[[동대문역]] 1호선 부분
== 변형 ==
* [[2면 3선식 승강장]]·[[쌍섬식 승강장]]
*: 승강장 외측에 새로운 선로를 부설하면 다른 형태의 승강장이 되는 데, 한쪽 승강장에만 신설하면 2면 3선식 승강장이 되고, 양쪽 모두 신설하면 쌍섬식 승강장이 된다. 부본선이 생기므로 열차 운용에 유연성이 생긴다.
* 쌍상대식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을 나란히 2개 붙이면 상대식 승강장 사이에 섬식 승강장이 들어가는 형태가 되는 데, 이를 “쌍상대식 승강장”이라고 부른다. 복선을 복복선화 하면서 섬식 양쪽에 1면씩 덧붙이거나, 다른 노선이 평면으로 합류하면서 기존 승강장을 활용하고 1면만 신설하면 이런 형태가 된다. 경의선 [[디엠시역]](복복선)이나 2호선 [[신도림역]](노선 합류)이 이런 형태다.
*: 복복선화인 경우 완급결합은 다른데 팔아먹은 형태가 되고, 2개 노선이 병행하는 경우 역방향 환승말고는 동선이 엉망이 되기 때문에 돈이 절약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좋은게 하나도 없는 형태.
 
== 장점 ==
* 선로당 승강장이 하나씩 대응되므로 유동인구 처리에 유리하다.
* 규모에 따라 얼마든지 넓힐 수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역]]이나 [[수도권 전철 경의선]] [[홍대입구역]]을 보면 많은 승객을 수용하기위해 넓게 지어져 있다.
* 지하 승강장인 경우 개착 규모가 작기 때문에 공사비가 [[섬식 승강장]]보다 적게 든다.
 
== 단점 ==
* 반대편으로 되돌아가려면 계단 이용이 필요하다. 일부역은 개찰구 위치 탓에 횡단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주}}
{{문서 가져옴|섬식 승강장}}
[[분류:철도 승강장]]
[[분류:철도 승강장]]

2021년 6월 20일 (일) 00:04 기준 최신판

상대식 승강장.PNG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상대식 승강장은 상/하행의 승강장 사이에 선로가 놓여 있어 승차 시에 건너편 플랫폼을 마주보면서 승차를 하는 방식의 승강장이다.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지하철역이 상대식 승강장이다. 반대의 개념으로는 섬식 승강장이 있다.

네이버 지도, 다음 지도에서는 '양쪽' 승강장이라는 말을 쓰고 있다.

변형[편집 | 원본 편집]

  • 2면 3선식 승강장·쌍섬식 승강장
    승강장 외측에 새로운 선로를 부설하면 다른 형태의 승강장이 되는 데, 한쪽 승강장에만 신설하면 2면 3선식 승강장이 되고, 양쪽 모두 신설하면 쌍섬식 승강장이 된다. 부본선이 생기므로 열차 운용에 유연성이 생긴다.
  • 쌍상대식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을 나란히 2개 붙이면 상대식 승강장 사이에 섬식 승강장이 들어가는 형태가 되는 데, 이를 “쌍상대식 승강장”이라고 부른다. 복선을 복복선화 하면서 섬식 양쪽에 1면씩 덧붙이거나, 다른 노선이 평면으로 합류하면서 기존 승강장을 활용하고 1면만 신설하면 이런 형태가 된다. 경의선 디엠시역(복복선)이나 2호선 신도림역(노선 합류)이 이런 형태다.
    복복선화인 경우 완급결합은 다른데 팔아먹은 형태가 되고, 2개 노선이 병행하는 경우 역방향 환승말고는 동선이 엉망이 되기 때문에 돈이 절약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좋은게 하나도 없는 형태.

장점[편집 | 원본 편집]

단점[편집 | 원본 편집]

  • 반대편으로 되돌아가려면 계단 이용이 필요하다. 일부역은 개찰구 위치 탓에 횡단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주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섬식 승강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