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span style="color: white;"> +))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span> +))
30번째 줄: 30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2}}|왼쪽 승강장=↻ 내선순환 승강장|승강장 정보='''2호선''' [[강남역|강남</span>]] · [[사당역|사당</span>]] · [[신도림역|신도림</span>]]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2}}|왼쪽 승강장=↻ 내선순환 승강장|승강장 정보='''2호선''' [[강남역|강남]] · [[사당역|사당]] · [[신도림역|신도림]]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강변]]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강변]] 방면
36번째 줄: 36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2호선]] [[건대입구역|건대입구]]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2호선]] [[건대입구역|건대입구]] 방면 →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2}}|오른쪽 승강장=↺ 외선순환 승강장|승강장 정보='''2호선''' [[건대입구역|건대입구</span>]] · [[왕십리역|왕십리</span>]] · [[시청역 (서울)|시청</span>]] 방면 | '''↺ 외선순환 승강장'''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2}}|오른쪽 승강장=↺ 외선순환 승강장|승강장 정보='''2호선''' [[건대입구역|건대입구]] · [[왕십리역|왕십리]] · [[시청역 (서울)|시청]] 방면 | '''↺ 외선순환 승강장'''
|-
|-
|}
|}

2020년 5월 26일 (화) 05:59 판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384-1
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11.4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80년 10월 31일
승강장 2면 2선

九宜驛 / Guui Station 92역 / Ninety-two Station

개요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자양동에 걸쳐 있는 지하철역. 병기역명은 광진구청이다.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자양사거리쪽의 1, 4번 출구와 동부법원, 광진구청쪽의 2, 3번 출구가 각각 2개씩 양쪽에 붙어 있다. 과거에는 양끝 출구만 빼고 가운데는 막혀 있어서 반대쪽으로 내리기라도 하면 밖에서 길을 찾아 돌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 화장실도 가운데 통로 안쪽에 있어서 화장실이 급한데 깜빡 개찰구 밖으로 나가기라도 하면 영락없이 다시 찍고 들어가거나 아님 다른 화장실을 찾아야 했다.

개찰구를 계단 바로 옆으로 옮기고 가운데 통로를 개방해서 육교나 횡단보도 대응으로도 요긴하게 쓰이고 있다. 2012년 시점으로 통행량이 많은 1, 2, 4번 출구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현재 세군데 전부 완공.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00B140|왼쪽 승강장=↻ 내선순환 승강장|승강장 정보=2호선강남 · 사당 · 신도림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2호선강변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2호선건대입구 방면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00B140|오른쪽 승강장=↺ 외선순환 승강장|승강장 정보=2호선건대입구 · 왕십리 · 시청 방면 | ↺ 외선순환 승강장

주변 정보

역 주변의 주요 시설로는 광진구청과 광진경찰서, 동서울우편집중국과 서울동부지방법원, 검찰청대한법률구조공단 동부지부가 있다. 또한 건국대 사범대학 부속중고등학교 (건대입구역보다는 구의역에 가깝다.)와 동국대 사범대학 부속여자중고등학교(前명성여중, 여고) 등 서울 동부지역에서는 유난히 대학부속 중고등학교와 인연이 닿은 역인 게 특징.

주로 개인주택과 빌라로 구성되어 있어 개발이 더뎠으나 2008년부터 땅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중. 그러나 동부지방법원의 이전이 확정된 2013년 기준으로 좀 더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한 때 자살자가 많기로 악명이 높은 역이기도 했다. 한참 자살자가 많은 역으로 소문이 퍼질 때에는 출퇴근 시간에 자살을 막아보겠다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음악을 역 구내에 틀기도 했다. 그런다고 해결될 리가...지금은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인 결과 그 오명은 벗게 되었다.

사건·사고

  • 2016년 5월 28일 : 스크린도어 수리직원 김 모씨(20)가 잠실 방향 플랫폼에서 열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끼어 숨졌다.[1] 이후 구의역 스크린도어와 역무실 옆 공간에 시민들이 추모 포스트잇을 부착했다.[2]

경유 열차

수도권 전철

서울 지하철 2호선
외선순환
 212  건대입구
 213  구의 내선순환
 214  강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