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221.142.229.149(토론)의 편집을 Unter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원인 추가 / 나머지 수정)
태그: 모니위키(나무위키) 문법 사용이 의심됨
1번째 줄: 1번째 줄:
'''만 나이'''는 역법상의 [[1월 1일]]에 다 같이 [[나이]]를 먹는 [[세는 나이]]와는 달리 본인의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헤아리는 관습이다. [[대한민국]]제외한(심지어는 [[북한]]도!) 모든 국가가 사용하는 방식이다.
'''만 나이'''는 역법상의 [[1월 1일]]에 다 같이 [[나이]]를 먹는 [[세는나이]]와는 달리 본인의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헤아리는 관습이다. [[대한민국]]의 일상생활을 제외한(심지어는 [[북한]]도!) 모든 국가가 사용하는 방식이다.


== 대한민국에서 ==
== 대한민국에서 ==
제도상으로는 만 나이를 쓰지만, 서열에 민감한 한국 사회에서는 일상적으로 세는 나이를 통용하고 있다. 덕분에 서류 기재시에 혼란이 많이 일어나는 편. 본인의 만 나이를 모르는 한국인들도 많다.
제도상으로는 만 나이를 쓰지만, 1980년대 이후 군대식 사병 문화가 일반 사회에 터를 잡아서 서열에 민감한 현대의 한국 사회에서는 아예 일상적으로 세는나이를 통용하게 되어버린 덕분에 서류 기재 시에 혼란이 많이 일어나는 편. 현재는 너무 순진해서 본인의 만 나이를 모르는 한국인들도 많다.


[[구글]] 검색에서는 만 나이만 표기해주지만, 네이버 등의 한국 사이트에서는 만 나이와 세는 나이를 동시에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원래부터 한국 사회가 나이나 서열에 민감한 것은 아니었다. [[조선]] 시대에는 상팔하팔이라는 문화가 있어서 서로 8살까지 친구 사이로 지낼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 [[일제강점기]]와 군부독재시대를 거치면서 군대식 사병 문화가 사회에 터를 잡기 시작하더니, 고작 1~2살 차이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형 누나 구분하는 서열 문화가 태어나게 되었다.
 
[[구글]] 검색에서는 만 나이만 표기해주지만, [[네이버]] 등의 한국 사이트에서는 만 나이와 세는나이를 동시에 표기하고 있다.


== 통용되지 않는 이유 ==
== 통용되지 않는 이유 ==
만 나이를 사용하자는 청원이 몇 번 나온 적 있지만, 결국 통과되지 못하고 말았다.<ref>{{웹 인용 |url=https://youthpress.net/xe/kypnews_article_culture/375740 |제목='한국식 나이' 폐지하고 '만 나이'로 통일? |저자=김서진 |날짜=2018-03-01 |웹사이트=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확인날짜=2018-03-28 }}</ref>
만 나이를 사용하자는 청원이 몇 번 나온 적 있지만, 결국 통과되지 못하고 말았다.<ref>{{웹 인용 |url=https://youthpress.net/xe/kypnews_article_culture/375740 |제목='한국식 나이' 폐지하고 '만 나이'로 통일? |저자=김서진 |날짜=2018-03-01 |웹사이트=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확인날짜=2018-03-28 }}</ref>


나이든 노년층이나 장년층은 대부분 세는 나이에 익숙해져 바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고, 10대와 20대들도 형 누나 구분하기와 대학교 서열 문화에 길들여져 상당수가 세는 나이를 사용하는 것에 아무런 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나이든 노년층이나 장년층은 대부분 세는 나이에 익숙해져 바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고, 10대와 20대들도 형 누나 구분하기와 대학교 서열 문화에 길들여져 상당수가 세는나이를 사용하는 것에 아무런 의식을 느끼지 못하거나 만 나이를 경계하고 있다[* 아무래도 현대의 10대와 20대들이 학년이나 학번 등에 영향을 쉽게 받는 세대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1900년대생 등은 나이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편이라고 한다.


{{각주}}
{{각주}}
[[분류:인생]]
[[분류:인생]]

2020년 3월 13일 (금) 11:26 판

만 나이는 역법상의 1월 1일에 다 같이 나이를 먹는 세는나이와는 달리 본인의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헤아리는 관습이다. 대한민국의 일상생활을 제외한(심지어는 북한도!) 모든 국가가 사용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에서

제도상으로는 만 나이를 쓰지만, 1980년대 이후 군대식 사병 문화가 일반 사회에 터를 잡아서 서열에 민감한 현대의 한국 사회에서는 아예 일상적으로 세는나이를 통용하게 되어버린 덕분에 서류 기재 시에 혼란이 많이 일어나는 편. 현재는 너무 순진해서 본인의 만 나이를 모르는 한국인들도 많다.

그러나 원래부터 한국 사회가 나이나 서열에 민감한 것은 아니었다. 조선 시대에는 상팔하팔이라는 문화가 있어서 서로 8살까지 친구 사이로 지낼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 일제강점기와 군부독재시대를 거치면서 군대식 사병 문화가 사회에 터를 잡기 시작하더니, 고작 1~2살 차이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형 누나 구분하는 서열 문화가 태어나게 되었다.

구글 검색에서는 만 나이만 표기해주지만, 네이버 등의 한국 사이트에서는 만 나이와 세는나이를 동시에 표기하고 있다.

통용되지 않는 이유

만 나이를 사용하자는 청원이 몇 번 나온 적 있지만, 결국 통과되지 못하고 말았다.[1]

나이든 노년층이나 장년층은 대부분 세는 나이에 익숙해져 바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고, 10대와 20대들도 형 누나 구분하기와 대학교 서열 문화에 길들여져 상당수가 세는나이를 사용하는 것에 아무런 의식을 느끼지 못하거나 만 나이를 경계하고 있다[* 아무래도 현대의 10대와 20대들이 학년이나 학번 등에 영향을 쉽게 받는 세대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1900년대생 등은 나이에 크게 신경쓰지 않는 편이라고 한다.

각주

  1. 김서진 (2018년 3월 1일). '한국식 나이' 폐지하고 '만 나이'로 통일?,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18년 3월 28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