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대우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화영운수]], [[소신여객]], [[성원여객]], [[세운버스]], [[우주교통]], [[대전교통]], [[삼화버스공사]], [[경안여객]], [[밀양교통]] 등) 든든하게 밀어주는 데다, 해외 수출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버스 생산 노하우가 아주 탄탄하게 다져져 있기 때문에, 인지도가 높다.
=== 장점 ===
* 부품 호환성이 매우 좋다. 하지만, FX시리즈 이후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 차체가 무거워 미끄러짐이 거의 없고 부품 수명이 길다.
* 하체(서스펜션)가 단단해 고속주행에서 안정적이다.
* 좌석 간 간격이 넓다.
=== 단점 ===
* 무거운 차체로 인해 필요로 한 에너지가 더 많이 요구되어, 연비가 떨어진다.
* 제동력이 떨어진다. 그래서 브레이크 밀림이 심하다.
* [[2008년]] 이후 버전부터는 잔고장이 심해졌다.
* 영업망의 부진도 한몫을 하고 있다.
== 생산 차종 ==
=== 소형 ===
* [[자일대우 레스타|레스타]]
=== 중형 ===


* [[자일대우 BS|New BS090]] 로얄 미디
* [[자일대우 BS|New BS090]] 로얄 미디

2019년 1월 12일 (토) 16:55 판

도시형

장거리, 시외, 고속, 전세

과거생산차량

  • BS105(시내버스) 1986~1996
  • BD101(시내버스)(새한자동차)1976 ~ 1977
  • BD50DL
  • BS106 로얄시티(시내버스) 1998~2011
  • BS106 하이파워(시내버스) 1991~1998
  • BH113 (로얄 에이스) 1994~1998
  • BH115H (로얄 익스프레스)
  • BH115E (로얄 이코노미)
  • BH116 (로얄 럭셔리)
  • BH117 (로얄 크루스타)
  • BH120 (로얄 크루저(F), 로얄 슈퍼(H))
  • 대우 BF101 : 대한민국 도시형 버스의 전설로 남은 차종. 3만여대가 생산되었다고 함.
  • BF105
  • 대우 BR101 1980~1985
  • 대우 BV101 1983~1986
  • 대우 BV113 1기형:1982~1987
  • 대우 BV113 2기형:1989~1996
  • 새한 BU100 1976~1980
  • 새한 BU110 1976~1987
  • 새한 BU120 1976~1986
    대한민국 최초의 리어엔진 도시형 버스 차종으로, 상마운수(현재 한남운수로 통합됨)와 대원여객이 운용했다. 그러나, 사정에 의하여 조기 대차되어 전멸 후, 12m의 것을 2002년에 BS120CN이 이어간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