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부르디외와 기든스, 아비투스? 제3의 길?: 제3의길은 본질적으로 경제적 자유주의를 수용한 좌파입니다. 정통 사민주의도 20세기말부터 급진적세계화만 반대했 세계화가치를 수용했습니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이를 보아하듯 세계화를 무조건 부정하거나 혹은 사실상 반세계화에 가까운 대안세계화를 내세우거나 하는 이들이 정치적으로 [[중도우파]]나 [[중도좌파]]와는 거리가 먼 급진주의/극단주의자<ref>마르크수주의, 정통 사회주의, 급진 사회주의, 공산주의, 강경 보수주의 내지 사회보수주의, 종교 근본주의, 파시즘, 내셔널리즘, 포퓰리즘 등</ref>들이기 때문에 세계화에 대한 부정 혹은 비판이나 회의 등도 걸러들을 필요성 또한 있다.<ref>그들은 현재의 세계화도 극단주의적이라고 말하지만 세계화주의자들 중 극단주의자는 아무리 넓게 잡은다한들 [[네오콘]] 정도밖에 없는데비해, 반세계화주의자들 중 극단주의자나 관련 이념들은 널리고 널렸다.</ref>
이를 보아하듯 세계화를 무조건 부정하거나 혹은 사실상 반세계화에 가까운 대안세계화를 내세우거나 하는 이들이 정치적으로 [[중도우파]]나 [[중도좌파]]와는 거리가 먼 급진주의/극단주의자<ref>마르크수주의, 정통 사회주의, 급진 사회주의, 공산주의, 강경 보수주의 내지 사회보수주의, 종교 근본주의, 파시즘, 내셔널리즘, 포퓰리즘 등</ref>들이기 때문에 세계화에 대한 부정 혹은 비판이나 회의 등도 걸러들을 필요성 또한 있다.<ref>그들은 현재의 세계화도 극단주의적이라고 말하지만 세계화주의자들 중 극단주의자는 아무리 넓게 잡은다한들 [[네오콘]] 정도밖에 없는데비해, 반세계화주의자들 중 극단주의자나 관련 이념들은 널리고 널렸다.</ref>


== 부르디외와 기든스, 아비투스? 제3의 길? ==
{{빈 문단}}


{{각주}}
{{각주}}
[[분류:국제정치학]]
[[분류:국제정치학]]

2018년 9월 14일 (금) 15:53 판

세계화.jpg

세계화(世界化, 영어: Globalization)는 통신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국제 사회에서 상호간 의존이 발전해 점점 여러 분야, 특히 경제 부분에서 단일화가 되어가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세계화의 사례는 다국적 기업이다. 대표적인 다국적 기업인 맥도날드는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기업이 되었고 빅맥지수라는 경제적인 수치의 기준이 되는 등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끼쳤다.

세계화의 역사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세계화의 양면성

세계화가 항상 긍정적인 영향만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세계화는 소비자가 갖는 선택의 폭을 넓히고, 이동이 보다 자유로워지는 등 장점을 불러오기도 했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도 있다.

마르크스주의나 사회주의적 시각에서는 세계화 및 이에 수반되는 각국의 경제 개방은 자본국들이 빈국을 착취하고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우파 내셔널리스트/포퓰리스트/국가주의자들은 세계화로 인한 무분별한 이민이 자국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잠식하기 때문에 세계화를 나쁘다고 주장한다.

이를 보아하듯 세계화를 무조건 부정하거나 혹은 사실상 반세계화에 가까운 대안세계화를 내세우거나 하는 이들이 정치적으로 중도우파중도좌파와는 거리가 먼 급진주의/극단주의자[1]들이기 때문에 세계화에 대한 부정 혹은 비판이나 회의 등도 걸러들을 필요성 또한 있다.[2]


각주

  1. 마르크수주의, 정통 사회주의, 급진 사회주의, 공산주의, 강경 보수주의 내지 사회보수주의, 종교 근본주의, 파시즘, 내셔널리즘, 포퓰리즘 등
  2. 그들은 현재의 세계화도 극단주의적이라고 말하지만 세계화주의자들 중 극단주의자는 아무리 넓게 잡은다한들 네오콘 정도밖에 없는데비해, 반세계화주의자들 중 극단주의자나 관련 이념들은 널리고 널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