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12번째 줄: 12번째 줄:


== 종류 ==
== 종류 ==
===속도에 따른 분류===
* 고속 전기차 : 60km/h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는 전기자동차. 운행에 제한은 없다.
* 고속 전기차 : 60km/h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는 전기자동차. 운행에 제한은 없다.
* 저속 전기차 : 60km/h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없는 전기자동차. [[자동차전용도로]], [[고속도로]]와 일부 고속화도로 통행이 제한된다.
* 저속 전기차 : 60km/h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없는 전기자동차. [[자동차전용도로]], [[고속도로]]와 일부 고속화도로 통행이 제한된다.

2018년 6월 27일 (수) 15:26 판

전기자동차.jpg

전기로만 움직이는 자동차.

개요

내연기관의 도움 없이 배터리전동기로만 움직이는 차량이다.

자동차 역사 초기에 잠깐 등장했다가, 내연기관 소형화로 주류에서 밀려나 사장되었고 극소수의 트롤리 버스만 남았다. 기술의 발전으로 전기자동차도 내연기관과 맞붙어볼 수 있는 수준에 다다랐고, 환경오염으로 내연기관의 대체 필요성이 대두되자 다시 시장에 등장했다.

내연기관과 전기자동차를 섞어놓은 게 하이브리드 자동차이고, 여기서 전기차의 비중을 더 크게 잡은 것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이다.

종류

속도에 따른 분류

  • 고속 전기차 : 60km/h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는 전기자동차. 운행에 제한은 없다.
  • 저속 전기차 : 60km/h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없는 전기자동차. 자동차전용도로, 고속도로와 일부 고속화도로 통행이 제한된다.

특징

  • 매연 미배출
    기존 내연기관의 문제로 꼽혔던 매연을 뿜지 않아 온실가스, 아산화질소, 검댕 등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이로 인해 지구온난화, 스모그 등의 개선 효과가 있다.
  • 내연기관 대비 토크 상승
    내연기관은 연료와 공기가 투입되는 시간이 있어 정지 상태에서 액셀을 깊게 밟는다고 총알 같이 튀어나가지 않는다. 하지만 전기자동차는 액셀이 곧 스위치이기 때문에 액셀을 깊게 밟으면 모터 회전수가 즉시 상승한다.
  • 어디서나 오랫동안 충전
    콘센트를 꽂을 곳이 있으면 어디서든 충전이 가능하다. 다만 진짜 아무대서나 꽃으면 엄청난 전기요금이 싸대기를 때리기 때문에 전용요금 계산이 되는 충전소에서 충전한다. 또한 충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며, 빠른 충전을 해도 30분은 족히 걸린다. 배터리 성능 저하로 인한 교체시 비용이 비싸다.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