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인: 두 판 사이의 차이

(→‎왜곡된 의미 - 재플리쉬 히로인: 이건 너무 내용이 편협한 것 같군요! 나중에 손보는 게 좋겠어요!)
잔글 (내용 대거 수정. 영어, 일본어 위키피디아를 참고했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heroine / ヒロイン
heroine / ヒロイン


== 개요 ==
히로인(헤로인)은 '''1. 영웅적인 여자, 여걸 / 2. (소설, 영화, 만화 등의) 여자 주인공 / 3. 영웅같은 여자'''를 일컫는 영단어이다.<ref>출처 : [http://endic.naver.com/userEntry.nhn?sLn=kr&entryId=4af85f9b1386f342fbc4916b73315a2e 네이버 영어사전]</ref> 원래 발음은 헤로인에 가깝지만 한국에서는 [[마약]] [[헤로인]]이 연상되기도 하고 [[일본]] 서브컬쳐의 영향을 깊게 받았기때문에 히로인(ヒロイン)이라고 쓰고 있다. 단 [[국립국어원]]에서 히로인의 표기를 인정하게 되었다.
히로인(헤로인)은 '''1. 영웅적인 여자, 여걸 / 2. (소설, 영화, 만화 등의) 여자 주인공 / 3. 영웅같은 여자'''를 일컫는 영단어이다.<ref>출처 : [http://endic.naver.com/userEntry.nhn?sLn=kr&entryId=4af85f9b1386f342fbc4916b73315a2e 네이버 영어사전]</ref> 원래 발음은 헤로인에 가깝지만 한국에서는 [[마약]] [[헤로인]]이 연상되기도 하고 [[일본]] 서브컬쳐의 영향을 깊게 받았기때문에 히로인(ヒロイン)이라고 쓰고 있다. 단 [[국립국어원]]에서 히로인의 표기를 인정하게 되었다.


== 본래 의미 ==
== 여성 영웅 ==
개요에서 언급되었다시피 히로인은 여성 영웅, 주인공을 의미하는 단어다보니 대표적으로는 《[[원더우먼]]》을 필두로 여성 영웅을 비롯해 픽션의 《[[나우시카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료우기 시키]]》, 《[[마토이 류코]]》, 《[[임페라토르 퓨리오사]]》, 《[[캣니스 에버딘]]》, 《[[라라 크로프트]]》, 《[[제로 (드래그 온 드라군 3)]]》, 《[[앙쥴리제 이카루가 미스루기]]》, 《[[벨벳 크라우]]》, 《[[라이트닝 (파이널 판타지 13)]]》, 《[[갈리]]》 처럼 성별이 여성이면서 자신이 등장하는 작품의 메인 주인공이자 영웅적인 면모를 보이는 인물에게만 히로인을 쓰고 있으며 작품의 메인 주인공(Protagonist)이 아닐지라도 《[[헤르미온느 그레인저]]》나 《[[스칼렛 위치]]》, 《[[키류인 사츠키]]》, 《[[세라스 빅토리아]]》, 《[[인테그랄 페어브루크 윙게이츠 헬싱]]》, 《[[노엘 버밀리온]]》, 《[[아시 (사무라이 잭)]]》처럼 어느정도 영웅성을 가지고 있거나 서브 주인공급의 입지를 가졌을 경우에도 히로인을 쓰기도 한다. 단 영어권은 주인공은 메인 캐릭터, 프로타고니스트라고 표기를 하지 히어로, 히로인으로는 표기를 잘안하는데 대체적으로 영웅 캐릭터에게만 쓰고 있기 때문이다.
영미권에서는 남성 영웅을 히어로(Hero)로 쓰는 것처럼 히로인(heroine)은 히어로의 여성형으로 2번같은 경우는 메인 캐릭터(프로타고니스트)로 많이 쓴다.


== 의미 변천 ==
신화, 고대사에서도 나왔다시피 과거 영웅들은 전쟁 등으로 이름을 날리는 경우가 많아 여성 영웅들은 신체적 특성상 활약할 일이 적었고 기록에 남아있는 극소수의 이름난 여성 영웅들도 전쟁에 참가해 남성 영웅 못지 않은 공을 세운 경우가 많았다.([[잔 다르크]] ) 그러나 이런 여성 영웅들은 당시 여성이 인간취급을 받지 못한 시대상 배척을 당하거나 기록에서 평가절하를 당하기도 했다.
단 주 소비자층이 남성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소년 만화]]나 히어로, 액션물 등지에서는 남자가 메인 캐릭터(주인공)인 경우가 많으며 여성 주연 인물은 이런 주인공의 연인 역이나 수동적으로 구해줘야 할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일본 미디어 매체물은 미소녀 연애 게임의 영향과 능동적인 스토리, 비중을 가진 여성 주조연이 없다보니 히로인의 의미가 변질되어서 '''주인공의 연인이거나 연애 플래그가 있는 여성 주조연/ 연애물에서 공략이 가능한 상대역 여성 인물'''을 일컫는 은어로 쓰이게 되었다.  이 영향으로 여성향 매체물에서는 여주인공의 상대역 남자, 남성 주조연을 히어로라고 일컫기 시작했다.


결론부터 언급하면 여성향 매체물의 등장하는 남성 캐릭터를 히어로라고 부를 수 없는 것처럼 소년만화를 비롯해 남성향 매체물에 나오는 여성 캐릭터는 절대 '''히로인으로 부를 없으며 히로인으로 불려야할 여성 캐릭터들을 재플리시 히로인으로 쓰는 것도 지양해야 할 일이다.'''
그러나 군인, 전투원으로 공을 세우는 것만 아니라 여성 지도자로서 국가를 이끈 경우나 독립 운동, 봉사 활동, 창작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삶을 알려 세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영웅적인 행동으로 볼 있으며 ([[나이팅게일]], [[마더 테레사]], [[오드리 헵번]], [[유관순]], [[엘리자베스 1세]], [[빅토리아 여왕]] 등) 미디어 매체물의 여성 영웅들도 초인적인 힘을 지녀 앞장 서서 싸우거나 카리스마와 호소력으로 주변에 큰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대개 일본매체물의 여성 캐릭터들은 설정만 그럴싸하지(투희, 엄친딸 및 알파걸) 스토리상 주인공급으로 입지가 큰 것도 아니고 영웅적인 면모조차 없기 때문이며 설령 전투적인 능력이 있다해도 남성 주인공하고 얽히면 심리적으로 약해지거나 휘둘리다가 끝내 수동적이고 평면적으로 구해지는 역할로 전락하게된다. 이 구해지는 플롯이 문제시되는건 구원(구출)이 여성 인물의 내적 성장과 위한 시련(사건)이 아니라 남성 주인공의 활약을 돋보이기 위한 장치로 많이 쓰이기 때문.<ref>참고 : [https://youtu.be/JiLO-dE3eyo 아니타 사키시안의 곤경에 빠진 처녀 1부 (한국어 자막)] </ref>  굳이 따지면 일본산 히로인 캐릭터들은 남성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켜줄 서비스성 여캐 내지는 남자 주인공의 여성 동료, 연인이라는 포지션의 조연 여캐라고 보는 것이 옳다.
== 여성 주인공 ==
주인공의 사전적 의미는 "'''이야기가 형성되는데 중심이 되는 인물'''"로 여성 주인공은 말그대로 성별이 여성인 주인공(주연)을 일컫는다.


히로인의 의미가 왜곡이 되는 바람에 연애 요소가 없는 작품이나 주인공과 연애 플래그가 없는 히로인을 주인공하고 이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페이크 히로인, 패배자로 칭하는 경우가 많아지거나 일본산 서브컬쳐가 중심인 커뮤니티와 [[나무위키]]등 엔하계 위키에서는 성별이 여성인 메인 주인공, 서브 주인공 인물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단지 주인공하고 (연애적으로) 인연이 있는 여성 인물들을 무조건 히로인이라고 부르거나 주인공하고 이어진 여성 인물을 진 히로인, 히로인으로 불려야 할 여성 캐릭터들은 단순히 주인공, 히로인이라 쓰고 세컨드 주인공을 덧붙여 쓰는 경우가 많다.
단 미소녀 연애 게임류나 연애물에서는 공략 가능한 여성 주연 캐릭터들을 본인들 루트의 여성 주인공이라는 의미로 히로인으로 표기했고, 일부 만화같은 경우에는 외부사정(주로 캐릭터의 인기 등)으로 여성 주인공이 중간에 바뀌거나 [[클리셰]] 깨기의 일환으로 주인공과 여성 주인공이 연애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때문에 《[[나루토]]》와 《[[블리치]]》는 어떤 여성 인물이 주인공하고 이어지는지를 주제로 히로인 논쟁이 매우 심각했다.
 
특히 고전작품과 일부 소년만화 등지에서는 "고전적 여성상(남성에게 순종적이거나 수동적인 면모를 지닌 여성)을 가진 여성 인물"이 여성 주인공 자리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았고, 시대상 여성 주연들이 스토리의 핵심이 되지 못하는 허울만 히로인인 경우가 많았으며, 주인공과 여성 주인공이 맺어지는 경우가 많아 일부에서는 남성 주인공과 결혼/연애로 이어지는 여성 인물을 히로인으로 칭하기도 했다.
 
한국 서브컬쳐 팬덤에서는 이 미연시와 일부 고전, 일본 미디어 매체물의 영향으로 이 여성 주인공을 의미하는 히로인의 의미가 왜곡되어서 '''1. 주인공의 연인(내지는 연인 플래그가 있는) 여성 주조연, 2. 수동적인 역할을 하는 여성 주연'''으로 쓰이게 되었으며 엔하계 위키, 일본 서브컬쳐 커뮤니티에서도 히로인을 오용하는 경우가 많다.


== 히로인의 세부 분류 ==
== 히로인의 세부 분류 ==
이하 히로인의 세부 분류는 본래 의미의 히로인이 아닌 일본 미디어 매체물의 히로인을 기준으로 서술되어있다.  
이하 히로인의 세부 분류는 본래 의미의 히로인이 아닌 의미가 변천된 히로인을 기준으로 서술되어있다.  


=== 메인 히로인 ===
=== 메인 히로인 ===
37번째 줄: 40번째 줄:
== 히로인인 등장인물 ==
== 히로인인 등장인물 ==
{{참조|분류:히로인}}
{{참조|분류:히로인}}
{{퍼온문서
|문서=영어 위키피디아 히어로 문서
|일부=yes
|퍼온곳=위키피디아
|퍼온곳주소=https://en.wikipedia.org/wiki/Hero
}}
{{퍼온문서
|문서=일본어어 위키피디아 히로인 문서
|일부=yes
|퍼온곳=위키피디아
|퍼온곳주소=https://ja.wikipedia.org/wiki/%E3%83%92%E3%83%AD%E3%82%A4%E3%83%B3
}}


[[분류:등장인물]]
[[분류:등장인물]]
[[분류:히로인| ]]
[[분류:히로인| ]]

2017년 9월 13일 (수) 18:02 판

틀:넘겨주기 있음 heroine / ヒロイン

히로인(헤로인)은 1. 영웅적인 여자, 여걸 / 2. (소설, 영화, 만화 등의) 여자 주인공 / 3. 영웅같은 여자를 일컫는 영단어이다.[1] 원래 발음은 헤로인에 가깝지만 한국에서는 마약 헤로인이 연상되기도 하고 일본 서브컬쳐의 영향을 깊게 받았기때문에 히로인(ヒロイン)이라고 쓰고 있다. 단 국립국어원에서 히로인의 표기를 인정하게 되었다.

여성 영웅

영미권에서는 남성 영웅을 히어로(Hero)로 쓰는 것처럼 히로인(heroine)은 히어로의 여성형으로 2번같은 경우는 메인 캐릭터(프로타고니스트)로 많이 쓴다.

신화, 고대사에서도 나왔다시피 과거 영웅들은 전쟁 등으로 이름을 날리는 경우가 많아 여성 영웅들은 신체적 특성상 활약할 일이 적었고 기록에 남아있는 극소수의 이름난 여성 영웅들도 전쟁에 참가해 남성 영웅 못지 않은 공을 세운 경우가 많았다.(잔 다르크 등) 그러나 이런 여성 영웅들은 당시 여성이 인간취급을 받지 못한 시대상 배척을 당하거나 기록에서 평가절하를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군인, 전투원으로 공을 세우는 것만 아니라 여성 지도자로서 국가를 이끈 경우나 독립 운동, 봉사 활동, 창작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삶을 알려 세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영웅적인 행동으로 볼 수 있으며 (나이팅게일, 마더 테레사, 오드리 헵번, 유관순, 엘리자베스 1세, 빅토리아 여왕 등) 미디어 매체물의 여성 영웅들도 초인적인 힘을 지녀 앞장 서서 싸우거나 카리스마와 호소력으로 주변에 큰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여성 주인공

주인공의 사전적 의미는 "이야기가 형성되는데 중심이 되는 인물"로 여성 주인공은 말그대로 성별이 여성인 주인공(주연)을 일컫는다.

단 미소녀 연애 게임류나 연애물에서는 공략 가능한 여성 주연 캐릭터들을 본인들 루트의 여성 주인공이라는 의미로 히로인으로 표기했고, 일부 만화같은 경우에는 외부사정(주로 캐릭터의 인기 등)으로 여성 주인공이 중간에 바뀌거나 클리셰 깨기의 일환으로 주인공과 여성 주인공이 연애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때문에 《나루토》와 《블리치》는 어떤 여성 인물이 주인공하고 이어지는지를 주제로 히로인 논쟁이 매우 심각했다.

특히 고전작품과 일부 소년만화 등지에서는 "고전적 여성상(남성에게 순종적이거나 수동적인 면모를 지닌 여성)을 가진 여성 인물"이 여성 주인공 자리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았고, 시대상 여성 주연들이 스토리의 핵심이 되지 못하는 허울만 히로인인 경우가 많았으며, 주인공과 여성 주인공이 맺어지는 경우가 많아 일부에서는 남성 주인공과 결혼/연애로 이어지는 여성 인물을 히로인으로 칭하기도 했다.

한국 서브컬쳐 팬덤에서는 이 미연시와 일부 고전, 일본 미디어 매체물의 영향으로 이 여성 주인공을 의미하는 히로인의 의미가 왜곡되어서 1. 주인공의 연인(내지는 연인 플래그가 있는) 여성 주조연, 2. 수동적인 역할을 하는 여성 주연으로 쓰이게 되었으며 엔하계 위키, 일본 서브컬쳐 커뮤니티에서도 히로인을 오용하는 경우가 많다.

히로인의 세부 분류

이하 히로인의 세부 분류는 본래 의미의 히로인이 아닌 의미가 변천된 히로인을 기준으로 서술되어있다.

메인 히로인

작품 속 스토리의 중심이자 이끌어나가는 여성 인물로 일반적인 여성 영웅/주인공이다. 남성이 주인공인 작품일 경우에는 작품 전개에 따라 본 스토리에서 중요한 여성 주연이자 장본인, 준 주인공(내지는 서브 주인공)급으로 나오기도 한다. 예전의 메인 히로인은 남성 주인공과 연애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클리셰들을 깨뜨리는 작품이 늘어남에 따라 남성 주인공하고 친구, 동료로만 남아 다른 남성 주조연하고 이어지거나 한술 더 떠서 연애 플래그조차 없는 메인 히로인이 늘어났다. 단 여성 주인공을 메인으로 내세웠거나 남성 주인공이 없는 단독인 작품은 메인 히로인보다는 여주라는 표현을 많이 쓰고 있다.

타이틀 히로인

작품의 타이틀, 간판을 장식하는 마스코트격인 여성 주연이다. 예전에는 메인 히로인이 타이틀 히로인도 겸하기도 했었지만 최근에는 캐릭터의 반전이나 러브라이브, 아이돌 마스터등 히로인들이 많은 작품들이 등장해 대표적인 여성 인물을 타이틀 히로인으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아졌다.

서브 히로인

서브 주인공의 여성 버전으로 히로인이 주인공과 이어지는 것처럼 서브 히로인도 서브 주인공과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서브라는 특성상 등장빈도와 비중 둘다 낮은 편이다. 단 서브 히로인이지만 주인공과 이어지는 히로인은 팬덤에서 진 히로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페이크 히로인

페이크 주인공에서 파생된 단어로 말그대로 가짜 히로인. 스토리상 비중이 있는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조연이거나 엑스트라, 악역인 여성 인물이거나 초반에 비중이 높았지만 갈수록 비중이 떨어져서 스토리의 중심이 못되거나 떨어져나가버린 여성 인물을 뜻하는 말이다. 반댓말은 진히로인.

진 히로인

페이크 히로인의 반댓말로 주인공과 이어지거나 메인 스토리의 진행에 있어서 복선, 반전 등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졌거나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메인 히로인을 뜻한다. 반전을 넣은 작품에서는 타이틀 히로인을 페이크 히로인으로 내세우고 진 히로인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대체적으로 진 히로인은 위치 특성상 남성 주인공인 작품과 연애 게임에 많은 편이다.

히로인인 등장인물

이 문서의 일부는 위키피디아영어 위키피디아 히어로 문서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이 문서의 일부는 위키피디아일본어어 위키피디아 히로인 문서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