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용: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자동차]]
*[[자동차]]
*[[SF]]
*[[SF]]
**[[로봇]]
**[[로봇물]]
***[[합체]]
***[[합체]]
==문제점 및 논란==
==문제점 및 논란==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 완구 시장이 남아용에 편중되어 있어서 [[레드오션]]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 완구 시장이 남아용에 편중되어 있어서 [[레드오션]]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이같이 남자아이를 과도하게 남성화하는 문화의 기저에는 [[여성혐오]]와 [[호모포비아]]가 자리잡고 있다는 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220085 전문가의 분석]이다.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소년만화]]
*[[소년만화]]
*[[여아용]]
*[[여아용]]
[[분류:장르]][[분류:장난감]]
[[분류:장르]][[분류:장난감]]

2017년 8월 20일 (일) 19:47 판

틀:넘겨주기 있음 틀:토막글

개요

남자 어린이를 대상으로 만든 컨텐츠를 말한다. 남성향의 저연령층 버전. 유아용 애니메이션과 함께 한국 애니메이션의 양대 장르다.

클리셰

문제점 및 논란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 완구 시장이 남아용에 편중되어 있어서 레드오션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이같이 남자아이를 과도하게 남성화하는 문화의 기저에는 여성혐오호모포비아가 자리잡고 있다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