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2014년형부터는 [[중문 (차량)|중문]] 뒤쪽 바닥 모양이 로우엔트리에서 로우플로어로 바뀌었다. 하지만 뒷바퀴 위에 있는 좌석에 올라 앉기가 불편해졌다.
2014년형부터는 [[중문 (차량)|중문]] 뒤쪽 바닥 모양이 로우엔트리에서 로우플로어로 바뀌었다. 하지만 뒷바퀴 위에 있는 좌석에 올라 앉기가 불편해졌다.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 때부터 CNG 모델만 있었지만 2017년에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48179&page=1&exception_mode=recommend 디젤 모델의 테스트카]가 나았다.
===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SE ===
===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SE ===
'''한국 저상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뻔했으나 손톱 밑 가시 규제로 인해 오래 가지 못한 비운의 차종'''
'''한국 저상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뻔했으나 손톱 밑 가시 규제로 인해 오래 가지 못한 비운의 차종'''

2017년 3월 22일 (수) 23:01 판

틀:넘겨주기 있음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의 후속 모델. 현대자동차도시형 대형 버스 차종이다. 약칭은 엔삭(NSAC).

공통 사항

2004년 11월에 처음 나왔다.

2008년에 페이스리프트를 했다. 차체 형상이 동글동글해졌으며, 전조등이 사각형에서 직각삼각형으로 바뀌고 뒷유리 모양이 직사각형에서 아랫변이 좁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바뀌고 앞유리 아래에 있던 쪽창이 없어졌다.

에어 서스펜션과 판 서스펜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1] 앞바퀴를 보면 가운데에 육각형 모양이 박혀 있으면 에어서스고 동그란 게 박혀있으면 판서스다.

2011년에는 이 모델의 CNG 하이브리드 버전인 현대 블루시티가 나왔다.

세부 차종

뉴 슈퍼 에어로시티

슈퍼 에어로시티의 후속. 2계단에다가 승객석에 낮은 계단 한 개가 추가된 고상버스 모델. 좌석형만 있으며 시외버스, 시내 좌석버스, 자가용으로 쓰인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L

슈퍼 에어로시티 L의 후속. 2계단 고상버스다. 우리나라 시내버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델이다. 꼬마버스 타요의 타요, 헬로 카봇의 카봇 세이버가 이 모델에서 따왔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SL

슈퍼 에어로시티 SL의 후속. 2계단 저상버스다. 2007년에 단종되었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의 후속. 초저상버스다.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 시절부터 있던 역방향 좌석은 2006년식부터 순방향으로 바뀌었다.

페이스리프트 이전에는 앞바퀴 휠하우스가 네모나게 생겼고 좌석없이 물건을 올려두는 공간으로만 만들었지만 페이스리프트 이후에는 휠하우스를 둥글게 만들고 그 위에 좌석이 생겼다. 하지만 좌석을 놓아도 앞바퀴 위 좌석과 그 뒤 좌석 사이에 죽은 공간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휠하우스가 뒤쪽까지 둥글어서 페이스리프트 이전처럼 물건을 올려두는 용도로 쓰지 못하고 소화기를 두는 용도로만 썼지만 2017년형부터는 선반이 생겨서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2014년형부터는 중문 뒤쪽 바닥 모양이 로우엔트리에서 로우플로어로 바뀌었다. 하지만 뒷바퀴 위에 있는 좌석에 올라 앉기가 불편해졌다.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 때부터 CNG 모델만 있었지만 2017년에 디젤 모델의 테스트카가 나았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SE

한국 저상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뻔했으나 손톱 밑 가시 규제로 인해 오래 가지 못한 비운의 차종

2008년 다른 차종을 페이스리프트할 때에 새로 출시된 초저상버스 모델. 흔히 SE 저상이라고 말한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은 후륜 차축을 저상 차축을 쓰지만 이 모델의 뒷바퀴 차축을 현대 유니버스의 차축을 썼고 고상버스와의 부품 호환성을 높였다. 하지만 차축을 저상 차축만 쓰도록 한 저상버스 표준모델에 관한 기준과 충돌하는 바람에 2010년에 단종되었다.

그냥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과 다르게 엔진룸 위에 좌석 한 줄을 추가해서 중문 뒤에 좌석수가 4개 더 많다. 또 뒷바퀴 휠하우스의 크기가 고상버스와 똑같은 수준으로 작다.

초저상버스의 가격과 유지비를 획기적으로 낮추고 공간 효율을 높여서 저상버스의 보급화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차종이였기 때문에 아쉬움이 남는 차종이다. 2014년 이후로 해당 규제가 삭제되었기 때문에 현재 재생산이 가능한 상태다. 과연 언제쯤?

각주

  1. 초저상과 초저상SE는 에어 서스펜션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