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인: 두 판 사이의 차이

11번째 줄: 11번째 줄:
단 주 소비자층이 남성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소년만화]]나 히어로, 액션물 등지에서는 남자가 메인 캐릭터(주인공)인 경우가 많으며 여성 주연 인물은 이런 주인공의 연인 역이나 수동적으로 구해줘야 할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단 주 소비자층이 남성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소년만화]]나 히어로, 액션물 등지에서는 남자가 메인 캐릭터(주인공)인 경우가 많으며 여성 주연 인물은 이런 주인공의 연인 역이나 수동적으로 구해줘야 할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다보니 일본 미디어 매체에서는 히로인의 의미가 변질되어서 '''주인공의 연인이거나 연애 플래그가 있는/ 비중이 높은 여성 주조연'''을 일컫는 은어로 쓰이게 되었다.  이 영향으로 여성향 매체물에서는 여주인공의 상대역 남자, 남성 주조연을 히어로라고 일컫기 시작했다.
이렇다보니 일본 미디어 매체에서는 히로인의 의미가 변질되어서 '''주인공의 연인이거나 연애 플래그가 있는/ 비중이 높은 여성 주조연/연애물에서 공략이 가능한 상대역 여성'''을 일컫는 은어로 쓰이게 되었다.  이 영향으로 여성향 매체물에서는 여주인공의 상대역 남자, 남성 주조연을 히어로라고 일컫기 시작했다.


이 왜곡된 의미때문에 연애 요소가 없는 작품이나 주인공과 연애 플래그가 없는 히로인을 주인공하고 이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페이크 히로인, 패배자로 칭하는 경우가 많아져 여덕을 포함한 일부 팬덤에서 히로인을 무조건 주인공(남성)의 연인, 들러리로 보는 것을 불쾌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이 왜곡된 의미때문에 연애 요소가 없는 작품이나 주인공과 연애 플래그가 없는 히로인을 주인공하고 이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페이크 히로인, 패배자로 칭하는 경우가 많아져 여덕을 포함한 일부 팬덤에서 히로인을 무조건 주인공(남성)의 연인, 들러리로 보는 것을 불쾌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2016년 9월 19일 (월) 15:21 판

틀:넘겨주기 있음 heroine / ヒロイン

개요

히로인(헤로인)은 1. 영웅적인 여자, 여걸 / 2. (소설, 영화, 만화 등의) 여자 주인공 / 3. 영웅같은 여자를 일컫는 영단어이다.[1] 원래 발음은 헤로인에 가깝지만 한국에서는 마약 헤로인이 연상되기도 하고 일본 서브컬쳐의 영향을 깊게 받았기때문에 히로인(ヒロイン)이라고 쓰고 있다. 단 국립국어원에서 히로인의 표기를 인정하게 되었다.

본래 의미

개요에서 언급되었다시피 히로인은 여성 영웅, 주인공을 의미하는 단어다보니 영어권에서는 DC 코믹스원더우먼슈퍼걸, 캣우먼을 비롯해 마블 코믹스진 그레이블랙 캣같은 여성 영웅과 소설, 영화, 만화 등지에서 여성 인물이 스토리를 이끌어나가고 핵심(바람 계곡의 나우시카의 나우시카, 공의 경계료우기 시키)인 경우, 즉 정말 여성인 주인공일 경우에만 히로인을 쓰고 있다.

저글리쉬 히로인

단 주 소비자층이 남성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소년만화나 히어로, 액션물 등지에서는 남자가 메인 캐릭터(주인공)인 경우가 많으며 여성 주연 인물은 이런 주인공의 연인 역이나 수동적으로 구해줘야 할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다보니 일본 미디어 매체에서는 히로인의 의미가 변질되어서 주인공의 연인이거나 연애 플래그가 있는/ 비중이 높은 여성 주조연/연애물에서 공략이 가능한 상대역 여성을 일컫는 은어로 쓰이게 되었다. 이 영향으로 여성향 매체물에서는 여주인공의 상대역 남자, 남성 주조연을 히어로라고 일컫기 시작했다.

이 왜곡된 의미때문에 연애 요소가 없는 작품이나 주인공과 연애 플래그가 없는 히로인을 주인공하고 이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페이크 히로인, 패배자로 칭하는 경우가 많아져 여덕을 포함한 일부 팬덤에서 히로인을 무조건 주인공(남성)의 연인, 들러리로 보는 것을 불쾌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히로인의 세부 분류

이하 히로인의 세부 분류는 본래 의미의 히로인이 아닌 일본 미디어 매체물의 히로인을 기준으로 서술되어있다.

메인 히로인

작품속 스토리의 중심이자 이끌어나가는 여성 인물로 일반적인 여성 주인공이다. 남성이 주인공인 작품일 경우에는 작품 전개에 따라 본스토리에서 중요한 여성 주연이자 장본인, 준 주인공(내지는 서브 주인공)급으로 나오기도 한다. 예전의 메인 히로인은 남성 주인공과 연애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클리셰들을 깨뜨리는 작품이 늘어남에 따라 남성 주인공하고 친구, 동료로만 남아 다른 남성 주조연하고 이어지거나 한술 더 떠서 연애 플래그조차 없는 메인 히로인이 늘어났다. 단 여성 주인공을 메인으로 내세웠거나 남성 주인공이 없는 단독인 작품은 메인 히로인보다는 여주라는 표현을 많이 쓰고 있다.

타이틀 히로인

작품의 타이틀, 간판을 장식하는 마스코트격인 여성 주연이다. 예전에는 메인 히로인이 타이틀 히로인도 겸하기도 했었지만 최근에는 캐릭터의 반전이나 러브라이브, 아이돌 마스터등 히로인들이 많은 작품들이 등장해 대표적인 여성 인물을 타이틀 히로인으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아졌다.

서브 히로인

서브 주인공의 여성 버전으로 히로인이 주인공과 이어지는 것처럼 서브 히로인도 서브 주인공과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서브라는 특성상 등장빈도와 비중 둘다 낮은 편이다. 단 서브 히로인이지만 주인공과 이어지는 히로인은 팬덤에서 진 히로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페이크 히로인

페이크 주인공에서 파생된 단어로 말그대로 가짜 히로인. 스토리상 비중이 있는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조연이거나 엑스트라, 악역인 여성 인물이거나 초반에 비중이 높았지만 갈수록 비중이 떨어져서 스토리의 중심이 못되거나 떨어져나가버린 여성 인물을 뜻하는 말이다. 반댓말은 진히로인.

진 히로인

페이크 히로인의 반댓말로 주인공과 이어지거나 메인 스토리의 진행에 있어서 복선, 반전 등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졌거나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메인 히로인을 뜻한다. 반전을 넣은 작품에서는 타이틀 히로인을 페이크 히로인으로 내세우고 진 히로인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대체적으로 진 히로인은 위치 특성상 남성 주인공인 작품과 연애 게임에 많은 편이다.

히로인인 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