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이름    = 강동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서울교통공사
|역명    = 강동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548|수도권|5}}
|그림설명 =  
|역코드  = '''AFC''' : 2549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
|주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
|개업일  = {{날짜/출력|1995-11-15}}
|번호    = {{역번호/한국|548|수도권|5}}
|폐지일  =
|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small>40.5 km</small><br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 <small>0.0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1995년]] [[11월 15일]]
|폐지일  =
|코드    = '''AFC''' : 2549
|승강장  = 2면 3선
|승강장  = 2면 3선
|운임구역 =  
|관련역  =  
|노선     = <nowiki />
|참고     =  
* [[서울 지하철 5호선]] <small>40.5 km</small>
|비고    =
*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 <small>0.0 km</small>
|하위 틀  =
}}
}}
{{+1|강동역}}<br />江東驛 / Gangdong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에 위치한 지하역. 이름은 [[강동구]]에서 따왔다.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에 위치한 지하역. 이름은 [[강동구]]에서 따왔다. 병기역명은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에서 따왔다. 출구는 4개이고 지하 4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역에서 상일동역가는 열차와 마천역가는 열차가 이 역을 끝으로 분기한다. 때문에 [[강동구]] 방면으로 갈 사람은 [[상일동역|상일동행]] 열차를, [[송파구]] 방면으로 갈 사람은 [[마천역|마천행]] 열차를 타야 한다. 5호선 특유의 Y자 분기로 인해 이 역 이후의 역들은 배차간격이 2배가 된다.. 기관사들도 대부분 강동역에 도착하면 "이 열차는 상일동행/마천행 열차입니다"라며 육성으로 안내방송을 해주는 편이다. {{ㅊ|그래도 모르는 사람들은 절대 모른다..}}
이 역에서 상일동 방면 본선과 마천 방면 지선이 분기하기 때문에 [[하남시]] 및 [[강동구]] 방면으로 갈 사람은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행]]([[상일동역|상일동행]]) 열차를, [[송파구]] 방면으로 갈 사람은 [[마천역|마천행]] 열차를 타야 한다. 5호선 특유의 Y자 분기로 인해 이 역 이후의 역들은 배차간격이 2배가 된다. 기관사들도 대부분 강동역에 도착하면 "이 열차는 하남검단산행(상일동행)/마천행 열차입니다"라며 육성으로 안내방송을 해주는 편이다. {{ㅊ|그래도 모르는 사람들은 절대 모른다..}}


== 역 구조 ==
== 역사 ==
* 1993년 5월 20일: 역명을 천호에서 '''강동'''으로 변경<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3052100329121008&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3-05-21&officeId=00032&pageNo=21&printNo=14764&publishType=00010 청와대주변 安家(안가) 철거지 地下鐵(지하철)7곳 이름확정], 경향신문</ref>
* 1995년 11월 15일: 5호선 [[왕십리역|왕십리]]~[[상일동역|상일동]]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1996년 3월 30일: 5호선 강동~[[마천역|마천]] 구간 개통
* [[2016년]] [[8월]]에 '''강동성심병원'''이라는 부역명이 추가됐었다. 그러나 계약이 종료되어 [[2019년]] [[8월]] 부역명이 사라졌다
 
== 시설 ==
2면 3선(1상대 1섬식)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길동역]](상일동역)에서 오는 열차와 [[둔촌동역]](마천역)에서 오는 열차가 섬식 승강장의 각각 선로에 정차한다.
2면 3선(1상대 1섬식)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길동역]](상일동역)에서 오는 열차와 [[둔촌동역]](마천역)에서 오는 열차가 섬식 승강장의 각각 선로에 정차한다.


31번째 줄: 38번째 줄:
이 역과 [[길동역]], [[둔촌동역]] 사이에 어마무시한 드리프트 구간이 있으며, 타다 보면 눈살이 찌푸려질 정도로 소음이 심각하다. 특히 [[마천역|마천행]] 열차를 타고 [[둔촌동역]]으로 향할 때 매우 시끄러운 편.
이 역과 [[길동역]], [[둔촌동역]] 사이에 어마무시한 드리프트 구간이 있으며, 타다 보면 눈살이 찌푸려질 정도로 소음이 심각하다. 특히 [[마천역|마천행]] 열차를 타고 [[둔촌동역]]으로 향할 때 매우 시끄러운 편.


참고로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가 없고 온통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밖에 없다. 물론 휠체어리프트는 구비되어 있지만, 유모차의 경우에는 직접 들고 올라가던지, 불가피한 상황일 경우 역무원을 호출하는 수밖에 없다.
참고로 노선이 분기되는 중요한 역임에도 불구하고 방화행 섬식 승강장에 엘리베이터가 없다. 마천행 승강장은 엘리베이터가 있으나 게이트 바깥쪽에 있어서 동선이 복잡하다. 그나마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것이 위안거리. 2024년 현재 방화행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를 준비하고 있다. 휠체어는 휠체어 리프트를 활용해야하고 유모차는 방법이 없으므로 들고 계단을 타던지, 역무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5호선]] [[천호역|천호]]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5호선]] [[천호역|천호]]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5호선'''  [[왕십리역|왕십리]] · [[광화문역|광화문]] · [[방화역|방화]]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5호선'''  [[왕십리역|왕십리]] · [[광화문역|광화문]] · [[방화역|방화]]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5호선]] [[천호역|천호]]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5호선]] [[천호역|천호]]
42번째 줄: 48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5호선]] [[길동역|길동]] / [[둔촌동역|둔촌동]]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5호선]] [[길동역|길동]] / [[둔촌동역|둔촌동]] →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5호선'''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 [[마천역|마천]]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5호선'''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 [[마천역|마천]] 방면
}}
}}
}}
}}
== 역사 ==
=== 연혁 ===
* [[1995년]] [[11월 15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96년]] [[3월 30일]] : 5호선 마천지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분기역으로 전환
* [[2016년]] [[8월]]에 '''강동성심병원'''이라는 부역명이 추가됐었다. 그러나 계약이 종료되어 [[2019년]] [[8월]] 부역명이 사라졌다.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주변에는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이 있다. 또한 길동사거리도 근처에 있어서 [[길동역]]의 역세권을 이 역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다. [[천호역]]과도 상당히 가까운 편이며, 강동역 앞에는 중앙 버스 환승 정류장이 있다.
주변에는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이 있다. 또한 길동사거리도 근처에 있어서 [[길동역]]의 역세권을 이 역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다. [[천호역]]과도 상당히 가까운 편이며, 강동역 앞에는 중앙 버스 환승 정류장이 있다. 그외 [[롯데리아]] 강동역점이 역근방에 위치한다.


== 연계 교통 ==
== 경유 열차 ==
=== 수도권 전철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경유 계통|전합치기=2|전방면=[[방화역|방화]] 방면|전역={{역번호/한국|547|수도권|5}} [[천호역|천호]]|전거리=0.8 km
{{경유 계통|전합치기=2|전방면=[[방화역|방화]] 방면|전역={{역번호/한국|547|수도권|5}} [[천호역|천호]]|전거리=0.8 km
|합치기=2|당역={{역번호/한국|548|수도권|5}} '''강동'''
|합치기=2|당역={{역번호/한국|548|수도권|5}} '''강동'''
|후방면=[[하남풍산역|하남풍산]] 방면|후역={{역번호/한국|549|수도권|5}} [[길동역|길동]]|후거리=0.9 km}}
|후방면=[[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방면|후역={{역번호/한국|549|수도권|5}} [[길동역|길동]]|후거리=0.9 km}}
{{경유 계통/전생략|
{{경유 계통/전생략|
|후방면=[[마천역|마천]] 방면|후역={{역번호/한국|P549|수도권|5}} [[둔촌동역|둔촌동]]|후거리=1.2 km}}
|후방면=[[마천역|마천]] 방면|후역={{역번호/한국|P549|수도권|5}} [[둔촌동역|둔촌동]]|후거리=1.2 km}}
89번째 줄: 88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서울 지하철 5호선]]
[[분류:서울 도시철도 5호선]]
[[분류:강동서비스안전센터]]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마천지선]]
[[분류:서울 강동구의 철도역]]

2024년 1월 19일 (금) 00:13 기준 최신판

강동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
번호  548 
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40.5 km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 0.0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95년 11월 15일
코드 AFC : 2549
승강장 2면 3선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에 위치한 지하역. 이름은 강동구에서 따왔다.

이 역에서 상일동 방면 본선과 마천 방면 지선이 분기하기 때문에 하남시강동구 방면으로 갈 사람은 하남검단산행(상일동행) 열차를, 송파구 방면으로 갈 사람은 마천행 열차를 타야 한다. 5호선 특유의 Y자 분기로 인해 이 역 이후의 역들은 배차간격이 2배가 된다. 기관사들도 대부분 강동역에 도착하면 "이 열차는 하남검단산행(상일동행)/마천행 열차입니다"라며 육성으로 안내방송을 해주는 편이다. 그래도 모르는 사람들은 절대 모른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93년 5월 20일: 역명을 천호에서 강동으로 변경[1]
  • 1995년 11월 15일: 5호선 왕십리~상일동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1996년 3월 30일: 5호선 강동~마천 구간 개통
  • 2016년 8월강동성심병원이라는 부역명이 추가됐었다. 그러나 계약이 종료되어 2019년 8월 부역명이 사라졌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3선(1상대 1섬식)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길동역(상일동역)에서 오는 열차와 둔촌동역(마천역)에서 오는 열차가 섬식 승강장의 각각 선로에 정차한다.

길동역/둔촌동역에서 오는 열차는 이 역에 진입하기 전에 입체교차를 한다.(길동역에서 오는 선로가 위)

이 역과 길동역, 둔촌동역 사이에 어마무시한 드리프트 구간이 있으며, 타다 보면 눈살이 찌푸려질 정도로 소음이 심각하다. 특히 마천행 열차를 타고 둔촌동역으로 향할 때 매우 시끄러운 편.

참고로 노선이 분기되는 중요한 역임에도 불구하고 방화행 섬식 승강장에 엘리베이터가 없다. 마천행 승강장은 엘리베이터가 있으나 게이트 바깥쪽에 있어서 동선이 복잡하다. 그나마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것이 위안거리. 2024년 현재 방화행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를 준비하고 있다. 휠체어는 휠체어 리프트를 활용해야하고 유모차는 방법이 없으므로 들고 계단을 타던지, 역무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주변에는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이 있다. 또한 길동사거리도 근처에 있어서 길동역의 역세권을 이 역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다. 천호역과도 상당히 가까운 편이며, 강동역 앞에는 중앙 버스 환승 정류장이 있다. 그외 롯데리아 강동역점이 역근방에 위치한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5호선
방화 방면
 547  천호
 548  강동 하남검단산 방면
 549  길동
마천 방면
 P549  둔촌동

버스 노선[편집 | 원본 편집]

  • 서울 버스 130
  • 서울 버스 341
  • 서울 버스 342
  • 서울 버스 370
  • 서울 버스 3214
  • 서울 버스 3316
  • 서울 심야 버스 N30
  • 경기 버스 1-4
  • 경기 버스 23
  • 경기 버스 30-3
  • 경기 버스 112
  • 경기 버스 112-1
  • 경기 버스 112-5
  • 경기 광역 버스 1113
  • 경기 광역 버스 1113-1
  • 경기 광역 버스 1113-2
  • 경기 광역 버스 9301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