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전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태백선 {{철도역 정보 |역명 = 추전역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추전역.JPG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설명2 = |동영상 = |동영상...)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4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태백선]]
{{철도역 정보
{{철도역 정보
|이름    = 추전
|역명 = 추전역
|원어이름 =  
|배경색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글자색   = white
|그림 = 추전역.JPG
|그림     = 추전역.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alt  =  
|그림설명2 =
|주소    = [[강원도]] [[태백시]] 영월읍 싸리밭길 47-63<br />(화전동 산12-2)
|동영상 =  
|번호    =  
|동영상설명 =  
|노선    = [[태백선]] <small>89.4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 1973년 10월 16일
|폐지일  =
|코드    = 449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태백선]] 제천 기점 89.4km거리에 위치한 역으로 해발 855m고지 위에 자리하고 있는 산악철도 구간의 역이다. 참고로 이 역이 위치한 고도인 해발 855m는 대한민국(남한)지역에서 가장 높은 높이에 위치해 있는 역이다. 때문에 일부 관광객들이 기념삼아 찾는 곳이기도 한다.


|관할 = [[한국철도공사]]
[[파일:추전역 탄차.JPG|섬네일|추전역에 전시중인 동원탄전 갱도용 탄차]]
|개업일 =
정규 여객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고 하여서 이 역이 기능하지 않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참고로 이 역의 등급은 [[보통역]]에 해당하는데 기본적인 교행 기능만으로는 절대로 보통역에 해당할 수 없는 역이다. 그럼에도 이 역이 해당 지위를 유지하는 이유는 바로 옆 동원탄전에서 나오는 [[무연탄]] 물량의 처리에 있다. 이 때문에 상당한 높이의 고지대임에도 불구하고 승강장쪽 3개 선로 이외에도 역 구내 선로가 상당히 많이 분기하는 편이며, 바로 옆에 무연탄 처리시설까지 갖춰놓고 있는 역이다.
|폐지일 =
|종별 = 3등급
|등급 = [[보통역]]
|소재지 = [[강원도]] [[태백시]] 싸리밭길 47-63


|노선1 = [[태백선]]
현재는 무연탄의 철도수송은 폐지된 듯 하지만, 인접한 [[고한역]][[태백역]]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멀어 화물열차 등의 운행상 교행 및 대피 취급을 할 장소가 필요한 점, 또한 30퍼밀을 오가는 급구배와 5km쯤 되는 장대터널(정암터널)을 끼고 있어서 운행 중의 장애, 고장 대응차원에서 상당히 요지에 위치해 있어서 직원이 상시 배치되어 있다.
|역번호1 =
|배경색1 =
|글자색1 =
|전방면1 = [[제천역|제천]]
|전역1 = [[고한역]]
|전거리1 = 9.0
|전역번호1 =
|후방면1 = [[동백산역|동백산]]
|후역1 = [[태백역]]
|후거리1 = 6.0
|후역번호1 =
}}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철도역
==개요==
[[태백선]] 제천 기점 89.4km거리에 위치한 역으로 해발 855m고지 위에 자리하고 있는 산악철도 구간의 역이다. 참고로 이 역이 위치한 고도인 해발 855m는 대한민구(남한)지역에서 가장 높은 높이에 위치해 있는 역이다.


==승강장==
==승강장==
2면 3선의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다만 정규 여객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고 [[O-train]]을 비롯한 [[태백선]]을 경유하는 일부 관광열차{{ㅈ|겨울철 눈꽃관광열차가 이 역에 정차한다. [[해랑]]열차는 태백선을 경유하지만 정차는 하지 않는다.}}들이  이 추전역에 거의 단골손님으로 정차를 하고 사람들을 내려놓는다.
2면 3선의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다만 정규 여객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고 환상선눈꽃순환열차 같은 전세열차들이 한번씩 정차한다. [[중부내륙순환열차]]가 순환하던 때는 정기적으로 정차했는 데, 노선 개편 이후 태백선 구간 운행이 폐지되면서 정기 영업은 없어졌다.
[[파일:추전역 탄차.JPG|섬네일|추전역에 전시중인 동원탄전 갱도용 탄차]]
 
==영업 현황==
== 경유 노선 ==
정규 여객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고 하여서 이 역이 기능하지 않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참고로 이 역의 등급은 [[보통역]]에 해당하는데 기본적인 교행 기능만으로는 절대로 보통역에 해당할 수 없는 역이다. 그럼에도 이 역이 해당 지위를 유지하는 이유는 바로 옆 동원탄전에서 나오는 [[무연탄]] 물량의 처리에 있다. 이 때문에 상당한 높이의 고지대임에도 불구하고 승강장쪽 3개 선로 이외에도 역 구내 선로가 상당히 많이 분기하는 편이며, 바로 옆에 무연탄 처리시설까지 갖춰놓고 있는 역이다.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15 [[태백선]]|노선거리=89.4 km
|전방면=[[제천역|제천]] 방면|전역=[[고한역|고한]]|전거리=9.0 km
|당역='''추전'''
|후방면=[[백산역|백산]] 방면|후역=[[태백역|태백]]|후거리=6.0 km}}
{{경유 노선/닫기}}


{{주석}}
{{주석}}
[[분류:태백선]]
[[분류: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7.19990275096573|128.94951581954956|12|추전역}}

2023년 9월 19일 (화) 11:21 기준 최신판

추전
주소 강원도 태백시 영월읍 싸리밭길 47-63
(화전동 산12-2)
노선 태백선 89.4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1973년 10월 16일
코드 449

태백선 제천 기점 89.4km거리에 위치한 역으로 해발 855m고지 위에 자리하고 있는 산악철도 구간의 역이다. 참고로 이 역이 위치한 고도인 해발 855m는 대한민국(남한)지역에서 가장 높은 높이에 위치해 있는 역이다. 때문에 일부 관광객들이 기념삼아 찾는 곳이기도 한다.

추전역에 전시중인 동원탄전 갱도용 탄차

정규 여객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고 하여서 이 역이 기능하지 않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참고로 이 역의 등급은 보통역에 해당하는데 기본적인 교행 기능만으로는 절대로 보통역에 해당할 수 없는 역이다. 그럼에도 이 역이 해당 지위를 유지하는 이유는 바로 옆 동원탄전에서 나오는 무연탄 물량의 처리에 있다. 이 때문에 상당한 높이의 고지대임에도 불구하고 승강장쪽 3개 선로 이외에도 역 구내 선로가 상당히 많이 분기하는 편이며, 바로 옆에 무연탄 처리시설까지 갖춰놓고 있는 역이다.

현재는 무연탄의 철도수송은 폐지된 듯 하지만, 인접한 고한역태백역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멀어 화물열차 등의 운행상 교행 및 대피 취급을 할 장소가 필요한 점, 또한 30퍼밀을 오가는 급구배와 5km쯤 되는 장대터널(정암터널)을 끼고 있어서 운행 중의 장애, 고장 대응차원에서 상당히 요지에 위치해 있어서 직원이 상시 배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 원본 편집]

2면 3선의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다만 정규 여객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고 환상선눈꽃순환열차 같은 전세열차들이 한번씩 정차한다. 중부내륙순환열차가 순환하던 때는 정기적으로 정차했는 데, 노선 개편 이후 태백선 구간 운행이 폐지되면서 정기 영업은 없어졌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제천 방면
고한 9.0 km
추전 백산 방면
태백 6.0 km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