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원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安元必.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1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74년생이며, 전라북도 용담군 이동면 내유곡리(현재 전...)
 
잔글 (연도별 출생 제거 봇)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安元必.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1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安元必.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1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 생애 ==
1874년생이며, 전라북도 용담군 이동면 내유곡리(현재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출신이다. 그는 1909년경 [[문태수]] 의병장의 부대에 가담하여 전북 장수군 계북면 문성동 뒤의 덕유산을 근거지로 활동했다. 1909년 5월 5일밤부터 고원중(高元仲)·원도숙(元道淑)·고명주(高明柱)·김준대(金俊大)·신치수(辛致守)·안왈오(安曰五)·심우상(沈尤相)·조경화(趙京化)·하준태(河俊太)·한청여(韓淸汝)·성문오(成文五)·성재홍(成在洪)·성준문(成俊文)·김경선(金京先)·박창선(朴昌先) 등 200여 의병과 함께 장수 일대에서 활동했다.
1874년생이며, 전라북도 용담군 이동면 내유곡리(현재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출신이다. 그는 1909년경 [[문태수]] 의병장의 부대에 가담하여 전북 장수군 계북면 문성동 뒤의 덕유산을 근거지로 활동했다. 1909년 5월 5일밤부터 [[고원중]](高元仲)·원도숙(元道淑)·[[고명주]](高明柱)·김준대(金俊大)·신치수(辛致守)·안왈오(安曰五)·심우상(沈尤相)·조경화(趙京化)·하준태(河俊太)·한청여(韓淸汝)·[[성문오]](成文五)·[[성재홍]](成在洪)·성준문(成俊文)·김경선(金京先)·박창선(朴昌先) 등 200여 의병과 함께 장수 일대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1909년 9월 20일 체포되어 폭동죄로 기소되었고, 1909년 10월 8일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태형 100도를 선고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297&evntId=0034989608&evntdowngbn=Y&indpnId=0000020765&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그러나 1909년 9월 20일 체포되어 폭동죄로 기소되었고, 1909년 10월 8일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태형 100도를 선고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297&evntId=0034989608&evntdowngbn=Y&indpnId=0000020765&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분류:대통령표창 수훈자]]
[[분류:대통령표창 수훈자]]
[[분류:진안군 출신]]
[[분류:진안군 출신]]
[[분류:1874년 출생]]

2023년 8월 24일 (목) 11:11 기준 최신판

安元必.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1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1874년생이며, 전라북도 용담군 이동면 내유곡리(현재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신송리) 출신이다. 그는 1909년경 문태수 의병장의 부대에 가담하여 전북 장수군 계북면 문성동 뒤의 덕유산을 근거지로 활동했다. 1909년 5월 5일밤부터 고원중(高元仲)·원도숙(元道淑)·고명주(高明柱)·김준대(金俊大)·신치수(辛致守)·안왈오(安曰五)·심우상(沈尤相)·조경화(趙京化)·하준태(河俊太)·한청여(韓淸汝)·성문오(成文五)·성재홍(成在洪)·성준문(成俊文)·김경선(金京先)·박창선(朴昌先) 등 200여 의병과 함께 장수 일대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1909년 9월 20일 체포되어 폭동죄로 기소되었고, 1909년 10월 8일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태형 100도를 선고받았다.[1]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3년 안원필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