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 1회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File|file): +[[파일:))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승차권]]
[[분류:승차권]]
'''RF 1회권'''은 도시철도·광역철도에서 RFID 기술을 이용하는 승차권 중 [[교통카드]]를 제외한 [[보통승차권]]의 총칭이다. [[부산 도시철도]]를 제외한 한국 도시철도들은 종이승차권을 버리고 RF권으로 전환했다. 수집 등으로 무단반출돼 골머리를 앓고 있다<ref>[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70220000361 6600개 증발 '동해선 승차권' 어디 갔나 했더니], 부산일보, 2017.02.20.</ref>.
'''RF 1회권'''은 도시철도·광역철도에서 RFID 기술을 이용하는 승차권 중 [[교통카드]]를 제외한 [[보통승차권]]의 총칭이다. [[부산 도시철도]]를 제외한 한국 도시철도들은 종이승차권을 버리고 RF권으로 전환했다. 수집 등으로 무단반출돼 골머리를 앓고 있다<ref>[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70220000361 6600개 증발 '동해선 승차권' 어디 갔나 했더니], 부산일보, 2017.02.20.</ref>.
* 토큰형 RF 1회권 [[파일:부김1회권.jpg|thumb]]
* 토큰형 RF 1회권 [[파일:부김1회권.jpg|thumb]]
*: 2003년 [[광주 도시철도]]를 시작으로 [[대구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등에서 채택한 종이승차권의 대체재. 토큰형 RF권은 입장할 때는 교통카드처럼 찍고, 나갈 때는 교통카드 태그영역 옆에 있는 토큰 투입구에 넣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 2003년 [[광주 도시철도]]를 시작으로 [[대구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등에서 채택한 종이승차권의 대체재. 토큰형 RF권은 입장할 때는 교통카드처럼 찍고, 나갈 때는 교통카드 태그영역 옆에 있는 토큰 투입구에 넣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 운영 입장에서는 개집표기 유지보수 소요가 생기나, 이용자 입장에서는 기존 종이승차권처럼 사용할 수 있어 직관적이다. 도입 초기에는 잦은 에러 등으로 인해 우려가 컸으나, 수도권 전철이 보증금 받는 1회용 교통카드로 돌아선 이후에는 오히려 이쪽이 선진 문물로 취급되고 있다.
*: 운영 입장에서는 개집표기 유지보수 소요가 생기나, 이용자 입장에서는 기존 종이승차권처럼 사용할 수 있어 직관적이다. 도입 초기에는 잦은 에러 등으로 인해 우려가 컸으나, 수도권 전철이 보증금 받는 1회용 교통카드로 돌아선 이후에는 오히려 이쪽이 선진 문물로 취급되고 있다.
{{-}}
{{-}}
* 카드형 RF 1회권 (1회용 교통카드) [[File:Kjh38000 10536.jpg|thumb]]
* 카드형 RF 1회권 (1회용 교통카드) [[파일:Kjh38000 10536.jpg|thumb]]
*: 2009년 [[수도권 전철]]에서 기존의 [[자성승차권]] 체제를 버리고 차세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채택한 방식이다. 발권부터 하차까지는 일반 교통카드와 동일하나, 하차 후 보증금 환급기에 반납해야 한다.
*: 2009년 [[수도권 전철]]에서 기존의 [[자성승차권]] 체제를 버리고 차세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채택한 방식이다. 발권부터 하차까지는 일반 교통카드와 동일하나, 하차 후 보증금 환급기에 반납해야 한다.
*: 발매기만 조금 고생하면 [[역무 자동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자동 개집표기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어 비용절감에 유리하나, 이용자 입장에서는 요금 계산할 때 보증금을 내야 하니 괜히 500원 더 내는 거 같고, 나갈 때 반납하지 않으면 보증금을 고스란히 날리니 불편하다.
*: 발매기만 조금 고생하면 [[역무 자동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자동 개집표기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어 비용절감에 유리하나, 이용자 입장에서는 요금 계산할 때 보증금을 내야 하니 괜히 500원 더 내는 거 같고, 나갈 때 반납하지 않으면 보증금을 고스란히 날리니 불편하다.
{{-}}
{{각주}}
{{각주}}

2022년 8월 28일 (일) 23:50 기준 최신판

RF 1회권은 도시철도·광역철도에서 RFID 기술을 이용하는 승차권 중 교통카드를 제외한 보통승차권의 총칭이다. 부산 도시철도를 제외한 한국 도시철도들은 종이승차권을 버리고 RF권으로 전환했다. 수집 등으로 무단반출돼 골머리를 앓고 있다[1].

  • 토큰형 RF 1회권
    부김1회권.jpg
    2003년 광주 도시철도를 시작으로 대구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등에서 채택한 종이승차권의 대체재. 토큰형 RF권은 입장할 때는 교통카드처럼 찍고, 나갈 때는 교통카드 태그영역 옆에 있는 토큰 투입구에 넣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운영 입장에서는 개집표기 유지보수 소요가 생기나, 이용자 입장에서는 기존 종이승차권처럼 사용할 수 있어 직관적이다. 도입 초기에는 잦은 에러 등으로 인해 우려가 컸으나, 수도권 전철이 보증금 받는 1회용 교통카드로 돌아선 이후에는 오히려 이쪽이 선진 문물로 취급되고 있다.
  • 카드형 RF 1회권 (1회용 교통카드)
    Kjh38000 10536.jpg
    2009년 수도권 전철에서 기존의 자성승차권 체제를 버리고 차세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채택한 방식이다. 발권부터 하차까지는 일반 교통카드와 동일하나, 하차 후 보증금 환급기에 반납해야 한다.
    발매기만 조금 고생하면 역무 자동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자동 개집표기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어 비용절감에 유리하나, 이용자 입장에서는 요금 계산할 때 보증금을 내야 하니 괜히 500원 더 내는 거 같고, 나갈 때 반납하지 않으면 보증금을 고스란히 날리니 불편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