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발도등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br> +<br />))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등대 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등대
{{등대 정보
|명칭=비발도등대
|등대이름 = 비발도등대
|그림=비발도등대.jpg
|원어이름 =
|그림설명=북한에서 발행한 비발도등대 우표
|그림     = [[파일:비발도등대.jpg|150px]]
|번호=3916 / M4132
|그림설명 = 북한에서 발행한 비발도등대 우표
|위치=[[평안남도]] [[남포시]]
|번호     = 3916 / M4132
|경위도=38°43′23.5″N<br />125°24′29″E
|위치     = [[평안남도]] [[남포시]]
|인접항구=[[남포항]]
|경위도   = 38°43′23.5″N 125°24′29″E
|등고=26m
|등고     = 26m
|높이=11m
|높이     = 11m
|점등일자={{날짜/출력|1909}}
|관할기관 =
|광파표지/광달거리=6초 1백섬광 / 4해리
|점등일자 = [[1909년]]
|음파표지/음달거리=
|광파표지 = 6초 1백섬광 / 4해리
|전파표지/통달거리/주파수=
|음파표지 =  
|관할기관=
|전파표지 =  
|비고    =
|하위 틀  =  
}}
}}
[[파일:비발도등대2.JPG|섬네일|건립 당시의 비발도등대 모습]]
[[파일:비발도등대2.JPG|섬네일|건립 당시의 비발도등대 모습]]
22번째 줄: 24번째 줄:
{{주석}}
{{주석}}
{{북한의 등대}}
{{북한의 등대}}
{{리브레 맵스 마커|38.72319444444440|125.40805555555600|10|비발도등대}}

2022년 4월 10일 (일) 18:07 기준 최신판

비발도등대
비발도등대.jpg
북한에서 발행한 비발도등대 우표
등대 정보
번호 3916 / M4132
위치 평안남도 남포시
38°43′23.5″N 125°24′29″E
등고 26m
높이 11m
점등일자 1909년
광파표지 6초 1백섬광 / 4해리
건립 당시의 비발도등대 모습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평안남도 남포시남포항 바로 앞에 위치한 등대로 원래 비발도는 과거 진남포항이라 불리던 대동강 하류의 포구로 등대가 세워지던 당시만 하여도 이 등대는 육지와는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작은 바위섬이었으나 남포항이 확장되면서 남포항의 부두와 연결이 되면서 남포항의 부두 가운데쯤에 위치하게 되었다. . 처음 세워지던 당시에는 진남포등대로 불렸다. 이 등대는 등탑의 모양이 좀 특이한데 하부는 백색 6각의 콘크리트조의 기단을 두고 위쪽에는 원통형의 몸체 위에 철로 된 망대형으로 등탑을 올린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은 건립 당시부터 있었던 모양으로 북한에서 발행한 우표에 찍혀있는 모습을 보아도 당시의 모습에서 크게 달라지거나 한 것은 없는 형상이다. 등명기는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의 무인등대의 소형 등명기가 대략 8해리 정도 거리까지를 명목통달거리인 것에 비해 이 등대는 일반적인 남한의 무인등대보다 높이는 두 배 이상 높은 주제에 정작 등광의 명목통달거리는 그 절반인 4해리 수준에 불과하여 등대에 대한 투자가 그다지 좋은 상황이 아님을 짐작하게 해 준다.(하기사 북한의 기간시설들 중 상황이 좋은게 딱히 뭐가 있겠나 싶지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