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

K03180417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9월 18일 (화) 17:41 판 (→‎교육)

틀:기초자치단체 여수시(麗水市 / Yeosu city)는 대한민국전라남도 동남부에 있는 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지형이다. 육지로는 북쪽에 순천시 해룡면과 맞닿으며 바다로는 서쪽에 고흥군, 북쪽에 광양시, 동쪽에 경상남도 남해군이 있다. 그 외에도 보성군 벌교읍의 장도가 여자도에서 가까우며, 삼산면까지 보면 완도군도 이웃해있다[1].

역사

선사시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돌산, 화장동, 미평동 등에 고인돌 유적이 있다.
삼국시대
백제와 가야가 차지했던 지역으로 백제의 국력에 따라 대가야가 여수로 진출하기도 했고 백제가 차지하기도 했다. 1990년대 죽림지구개발 때에 가야 유적이 대거 출토되었었다. 백제시대에 이 지역의 지명은 원촌현과 돌산현.
통일신라시대에 승평군(현재의 순천 지역)에 소속되었으며 해읍현, 여산현이란 이름이 붙었다.
고려
여전히 순천부의 속현이었으며 이름이 여수현과 돌산현이 되었다.
조선
  • 1397년 여수현이 폐현되었다.
  • 1896년 여수의 섬과 흥양(현 고흥), 광양, 낙안(현 순천 서부와 벌교)의 섬들을 모아 돌산군을 신설했다.
  • 1897년 여수군이 신설되었다.
일제강점기
  • 1914년 돌산군을 폐군하여 다른 지역에 속했던 섬들을 제자리에 돌려놓고 여수지역 섬들은 여수군에 편입했다.
  • 1931년 여수면이 여수읍으로 승격되었다.
광복 이후
다른 도농복합시들은 대부분 2개 지지체가 통합했지만, 여수시는 여수시와 여천시가 차례로 분리독립하면서 3개 지방자치단체가 되었다가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그런 사례로는 경기도 평택시가 있다[2]
  • 1949년 여수읍이 여수시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이 여천군으로 분리되었다.
  • 1973년 여천군 돌산면 경호리(경도와 주변 섬들)가 여수시로 편입, 경호동이 신설되었다.
  • 1976년 삼일면(후에 삼일읍으로 승격, 현 삼일동, 묘도동)과 쌍봉면(현 쌍봉동, 여천동, 주삼동, 둔덕동, 시전동)을 관할하는 여천지구 출장소가 신설되었다.
  • 1980년 돌산면이 돌산읍으로, 삼일면(현 삼일동, 묘도동)이 삼일읍으로 승격되었다.
  • 1986년 여천지구 출장소(삼일읍, 쌍봉면)가 여천시로 승격되었다.
  • 1998년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이 여수시로 통합했다.[3]
  • 2012년 엑스포를 개최하였다.

행정구역

6면 1읍 20동으로 이루어져있는 도농복합시이다. 2018년 6월 기준 인구는 약 28만 5천명이며,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출되고 있다. 리즈시절에는 33만명대까지도 기록했으나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30만대가 붕괴되고 계속적으로 감소하여 28만명대에 있다.

교육

교육지원청은 관문동에 있다.

중학교

구 여수시 지역과 구 여천시 지역을 구분한다(1학군, 2학군). 초등학교를 여수에서 졸업했으면 여수에 있는 중학교로 가게 된다. 물론 여천에 거주하고 있으면 여천으로 전학갈 수 있다.

구 여수시 지역

  • 남녀 공학
    • 여수문수중학교 (문수동)
  • 남자중학교
    • 여수구봉중학교 (국동)
    • 여수종고중학교 (동산동)
    • 여수중학교 (공화동)
    • 충덕중학교 (덕충동)
  • 여자중학교
    • 여수여자중학교 (관문동)
    • 여수중앙여자중학교 (덕충동)
    • 진남여자중학교 (미평동)
    • 진성여자중학교 (봉강동)

여천시 지역

여수와 달리 모두 남녀 공학 중학교이다.

  • 무선중학교 (화장동)
  • 안산중학교 (안산동)
  • 여선중학교 (선원동)
  • 여수웅천중학교 (웅천동)
  • 여천중학교 (선원동)
  • 여도중학교 (봉계동)

구 여천군 지역

  • 거문중학교 (삼산면)
  • 거문중학교 초도분교장 (삼산면)
  • 돌산중앙중학교 (돌산읍)
  • 돌산중학교 (돌산읍)
  • 여남중학교 (남면)
  • 여남중학교 안도분교장 (남면)
  • 여남중학교 화태분교장 (남면)
  • 여수개도중학교 (화정면)
  • 여수삼일중학교 (소라면)
  • 여양중학교 (소라면)
  • 율촌중학교 (율촌면)
  • 화양중학교 (화양면)
  • 화양중학교 화양남분교장 (화양면)

고등학교

동지역은 고교 평준화 지역이다. 전남에서 목포시, 순천시 동지역과 함께 얼마되지 않는 평준화 지역이다. 그래서 동 지역에 사는 학생들이 여양고나 화양고, 여남고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 평준화 이전에는 여수고와 여수여고가 강세였으며, 평준화 이후에는 한영고가 강세이다. 종종 더 나은 성적을 받기 위해 충무고로 진학하는 경우가 있는데 어차피 평준화 지역이라 별 의미는 없다. 반면 시내와 떨어져 있고 고등학교가 없는 율촌면에서는 순천으로 진학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가끔 벌교까지 가기도 한다.

평준화 지역

  • 여수석유화학고등학교 (화장동) (남녀공학, 마이스터고교)
  • 부영여자고등학교 (안산동) (여고, 일반고교)
  • 여수고등학교 (수정동) (남고, 일반고교)
  • 여수여자고등학교 (관문동) (여고, 일반고교)
  • 여수중앙여자중학교 (덕충동) (여고, 일반고교)
  • 여수진성여자중학교 (봉강동) (여고)
  • 여수충무고등학교 (미평동) (남녀공학, 일반고교)
  • 여천고등학교 (선원동) (남고, 일반고교)
  • 한영고등학교 (여서동) (남고, 일반고교)
  • 여수공업고등학교 (동산동) (남녀공학, 특성화고교)
  •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문수동) (남녀공학, 특성화고교)

비평준화 지역

  • 여남고등학교 (남면) (남녀공학, 일반고교)
  • 여수화양고등학교 (화양면) (남녀공학, 일반고교)
  • 여양고등학교 (소라면) (남녀공학, 일반고교)
  •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돌산읍) (남녀공학, 특성화고교)

대학

시립도서관

  • 현암도서관 (덕충동)
  • 환경도서관 (문수동)
  • 쌍봉도서관 (학동)
  • 돌산도서관 (돌산읍 우두리)
  • 소라도서관 (소라면 덕양리)
  • 율촌도서관 (율촌면 조화리)

시립도서관은 아니지만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의 도서관 자료실을 일반 시민에게도 개방한다.

교통

철도

여수엑스포역전라선의 종점이다. 엑스포역이 두단식승강장인 이유이다. 여천 지역에는 여천역이 있다. 여천역까지는 복선이지만 여천역~여수엑스포역은 단선이다.

그 외 여객 취급을 하지 않는 덕양역, 전라선 지선인 여천선에 흥국사역, 적량역이 있다.

폐역으로는 (구)율촌역, 미평역, 만성역이 있으며 전라선 철도가 이전하면서 폐역이 되었다. 만성역쪽 기차 길은 진작에 여수해양레일바이크 노선으로 만들어 관광지로 써먹고 있으며 최근들어 구 기차 길을 산책로 및 자전거 도로로 만들었다. 레일바이크 바로 앞 주차장브터 해서 둔덕동주민센터터까지 이른다.

무궁화호, KTX, ITX-새마을, S-train을 취급한다.

도로

버스

  • 여수시 시내버스
  • 순천시 시내버스
  • 광양시 시내버스
  • 여수시 마을버스

항공

여수공항율촌면 신풍리에 있다.

여객선

여수여객선터미널에서 여수시 남면, 삼산면의 여러 섬들로 배가 다니고 제주도로도 운행한다. 이웃한 남해군으로도 배가 다닌다.

오동도 근처에 여수항과 엑스포역 근처에서도 취급한다.

경제

주요 기관

  • 여수공항
  • 여수문화방송
  • 여수지방 해양수산청

추가 바람

관광

시내 지역

시외곽 지역

출신 인물

자매 도시

바깥 고리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 광양시 전라남도 광양시
전라남도 고흥군 전라남도 여수시 경상남도 남해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남해 남해

각주

  1. 이는 여수시와 완도군이 전남 남쪽의 먼 섬들을 가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수시 삼산면과 완도군 금일읍이 굉장히 가깝다. 반면 육지(여수시 본토~완도읍)로 보면 사이에 고흥군, 장흥군, 강진군이 있다.
  2. 실제로 시승격이 되어 3개 이상의 기초자치단체로 분리된 경우는 더 많지만 재통합한 사례는 평택시(평택시+송탄시+평택군)와 여수시 밖에 없다.
  3. 여수시청 홈페이지
  4. 여수시와 한자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