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연표: 두 판 사이의 차이

210번째 줄: 210번째 줄:


==1960년대==
==1960년대==
*[[1960년]]
**[[1월 26일]] : 서울역 승객 압사사고 발생. 22시 55분 서울발 목포행 여객열차 개표시 3번 승강장 계단에서 인파에 떠밀리는 바람에 압사 31명, 부상자가 다수 발생한 대형사고.
**[[2월 16일]] : [[경부선]] [[무궁화호]] [[서울역|서울]]-[[대전역|대전]]간 시운전
**[[2월 21일]] : [[경부선]] 특급 [[무궁화호]] 서울-부산간을 6시간 30분에 운행개시
**[[7월 8일 ]] : [[경부선]]에 PC침목 부설 개시
*[[1961년]]
**[[6월 3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능곡역|능곡]]-[[가능역|가능]]간 26.5km 개통
*[[1962년]]
**[[1월 1일]] : [[철도법]]이 전문 92개조 2개 부칙으로 공포되었다.
**[[5월 15일]] :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특급 [[재건호]]가 6시간 10분에 운행 개시
**[[12월 21일]] : 중요 여객열차{{ㅈ|[[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에 여자 안내원 승무
*[[1963년]]
**[[5월 17일]] : 영암선, 철암선, [[삼척선]], [[동해북부선[[을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명명함
**[[5월 30일]] : [[영동선]] [[통리역|통리]]-[[심포리역|심포리]]간 8.5km의 황지본선이 개통되면서 [[인클라인]]의 필요성이 사라짐. 황지본선은 8km이상을 더 돌아가는 길임에도 불구하고 인클라인 대비 수송량을 엄청나게 향상시켰으며, 이후 [[솔안터널]]이 개통될 때 까지 영동선의 수송을 감당하게 된다.
**[[8월 12일]] : [[서울역|서울]]-[[여수역|여수]]간 직통 급행열차 풍년호 운행
**[[8월 2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가능역|가능]]-[[의정부역|의정부]]간 5.4km가 마저 개통되면서 운수영업 개시
**[[9월 1일]] : [[철도청]] 발족. 초대 철도청장에 박형훈, 철도청차장에 임승일 취임
**[[12월 31일]] : 철도청 휘장 새로 제정
*[[1964년]]
**[[5월 1일]] : 월간 종합 교양지 "한국 철도" 창간
**[[11월 26일]] : 대통령령 1992호에 의해 "철도의 날"이 제정됨
*[[1965년]]
**[[1월 27일]] : 철도간호학교 1기 졸업식
*[[1966년]]
**[[1월 19일]] : [[예미역]] 구내에서 [[예미역|예미]]-[[민둥산역|증산]]-[[고한역|고한]]간 30km구간의 [[태백선|정선선]] 개통식이 거행되었다. 이 노선은 이후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1월 27일]] : [[경북선]] [[점촌역|점촌]]-[[예천역|예천]]간 28.9km가 개통됨
**[[3월 11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운행 개시
**[[4월 1일]] : [[중앙선]]에 건설호, [[호남선]]에 증산호 특별 화물열차 운행
**[[7월 21일]] : 특급 맹호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첫 운행. 이 때 주월 한국군 사령관인 채명신 장군에게 먕호 열차 명명판을 증정하였다.
**[[7월 30일]] : 철도여행 기념 스탬프 제정
**[[11월 1일]] : 대한민국에 방한한 미국 존슨대통령이 특별열차를 이용하였다.
**[[11월 9일]] : [[경북선]] [[예천역|예천]]-[[영주역|영주]]간 29.7km구간이 개통되었다.
*[[1967년]]
**[[1월 20일]] : [[정선선|태백선]] [[민둥산역|증산]]-[[정선역|정선]]간 24km의 구간이 개통됨. 이후 이 구간은 [[고한역|고한]]-[[태백역|황지]]간 구간이 개통되면서 [[정선선]]으로 명칭이 변경되게 된다.
**[[3월 30일]] : [[철도고등학교]] 개교
**[[8월 30일]] : [[서울역]]에서 [[증기기관차]]의 종운식 거행
**[[9월 1일]] : 특급 [[비둘기호]] [[서울역|서울]]-[[부산진역|부산진]]간 첫 운행, 소화물 전용 급행열차 운행
*[[1968년]]
**[[2월 7일]] : [[경전선]] 개통식 거행. 기존에 있던 [[진주역|진주]]-[[순천역|순천]]간 80.5km구간의 진주선과 [[광주선]] 중 [[순천역|순천]]-[[송정리역|송정리]]간 구간을 경전선에 통합함
**[[6월 7일]] : [[중앙선]] 망우사령실에서 CTC(열차 집중 제어장치)의 시운전 실시
**[[10월 22일]] : [[중앙선]] [[망우역|망우]]-[[봉양역|봉양]]간 CTC 및 [[경부선]] [[영등포역|영등포]]-[[대전역|대전]]간 ABS장치 개통식
*[[1969년]]
**[[2월 10일]] : 특급 [[관광호]]가 특 1등칸 1량, 1등칸 8량, 식당차 1량, 발전차 1량, 총 11량 1편성으로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첫 운행. 동시에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의 특금열차 3등석 폐지
**[[2월 14일]] : [[서울역]]의 서부역사 준공, 영업개시
**[[2월 21일]] : 특급 청룡호를 보통급행으로 격하 운행. 당시 경부선 소요시간은 6시간 50분이었다.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 [[ATS]]가 [[경부선]]에 설치 완료됨. 이 당시 총 설치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2억 7,400만원이었다.
**[[5월 15일]] : [[경부선]]과 [[호남선]]에 열차 무선전화가 개통되었다.
**[[6월 20일]] : [[문경선]] [[진남역|진남신호소]]-[[문경역|문경]]간 10.6km가 개통되면서 여객열차 3왕복이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6월 28일]] : [[경인선]] [[서울역|서울]]-[[인천역|인천]]간 복선 38.7km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이날 이전에 복구공사에 들어갔던 [[한강철교]]의 A, B선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1970년대==
==1970년대==
*[[1970년]]
*[[1970년]]

2016년 1월 24일 (일) 20:22 판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에 관련한 연표

1800년대

  • 1877년
    • 2월 : 수신사 김기수, 일동기유에서 일본 철도 시승기 소개
  • 1894년
    • 7월 :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귀국시 철도 모형도를 가져와 고종에게 관람시키면서 철도의 필요성을 주장
    • 8월 1일 : 청일전쟁의 발발로 일본은 서울-인천간 군용철도를 부설하기 위해 철도기사를 보내 철도부지를 사전 답사하게 함
  • 1896년
    •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 1897년
  • 1898년
    • 5월 10일 : 모스, 경인선을 경인철도인수조합에 양도(당시 금액으로 1,702,452원 75전)
    • 6월 3일 : 박기종이 부산-낙동강 하단에 이르는 부하철도 부설권을 취득
    • 7월 6일 : 농상공부에 철도사를 설치함. 이후 철도사는 철도국으로 개정됨
    • 9월 : 광궤였던 국내 철도의 5척 궤간을 다시 4척8촌5푼의 표준궤로 환원
    • 9월 8일 : 경부철도합동조약의 체결로 경부선 부설허가
  • 1899년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각주

  1. 대한제국정부를 의미
  2. 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3. 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틀:날짜/출력이다.
  4. 수원 인근
  5. 현재의 장춘
  6. 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7. 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8. 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9. 전란 중 UN군이 사용하다 휴전후 ICA 원조계획에 의해 이양됨
  10. 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
  11. KTX 13호
  12. KTX 46호
  13. 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
  14. 인천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15.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틀: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