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연표: 두 판 사이의 차이

23번째 줄: 23번째 줄:
*[[1899년]]
*[[1899년]]
**[[4월 13일]] : 일본자본인 경인철도인수조합이 인천에서 [[경인선]]의 기공식을 다시 하여 경인선 재착공
**[[4월 13일]] : 일본자본인 경인철도인수조합이 인천에서 [[경인선]]의 기공식을 다시 하여 경인선 재착공
**[[5월 17일]]] : [[서대문]]-[[청량리]]간 [[전차]] 개통
**[[5월 17일]]] : [[서대문]]-[[청량리역|청량리]]간 [[전차]] 개통
**[[6월 18일]] : 경인선에서 기관차의 시운전. 당시 기관차 명은 "Mogul tank"였다.
**[[6월 18일]] : 경인선에서 기관차의 시운전. 당시 기관차 명은 "Mogul tank"였다.
**[[6월 30일]] : 프랑스 피브릴르사의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 소멸
**[[6월 30일]] : 프랑스 피브릴르사의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 소멸

2015년 12월 29일 (화) 22:33 판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에 관련한 연표

1800년대

  • 1877년
    • 2월 : 수신사 김기수, 일동기유에서 일본 철도 시승기 소개
  • 1894년
    • 7월 :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귀국시 철도 모형도를 가져와 고종에게 관람시키면서 철도의 필요성을 주장
    • 8월 1일 : 청일전쟁의 발발로 일본은 서울-인천간 군용철도를 부설하기 위해 철도기사를 보내 철도부지를 사전 답사하게 함
  • 1896년
    •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 1897년
  • 1898년
    • 5월 10일 : 모스, 경인선을 경인철도인수조합에 양도(당시 금액으로 1,702,452원 75전)
    • 6월 3일 : 박기종이 부산-낙동강 하단에 이르는 부하철도 부설권을 취득
    • 7월 6일 : 농상공부에 철도사를 설치함. 이후 철도사는 철도국으로 개정됨
    • 9월 : 광궤였던 국내 철도의 5척 궤간을 다시 4척8촌5푼의 표준궤로 환원
    • 9월 8일 : 경부철도합동조약의 체결로 경부선 부설허가
  • 1899년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각주

  1. 대한제국정부를 의미
  2. 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틀:연표